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정치는 왜 퇴보하는가 - 청년세대의 정치무관심, 그리고 기성세대의 정치과잉
안성민 지음 / 디벨롭어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년 관련 통계가 굉장히 자세히 나온 책이다. 그리고 최신 트랜드? 용어와 신조어까지. 공부가 많이 되었다.

진작부터 국회 고령화에 대해서 불만이 많았고, 선거 연령이 낮아지는 것에 대해 진작 찬성했지만, 아직도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보고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 피선거권도 25세라니....말도 안된다.

노인관련 복지관, 시설 등은 늘어나고, 1인 가구, 아동 등에 대한 예산은 줄고 있고.....뭔가 많이 불공평하다고 느낀 마당에 반가운 책이 나왔다.

<청년 정치는 왜 퇴보하는가>는 매우 논리적으로 현 법적, 제도적 문제를 다루고 있다.

아무래도 84년생인 저자도 2030으로서 직접적으로 느끼는 문제라 더 설득력이 있는 것 같다. 영국에서는 '외로움 장관 Minister of Loneliness'를 임명했다는데, 우리나라도 청년장관을 임명하면 어떨까?

35.7% 유권자 수를 가져도 정치지분은 겨우 1%만 가지고 있다니 말이 안 되지 않은까?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대한민국 정치판에서 볼 수 있는 4가지 법칙"편이다. (152쪽) 파레토 법칙, 파킨슨 법칙, 피터의 법칙, 딜버트의 법칙.

특히 조직에서 모든 직원은 자신의 무능력 수준에 도달까지 승진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피터의 법칙과 조직에 별 도움이 안 되는 직원이 도리어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딜버트 법칙에서 빵 터졌다. 이렇게 동서고금을 막론하는 법칙이 있었다니!


대한 민국 청년 정치, 세대 갈등에 관심 있는 사람들을 위한 필독서! 


정치에 무관심하면 결국 가장 저급한 인간의 지배를 받게 된다. - 플라톤


IMF 낙수효과 무용론 입증. 1980년부터 2012년까지 전 세계 159개국의 소득과 경제성장 관련 자료 분석. 상위 20% 고소득층의 소득이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 포인트 높아지면, 향후 5년간 경제 성장률이 0.08% 후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20%의 소득 비중이 1% 포인트 증가하면, 5년간 0.38%의 경제 성장 효과가 생기는 것으로 집계.

행복의 역설: 소득수준이 높아지더라도 그 이상을 기대하는 열망 때문에 소득과 행복이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
트랜드모니터 Trendmonitor.co.kr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선기 비용 500억 420억 460억, 유승민 심상정 55억 45억
투표 지지율이 15% 이상이면 전액, 10-15%이면 반액 돌려받음.

단군 이래 최고 스펙을 가진 세대
사람은 불평등을 겪게 되면 자연스럽게 뒤따라오는 감정은 우울이다. 행복 호르몬이라 불리는 세로토닌은 우울증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세로토닌은 사회적 지위 호르몬이라 불린다.
가난에는 이자가 붙는다. Poverty charges interest - Tay Zonday
다중격차 : 불평등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공고해지게 되고 개별적이었던 불평등이 매우 공공연하게 적용되는 것.
뉴노멀 시대 : 저성장, 마이너스 성장

1인가구 시대 :
노르웨이 38.5%, 독일 37.5%, 프랑스 32.6%, 일본 32.4%
1인 가구로 살아가려면 모든 면에서 비용이 더 많이 든다.
관태기 : 관계와 권태기 합성
돌취생, 자소서포비아, 샐러던트,
제론토크라시 gerontocracy : 남자 연장자의 권위가 강하고 노인들이 실권 가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