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스터 차일드 - 제1회 사계절어린이문학상 대상 수상작 사계절 아동문고 104
이재문 지음, 김지인 그림 / 사계절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는 "아이들이 괴물 같아요"라는 문장을 보고 이 책을 구상했다고 한다.

몬스터 차일드. 괴물 아이. 

소설은 가상의 병을 만든다. 돌연변이종양 증후군 MCS. 사람들은 몬스터 차일드 증후군이라 부른다.

병의 이유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세간은 이 아이들을 무서워한다.

격리시키너가 발병을 억제한다. 

MCS가 있는 시설은 혐오시설이 되어버린다. 

우리 사회 너무 익숙한 내용이다.

무서우면 혐오하고 배척하고 돌을 던진다. 

작가는 이런 지점을 잘 파고든다. 


욕망

주인공 하늬는 평범한 아이로 살고 싶다. 그래서 MCS라는 사실을 최대한 숨긴다. 엄마도 마찬가지. 하늬뿐만 아니라 동생도 MCS다. 여러 번 전학을 간다. 


사건

새로 이사간 학교에 MCS 남자 아이가 있다. 강연우. 연우는 자신이 MCS라는 사실을 숨기지 않는다. 있는 그대로 모습으로 등교한다. 물론 아이들은 연우를 멀리한다. 처음으로 MCS아이를 마주친 하늬는 놀랍고 신기하다. 

연우에게 차비를 빚지게 된 이후 하늬는 연우가 계속 신경쓰인다. 새로운 연구실에 가면서 하늬는 약을 줄이게 되고 어느날 발작을 일으키며 쓰러진다. 하늬를 발견한 연우는 하늬를 자신의 아지트로 데려간다. 처음으로 MCS 인 채 자유롭게 뛰어노는 하늬. 그때부터 발병을 억제하지 않기로 한다. 자신 안의 아이는 자신을 지키기 위해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된 이후로.

버려진 소녀 승아를 만나면서 승아와 산들이를 소개한다. 산들이도 서서히 자신의 상태에 대해 인정하게 된다. 


절정

어느 날 사람들이 처놓은 덫에 걸려 다친 승아와 마취총에 맞은 산들이를 구하려다 연우와 연우 아빠(MCS 연구실 소장)가 경찰에 붙잡히게 된다. 이들을 구하기 위해 하늬는 몰래 경찰서에 침입한다. 연우, 승아, 소장님을 몰래 풀어주고 이들은 도망친다. 하늬는 이후 자신의 모습을 친구들에게 보여주고 어려움에 처한 학우를 돕기도 한다.


자신을 온전히 사랑할 수 있게 되는 하늬를 통해 차별이 잘못 되었음을, 혐오가 무지와 공포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작가의 말처럼 어린이는 어른이 되기 위한 징검다리가 아닌, 그것으로 충분한 하나의 '종'이다. 어린이 덕분에 삶은 푸르게 이어진다. 슈퍼 히어로가 따로 없다. 지구를 지켜 줘서 고마울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