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딴방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1999년 12월
평점 :
<엄마를 부탁해> 이어 두번째로 읽은 신경숙 소설.
오히려 20대 때 아니고 지금 <외딴방>을 읽어서 다행이다 싶다. 분명 20대 때 읽었으면 이해를 못 했을 것이다.
몇 년 동안 가산디지털단지에 일하면서 '가리봉동' 쪽에 출퇴근을 하게 되서, 그 동네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산업일꾼' '대한민국 수출다리'가 있는 곳. 월급이 1만원 수준.
<외딴방>의 37개 방이 있는 '벌집'이 밀집해 있던 구로 공단. 16살에 서울 스테리오 공장에 취직한 작가. 외사촌, 큰오빠와 외딴 방에 4년을 같이 산다. 공장 다니면서 고등학교도 다니게 된다. 영등포여고 산업체특별학급. 오로지 소설 작가가 되겠다는 꿈이 있어 그 시절을 버틸 수 있었을까?
기사: 변기 한 개 26명 사용,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no=112992#09T0
역사책에서만 들었던 YH 사건, 노조탄압, 박정희 사살, 79년 국기 하강식 등을 생생히 볼 수 있다. 지금은 그 나마 그 때보다 근기법을 더 준수하고, 인권이 더 잘 보장될까? 다행인 것은, 노동과 인권에 대한 인식들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신영복 시인이 그러지 않았나? 무더운 여름, 큰오빠가 같이 잠시 머물게 된 '재규 오빠'에게 "제발 좀 가라?"라고 하자 아침에 인사도 안하고 간 얘기. 누가 그러지 않았던가? 감옥에서 여름보다 차라리 겨울이 낫다고....서로의 체온이 위로가 되서...
소설의 끝이 조금 어색하다. 미완성 느낌이 난다. 대체 희재 언니는 어떻게 됐을까?
신경숙이라는 작가를 좀 더 알게 된 기분이다. 학교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노조를 탈퇴했을 때 느낀 수치심, 배반감 등을 잘 표현하고 있다.
그 당시 사업주들은 어쩜 그렇게 잔인했을까?
앞으로 이런 자전적 소설을 더 썼으면 좋겠다.
링크 : 신경숙 소설가 활동 재개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19/05/340902/
그랬었다. 나는 꿈이 필요했었다. 내가 학교에 가기 위해서, 큰오빠의 가발을 담담하게 빗질하기 위해서, 공장 굴뚝의 연기를 참아낼 수 있기 위해서, 살아가기 위해서. 소설은 그렇게 내게로 왔다. - P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