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두 같은 달을 보지만 서로 다른 꿈을 꾼다 - 트레이더 김동조의 마켓 일기
김동조 지음 / 아웃사이트(OUTSIGHT) / 2020년 1월
평점 :
금융시장, 증권시장, 트레이더, 주식, 채권, 선물 등은 나와 먼 이야기라고 생각했다.
예적금 외에는 들었던 게 없었는데, 최근에 제로 금리시대로 도입하면서, 더이상 이렇게 살면 안 되겠다는 생각에 3년 전부터 해외 주식을 시작했고, 올해 초에 국내 주식을 시작했다.
저자는 트레이딩을 2001년부터 했다. 회사를 그만둔 건 40대 초반. 삼성증권, 씨티은행, 씨티 증권에 다녔다. 책을 읽으면서 느끼는 것은, 저자에게 원칙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 특히 일하면서. 나도 주식을 한지 얼마 안 됐지만, 원칙을 나름 만들고 있다. 이도 경험에서 나온다는 저자의 말에 동감한다. 해보니 나에게 맞는 방법이 있는 것을 요즘에 조금씩 깨닫는다.
김동조 트레이더 책은 내가 자주 가는 동네 서점 주인이 추천해줬다. 트레이더의 일상적인 일기라(@016~2918년), 그 사람에 대해서 공감가는 부분들이 조금 있었다. 일단 나와 비슷한 점은 책 읽기를 좋아하고 (그것도 한 꺼번에 여러 책을 동시에), 영화 보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 저자는 참 열심히 산다. 복싱도 하고 일본어도 배운다. 블로그도 쓰고 벨로서티도 만들고 책도 낸다. 저자는 투자회사만 있다면 존재감이 없어 고독했을 것이고, 리서치 회사만 있다면 독자에게 의존하는 느낌이었을 것이다라고 한다.(195쪽) 그가 소개한 책 중에서 내가 읽은 것은 많지 않다. 취향이 이렇게 다를 수가! 저자는 성공과 자유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하는 것 같다.
성공은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다 기회가 왔을 때 과감해진 결과일 뿐이라고 한다. 성공은 지성보다 실행력의 문제다.
I cannot give you the formula for success, but I can give you the formula for failure, which is : Try to please everybody. (Herbert Bayard Swope)
트레이딩도 외로운 직업인가 보다. 저자는 제일 괴로운 건 누구도 지시를 내리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한다. 적어도 투자와 트레이딩에서는 배우고 싶어도 배울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다. 수많은 생각과 시행착오를 거쳐 조금씩 나아갈 수 있을 뿐이다.
이 책을 읽으며 나도 일기 쓰기를 시작했다. 이렇게 정리해서 읽으니 사람의 생각의 흐름, 감정의 흐름, 관통하는 주제 등이 파악이 되는 것 같다. 그리고 그 당시 어떤 뉴스가 화자되었는지도 기록이 되서 좋은 것 같다.
대만인 앞에서 내뱉는 무례함과 국가주의 앞에서 이성과 예의를 잃는 모습 - P25
모병제는 정의의 관점에서 보면 옳지 않은 제도다. 오바마가 백악관에서 트럼프 당선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최선을 다해도 패할 수 있는 게 선거고, 우리는 앞으로 전진할 거니 힘을 내자는 얘기다. 좋은 질문을 해야 좋은 인간이 된다. 잘못된 질문을 하면 잘못된 생각에 빠진다. 부자들은 펀드하지만 펀드해서 부자된 사람은 없다.
서평쓰기 - 이 책은 내 생각에 어떤 영향을 줬는가, 이 책을 읽고 어떤 순간이 떠올랐는가, 이 책은 어떤 고민을 해결해줬는가, 어떤 고민을 던져줬는가,
노모 히데오 "소시민은 항상 도전하는 자를 비웃는다" 부당거래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 줄 안다. 라라랜드 People love what other people are passionate about 멋진 실패 스토리를 쓰고 싶은 사람은 실패하는 법이 없다.
죽을 때까지 일하고 싶은 이유는 일을 그만두게 됐을 때 느끼게 될 소외감과 고독이 무섭기 때문이다. 필립 로스 인생은 길고 예술은 더 짧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