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의 품격 - 말과 사람과 품격에 대한 생각들
이기주 지음 / 황소북스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짧아서 술술 읽혀 좋은데 내용 자체는 너무 단편적이라 성인이 읽기에는 실망이 크고, 초중고생에게 선물하면 좋을 것 같다.
살면서 말이 얼마나 무서운지 느끼게 되고, 특히 말을 많이 하는 사람들을 옆에서 지켜본 결과 참 많은 오해를 산다.
멋진 어른이 되기 위해서는 과언무환(말이 적으면 근심이 없다)과 이청득심(들어야 마음을 얻는다)이 필요하다.
말 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역시 말을 잘 듣는 사람이 더 중요하다.
적어도 경솔하고 천박한 말을 하지 않도록 노력해야겠다. 그리고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을 멀리해야겠다.
무심히 던진 말 한마디에 품격이 드러난다. 나만의 체취, 내가 지닌 고유한 인향은 내가 구사하는 말에서 뿜어져 나온다
언어는 강물을 거슬러 오르는 연어처럼, 태어난 곳으로 되돌아가려는 무의식적인 본능을 지니고 있다. 사람의 입에서 태어난 말은 입 밖으로 나오는 순간 그냥 흩어지지 않는다. 돌고 돌아 어느새 말을 내뱉는 사람의 귀와 몸으로 다시 스며든다. - P9
삶의 지혜는 종종 듣는 데서 비롯되고, 삶의 후회는 대개 말하는 데서 비롯된다. 사람이 지닌 고유한 향기는 사람의 말에서 뿜어져 나온다. 인간의 가장 깊은 감정은 대개 침묵 속에서 자리하고 있다. 상대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상대의 발원권을 존중하는 태도 석사와 박사 위에 ‘밥사‘라는 학위가 존재한다는 우스개가 있다. 조직이나 단체에서 동료를 위해 기꺼이 밥 한 끼를 사는 사람은 마음 씀씀이가 좋은 사람으로 기억된다.
휴가를 의미하는 바캉스는 ‘텅 비어 있다‘는 뜻의 라틴어 바카티오에서 유래했다. 바캉스는 무작정 노는 게 아니라 비워내는 일이며, 진정한 쉼은 우리의 어깨를 짓누르는 무언가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라는 뜻이다. - P86
인간의 집중력에는 한계가 있다. 일부 언어학자는 성인의 최대 집중력이 18분이라고 주장한다. 18분 넘게 일방적으로 대화가 전개되면 아무리 좋은 얘기일지라도 참을성 있게 들어줄 사람이 없다는 얘기다. 마크 트웨인이 "설교가 20분을 넘으면 죄인도 구원받기를 포기한다"라고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 P92
네크워크 지수라는 개념이 있다. 현대 사회에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공존지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흥미로운 점은 지능지수와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이다. 지적 능력이 탁월해도 평소 긍정적인 언어를 구사하지 않는 사람은 이 지수가 현저히 낮게 나타나고, 긍정적인 말을 자주하고 친화력이 뛰어난 이들은 상대적으로 높다. - P100
곰처럼 둔하게 살아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본인이 어떤 일에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하지 않는지를 자각하고 적절히 둔감하게 대처하면서 자신만의 삶을 살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둔감력은 무신경이 아닌 복원력에 가깝습니다. - P107
경솔하고 천박한 말이 입에서 튀어나오려고 하면 재빨리 마음을 짓눌러야 한다. 그 말이 입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거친 말을 내뱉고 나면 다른 사람들에게 모욕을 당하고 해로움이 따르게 될 텐데, 어찌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 이덕무, 수양서인 - P176
편견의 감옥이 높고 넓을수록 남을 가르치려 하거나 상대의 생각을 교정하려 든다. 이미 정해져 있는 사실과 진실을 본인이 쥐락펴락할 수 있다고 믿는다. 상대의 입장과 감정은 편견의 감옥 바깥쪽에 있으므로 눈에 보이지 않는다. - P192
사마천이 쓴 사기, 계명우기 첫째는 의리를 지키며 서로의 잘못을 바로잡아주는 친구 외우 둘째는 친밀한 마음을 나누면서 서로의 어려움을 도와주는 친구 밀우 셋째는 즐거운 일을 나누면서 함께 어울리는 친구 일우 넷째는 평소 이익만 좇다가 나쁜 일이 생기면 책임을 떠넘기는 친구 적우 - P222
공자는 군자주이불비 소인비이부주, 군자는 여러 사람과 어울리면서 무리를 짓지 아니하고, 소인은 무리를 지어 다른 사람들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 P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