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hinko (National Book Award Finalist) (Paperback) - 애플TV '파친코' 원작/2017 전미도서상 최종 후보작
이민진 / Grand Central Pub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의 80년, 4대에 걸친 가족의 이야기.

1부는 고향/Hometown편 (1910-1933) : 부산 영도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순자의 첫사랑. 그리고 결혼.

2부는 모국/Motherland편 (1939-1962) : 순자의 두 아들 노아와 모세 이야기

3부는 파친코/Pachinko편 (1962-1989) : 순자의 손자 얘기




3부까지는 왜 파친코인지 잘 이해를 못 했다. 운명적으로 노아와 모세, 그리고 솔로몬까지 파친코에 몸을 담을 수밖에 없다.

그것이 바로 재일 조선인의 역사, 차별과 멸시의 역사를 가장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저자는 거이 30년동안 이 소설을 쓰기 위해 구상했다고 한다. 남편의 직장 때문에 4년 정도 일본에 살 기회가 있었는데 그 때 재일조선인을 인터뷰할 기회가 생겼고, 소설의 줄거리도 다시 썼다고 한다.


책의 인물들은 참 불쌍하다. 전쟁, 식민지, 분단, 냉전, 민단, 야쿠자 등을 어떻게 견뎠을까. 현재 평화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얼마나 다행인가.

저자는 남성보다 여성의 이야기에 더 애정을 보인다. 유교적 가부장제 사회에서 어떻게 돈을 벌고 가족을 지켰는지.

최선을 다했지만 다 해피엔딩은 아니다. 

남자들의 삶도 쉬지 않았다. 이삭은 종교 때문에 감옥가서 고문당하고, 요셉은 나가사키 피폭 피해자이고 노아는 일본인으로 살 수 없게 되었을 때 자살을 한다.


미국을 동경할 수밖에 없는 이유, 대의보다 생존이 더 중요한 평범한 사람들, 나쁜 일본인도 있고 좋은 일본인이 있듯이 나쁜 한국인이 있고 좋은 한국인이 있다. 사람도 사회도 역사도 그리 간단하지 않다. 열린 마음으로 이해하고 알려고 노력할 수밖에...


한국의 역사에 대해 더 많이 다루는 소설들이 나오면 좋겠다.


It was said often that old women talked too much and said useless things, but it seemed like her mother had been storing these specific thoughts in reserve for her. - P4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