오십에 읽는 논어 - 굽이치는 인생을 다잡아 주는 공자의 말 오십에 읽는 동양 고전
최종엽 지음 / 유노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자는 군자에 대해 고심을 많이 했다. 현재로 치면 리더십에 대한 고민이다. 

<오십에 읽는 주역>이 인상적이어서 논어에 대한 기대가 컸었는데 생각보다는 단순했다. 

에세이와 철학서의 중간 느낌이다. 입문서로 읽기는 괜찮은 것 같다. 

저자가 40대 중반에 직장을 떠나 헤드헌터로 일하며 강사의 꿈을 키웠다. 석박사를 공부하고 논어를 시작으로 동양철학을 공부하게 되고 책도 냈다. 지금은 원하던 강사로서 삶을 살고 있다. 


군자는 소명이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 천명, 소명을 찾는게 힘든 것 같다. 나의 소명은 무엇일까?

군자란 인의예지덕을 잘 갖춘 사람이다. 내가 먼저 실행하고 그 다음에 타인이 나를 따르게 해야 한다.(위정편 13장)

남을 탓하지 말고 나를 돌아봐야 한다.(위령공편 20장) 리더는 먼저 움직여야 한다. 다른 사람을 원망할 필요가 없다. 

스스로 정한 원칙을 지키는 것도 군자다. (옹야편 23장)

부지명 부지례 부지언. 명을 알지 못하면 군자가 될 수 없다. 예를 알지 못하면 일어설 수 없다. 말을 알지 못하면 사람을 알 수 없다. (요월편 3장)


논어를 읽으니 공자의 삶에 대해 궁금해졌다. 공자는 최선을 다했지만 노나라를 떠날 수밖에 없었고, 인과 바른 도가 통용되는 세상으로의 변화를 위해 14년 이상 떠돌아다니며 천하를 주유했지만 결과는 너무 초라했다. 68세 노나라로 돌아와 제자들을 가르치고 춘추를 쓰면서 죽음을 맞이했다. 

율곡 이이 격몽요결
소인: 교양없는 사람, 학습과 아예 담을 싸고 사는 사람, 좋은 책을 보고 훌륭한 강의를 많이 들어도 변함이 없는 사람, 좋지 못한 행동을 분명히 알면서도 여러 구실을 붙여 정당화시키는 사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