훔친 돼지만이 살아남았다 - 축산업에서 공개구조 된 돼지 새벽이 이야기
향기.은영.섬나리 지음 / 호밀밭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인간에서, 다시 동물이 되어 갔다. (205)

혁명은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눈앞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인정하는 것이다. (177)


우리 사회가 얼마나 동물 혐오로 똘똘 뭉쳐진 사회인지 <훔친 돼지만이 살아남았다>에서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우리 사회는 효율적으로 '고기'를 먹기 위해 차별을 발명했다. '짐승 취급'하는 존재들, 비인간 동물은 참혹하게 도살되고 끔찍하게 대상화된다. 동물을 가두고 학대하는 사회가 어떻게 인간의 존엄성을 말할 수 있을까? 생명이 존엄하지 않은데, 인간만이 존엄할 수 있을까?


비질(vigil), 공개구조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비질은 육식주의 사회가 가리는 피해자들을 만나기 위해 농장, 도살장, 수산시장 등의 현장에 찾아가 폭력적인 현장 속 진실의 증인이 되는 활동이다. 비질은 서울 애니멀세이브에서 기획해 진행한다.


미국은 수많은 공개구조와 정책적인 압박을 통해 캘리포니아 버클리 시의회가 '구조할 권리'를 지원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국외에서 공개구조와 관련된 재판들이 진행중이다. DxE의 공동 설립자 웨인은 중범죄로 60년 형을 기소받고 맹렬하게 싸워나가고 있다고 한다. 활동가들은 절도죄의 재판을 기회 삼아 폭력적인 현실을 폭로하는 기회로 삼는다. 감금과 학대로 돈을 벌어들이는 축산업의 현실을 고발하고 '가축'이기 때문에 동물보호법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새벽이가 법의 영역에서 구조되지 못하고 불법의 영역에서 공개구조 되어야 하는 현실을 폭로한다. 


우리 사회는 육식이 자연스러운 욕구라고 강요한다. 절대 자연스럽지 않는 폭력과 감금의 체계에서 고기를 먹어야 할까? 그렇게 인간은 욕구를 절제할 수 없는 건가? 


학살을 당연시하는 체제가 합법인가? 합법이 곧 정의인가? 구조가 불법인가? 

한국은 1인당 육류 소비량 세계 14위,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세계 1위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당연히 채식을 하고, 육류소비를 반대하는 것이다. DxE 후원도 하고, 비질도 참여하고, 공개구조를 응원하는 것일 것이다. 불가능한 일이겠지만, 반려동물 중에 돼지도 포함되었으면 좋겠다. 반려돼지나 반려 소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이 정말 살기 좋은 사회가 아닐까? 학교에서도 반려돼지를 한 마리씩 키우면 어떨까? 


[밑줄]


구조할 수 없는 구조, 나는 다름 아닌 가해자 대오에 서 있었다. 세월호 참사와 나, 나와 도살장, 그리고 나와 새벽이, 노을이, 별이. 이 만남과 연결들은 내가 동물 해방 운동을 시작한 계기이기도 하다.(211)


수십 명의 동물을 빽빽하게 가둔 2층 트럭도 있었고, 엄마돼지인지 덩치가 아주 큰 동물이 홀로 외롭게 갇혀 있는 작은 트럭도 지나갔다. 비명은 계속 들려왔고 곧 사이렌이 반짞이며 경찰차가 도착했다. 그러나 비명이 난무하는 현장 속 '피해자'를 구하기 위해 온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비명을 들은 우리가 가해자 취급을 받고 있었다. 

분명 그곳엔 고통에 몸부림치는 절규가 난무했다. 그들은 아무것도 들리지 않는다는 듯, 자신이 맡은 일에 충실하게 복무하고 있었다. 내가, 우리가 지금 듣고 있는 것이 가짜가 아닌데....심지어 당신들의 귀에도 들릴 텐데. 직원, 경찰, 식당 주인 모두가 우리에게만 소리를 지르고 있었다. 아무것도 들리지 않는다는 듯, 자신이 맡은 일에 충실하게 복무하고 있었다. 현실감이 느껴지지 않았다. 그 순간 떠오르는 하나의 명령, "가만히 있으라", 이 사회가 어떻게 멀쩡히 굴러갈 수 있었던 건지, 순진한 내가 5년 만에 답을 얻는 순간이었다. 비명은 그렇게 은폐되고 있었다. (208)


노을이가 죽은 이유를 '명확히' 알게 되었다. 슬프고 절망적인 현실을 마주하며 우리는 깨달은 것이다. 나와 당신이 그렇듯 아픈 이들은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아픈 이가 치료받는 것, 이것은 상식이다. 반면 아프다는 이유로 죽이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폭력이다. 그러나 축산업의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판단 아래에서는 이 상식이 모두 헛소리가 되었다. "약한 자는 죽어라." 노을이는 약육강식의 법칙이 지배하는 폭력적인 사회 가장 밑바닥에서 숨죽여 떨고 있었다. 비인간 동물들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아 굴러가는 사회를 만들고 묵인하는 우리 모두가 이들을 죽이고 있었다. 아픈 이들을 살리는 병원이 있는 것이 아닌, 도살 전, 즉 '죽이기 전까지만 겨우 죽지 않게' 관리하는 수의학만이 있는 사회, 축산업이라는 극단적인 학대를 용납하는 우리 사회가 '노을이들'을 죽이고 있었다. 또한 노을이의 죽음은 생추어리의 시작이기도 했다. (187)


서울 서초동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 양재 시민의 숲,
마치 별이가 응답하듯 하늘에서 비가 뚝뚝 내렸다. 우리의 눈에서도 눈물이 비처럼 흘렀다.
2017년 한 해 돈사 화재 발생 건수는 189건

도살장의 계류장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내게 토로하듯 말했다. 육질을 위해 빠르게 처리해야 하는 도살공정의 속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돼지들을 끊임없이 퍽퍽 때려야 한다. 차라리 동물학대라고 하여 쓰지 말라고 하는 전기봉이 빠르다. 지금은 내 팔이 떨어질 정도로 돼지를 패야 한다. 그래도 도살장에 들어가지 않으려고 할 때는 갈고리를 입천장에 걸어 돼지를 있는 힘껏 끌어당겨야 하는데, 갈고리가 살을 뚫고 나올 때도 있다. 그럴 때마다 생명의 존엄, 그런 게 내 안에서 사라지는 게 느껴진다. 이제는 운전을 하다가도 화나게 하는 운전자가 있으면, 저 새끼, 돼지 패듯이 패버려? 하는 충동이 자꾸 든다고. - P16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