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얼굴의 무궁화 - 국가상징 바로잡기
강효백 지음, 김원웅 감수 / 이담북스 / 2020년 6월
평점 :
절판


무궁화에 대한 이러한 방대한 자료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몰랐다.

강효백 교수는 사료를 꼼꼼히 살피며 왜 무궁화는 우리의 국화가 될 수 없는지 조목조목 서술하고 있다. 

무궁화 뿐만 아니라 애국가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38개의 이유를 들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대목은 구한말 이전 옛 민요 2585곡 중에 무궁화를 노래한 민요가 단 한 소절도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일본에는 무궁화 야생군락이 있다고 한다. 무궁화는 일본의 집 마당이나 담장, 울타리에 키우는 대중적인 꽃이다.오히려 무궁화에 대한 책은 벚꽃을 압도한다고 한다. 한국에서 무궁화는 남쪽에만 분포하고 관상용으로 재배하는 식물이었다고 한다.

얼마 전 드라마 <더킹>에서 대한제국의 꽃이 오얏꽃으로 나온다. 저자는 오얏꽃은 조선의 왕실화가 아니라 대한제국의 황실화라고 설명한다. 고종황제는 욱일기 모양의 꽃술 무늬 무궁화를 한국에 침투시키려는 일제와 종일매국노들에 맞서 싸우기 위해 오얏꽃을 훈장 등으로 활용했다고 한다.


나도 무궁화를 봤을 때 왜 나라꽃일지 깊게 고민한 적이 없다. 그냥 그런가보다 했다.

하지만 실제로 무궁화는 일제시대때 들어왔다. 히노마루 품종의 무궁화는 멀리서 보면 일본의 국기처럼 보이는데 이게 진짜 일본의 국기라고 한다. 


무엇보다 우리 사회 종일매국잔재를 없애야한다고 주장한다. 그 중에서 가장 먼저 청산해야할 것이 국가 상징이다. 

저자는 무궁화 대신 개나리, 진달래, 미선나무, 병꽃나무, 산이스라자, 목련 등을 제안한다. 

국민적 합의만 있다면 충분히 애국가든 국화든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모든 것을 비판적으로 보는 눈이 필요한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이 나와 반갑다. 진정한 국가 상징이 뭐여야 하는지 고민하는 계기를 마련해줬다.


학문은 세상의 모든 마침표를 물음표로 바꾸는 데서 시작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