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인트 (반양장) - 제12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ㅣ 창비청소년문학 89
이희영 지음 / 창비 / 2019년 4월
평점 :
제목만 봐서는 미술 관련된 내용인가? 싶었다. 하지만 전혀 생각지도 못한, 미래의 아니 어쩜 가상의 세계 이야기다.
아이 낳기를 기피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자 정부는 새로운 길을 찾았다. 결국 국가에서 아이들 책임지고 키운다는 것이다.
부모로부터 버려지는 아이들을 국가가 전적으로 보호한다. 부모가 낳은 아이를 키우기 원치 않을 때 정부에서 그 아이를 데려와 키우는 방식이었다. 그렇게 NC(nation's children) 센터가 세워졌다. 그리고 이 아이들이 일정 나이가 되면 부모를 면접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부모를 선택하면 NC 안의 합숙소에서 한 달간 함께 생활한다. 그 기간까지 무사히 마쳐야만 입양이 된다. 열아홉까지만 센터에 남을 수 있고 이후에는 자립해야 한다. 하지만 NC출신들에 대한 차별이 심했다. 그리고 NC 출신이 12명의 아이들을 살해하자 정부는 ID z카드에서 NC 출신이라는 기록을 삭제했다.
아마 한번 쯤 이런 생각을 해 봤을 것이다. 내가 부모를 선택할 수 있다면? 어떤 부모 밑에서 자라고 싶을까. 주변에 부모님 때문에 힘들어하는 친구들을 많이 봤다. 물론 나도 부모님과 잘 맞지 않아서 힘들어 했지만, 방임, 학대 등으로 힘들어본 적은 없다. 다행히.
줄거리
욕망:주인공 나의 이름은 제누 301. 영어의 월을 따서 1월에 태어난 아이들 중 남자는 제누, 여자는 제니라 부른다. 그리고 숫자는 태어난 순서. 제누301은 열일곱살이다. 3차 부모 면접을 본다. 부모를 찾지 못하면 평생 NC 출신이라는 낙인이 찍힌다. 사회복지사 개념의 가디언(가디)도 있다. 가디의 이름조차 모른다. 성민 알 수 있다. 그들은 아이들을 보호 관찰하고 아이들에게 부모를 만들어주는 것이 주 임무다. NC 센터는 크게 세 곳으로 분류된다. 갓 태어난 아기들과 미취학 아동을 관리하는 퍼스트 센터, 초등학교 입학 후 열두 살까지 교육하는 세컨드 센터, 그리고 열세 살부터 열아홉 살까지 관리하는 라스트 센터. NC 의 아이들은 모두 열세 살 때부터 부모를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어렸을 때 아이들을 키우는 부담을 줄이고, 양육 수당과 연금을 앞당겨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었다.
사건: 최 가디와 박 센터장은 대학 선후배다.최는 실적이 낮기로 유명한 라스트 센터를 지원한다. 박은 어렸을 때 가정폭력 가정에서 자랐다. 아버지가 위독하자 긴 휴가를 낸다. 동생 아키는 노부부와 면접을 본다.
절정: 제누 301은 합숙을 안 하기로 결정한다. 그리고 일절 부모 면접을 안 보겠다고 한다.
작가의 가치관이 참 많이 반영된 것 같다. 가족에 대한 의문점, 사회적 책임, 차별과 낙인. 아이들도 부모로부터 독립을 꿈꾸지만 어쩜 부모도 아이로부터의 독립을 꿈꾸지 않을까 하는 생각. 개인적으로 자격 안 되는 부모들에 대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했으면 좋겠다. 자식에 대한 정신척, 신체적 학대에 대해서는 우리사회는 너무 관대하고 무책임하다.
주인공이 부모를 선택하지 않기로 한 결정은 이해가 되었다. 오히려 나는 주인공이 박(센터장)을 선택하지 않을까 기대하기도 했다.
당당하게 부모라는 가족 이외에 다른 형태의 가정을 꾸리는 것도 좋은 해법인 것 같다.
이런 소재로 영화를 만들어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 이희영 저자의 세계관이 궁금해지는 작품이었다.
누군가가 나를 꿰뚫고 있다는 기분은 썩 좋은 것만은 아니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감사한 경우도 있다. 나를 잘 알고 있음에도 전혀 내색하지 않고 배려하는 모습이 그렇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에 대해 쉽게 말하고 또 쉽게 생각한다. 내가 알고 있는 상대가 전부라고 믿는 오류를 범한다. 그런 사람 중에서 진짜 상대를 아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자기 마음조차 모르는 인간들인데. - P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