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 타고 조선 너머 샘터어린이문고 73
오진원 지음, 최희옥 그림, 이지수 기획 / 샘터사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남국(베트남), 유구국(오키나와), 마카오, 중국 항저우, 홋카이도 이누이족을 만난 조선인들.

신기한 경험을 하면 기록을 하고 싶어진다.

조선 시대 우연히 표류하게 돼서 방문하게 된 다양한 나라들의 기록을 한 책으로 묶었다.


1. 최부 (1488)

제주에서 출항해 중국 동남부에 위치한 저장성에 도착했다. 최부는 상중이라 상복을 삼 년 동안 입고 있었다. 

항저우에서 경항대운하를 타고 북경까지 가게 된다. 조선으로 돌아와 표해록을 썼다. 중국에서는 최부의 표해록,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일본의 입당구법순례행기를 중국 3대 기행문으로 꼽는다. 당시 중국의 풍습과 자연 제도 등이 상세히 적혀 있다. 


2. 김대황(1687)

제주에서 표류해 안남국(베트남) 호이안까지 내려간다. 다행히 김대황이 한자를 써서 이들과 소통을 할 수 있었다. 당시 레 왕조였다. 호이안은 인도, 포르투갈, 프랑스, 중국, 일본 등 상선이 오가던 국제 무역항이었다. 일본 무역상은 천 명 이상, 중국 무역상을 위한 마을과 항구가 별도로 있었다. 베트남의 특이한 자연환경과 풍습, 의상, 물소 등 담겨 있다.


안남국에서 제주까지 위험을 무릅쓰고 조선 사람을 데리고 온 중국 상인들을 치하하고, 600섬에 이르는 쌀을 은으로 환산해 주겠다는 것이었다. 다만 배는 먼저 떠나되, 상인들은 중국으로 가는 조선 사신단과 함께 육로를 통해 돌아가라고 했다. 중국 상인들은 조선 조정의 뜻을 이해했다. (83쪽)


3. 이지항 (1696)

부산에서 출항해 일본 홋카이도 아이누족이 살던 곳에 당도했다. 너무 추워 생선국만 먹는 곳이었다. 백합의 일종인 투레뿌 풀뿌리로 죽을 만들어 먹기도 했다. 아이누족은 곰신을 섬겼다. 


4. 장한철(1770)

제주에서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 간 장한철은 고래를 만났다. 표류 후 유구국의 무인도 가운데 하나인 호산도에 도착한다.  우연히 명 나라 상인들의 배를 타고 탈출한다. 대형 선박 안에는 동물도 키우고 밭도 있었다. 다시 표류해 청산도에 도착했다. 정한철의 표해록은 개인 일기 형식이다.


안남 세자 살해 사건이 몇 번 언급된다. 

제주 목사 이기빈이 제물을 탐내 보물을 가득 실은 안남국 세자의 배를 습격해 사람들을 몰살했다.


5. 문순득(1801)

유구국에 표류한 뒤 필리핀인 여송국의 루손섬과 중국 마카오까지 가게 된다. 

유구국(1429~1879)은 통일 왕국으로 160개 섬으로 이루어졌다. 

마젤란은 1521년 세계 일주를 해 필리핀에 당도하게 된다. 필리핀은 7017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다. 루손섬은 일로코스어를 쓰는 일로카노족이 사는 지역이다. 일로카노어는 타갈로그어와 세부어에 이어 필리핀의 3대 언어 중 하나다. 

문순득과 옥문은 필리핀에서 면사와 삼 껍질에서 뽑아낸 실인 포사를 사서 끈을 꼬아서 팔기 시작했따. 루손 섬 사람들이 연날리기를 좋아했기 때문이다.

문순득과 옥문은 3년 2개월 만에 조선에 다시 돌오온다. 문순득은 우이도에 귀향 와 있던 정약전에게 그동안의 표류 이야기를 전했따. 정약전은 문순득의 이야기를 듣고 놀라워하며 그 과정을 글로 정리해 남겼다. 문순득은 홍어 상인 출신이다.

문순득은 흑산도 인근의 섬과 육지를 돌아다니며 장사를 계속했다. 때로는 장삿길에 전라돠 강진에 들르기도 했다. 그곳에는 정약전의 동생 정약용이 귀향 와 있었다. 몇 년 후, 표류를 하면서 유구국과 여송국, 마카오를 거쳐 돌아온 문순득의 이야기를 조정에 알려졌다. 조정에서는 문순득에게 오랮런 제주도에 표류해 와 있는 사람들을 만나 보게 했따. 문순득은 그 사람들을 보자마자 여송 사람들이라는 것을 알았다. 8년 동안 말이 안 통해서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했던 이들은 문순득의 통역으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20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