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양 있는 고양이 많이있어와 루돌프 ㅣ 한림 고학년문고 9
사이토 히로시 글, 스기우라 한모 그림, 고향옥 옮김 / 한림출판사 / 2008년 8월
평점 :
품절
'우동'이었다. うどん. 식당 이름은 잊었지만, 간판 한쪽에 조그맣게 쓰여 있던 うどん이 내가 교재 밖에서 처음으로 읽은 일본어였다. 한겨울 종로바닥에서 우. 동. 이라고 소리 내는 순간, 그 소리가 어떤 사물을 가리키는지 내가 안다는 사실을 아는 순간, 따끈한 국물을 마신 것처럼 몸이 갑자기 따뜻해졌다. 가벼워졌다. 그 정도가 아니었다. 날아갈 것 같았다. 그래, 이제 일본어를 읽을 수 있어! 그 일 년 전 선배들을 따라 아무 생각 없이 일본 여행을 갔을 때, 말을 못하는 것은 물론이고 히라가나 가타가나를 한 글자도 읽을 수 없다는 사실에 뒤늦게 얼굴이 하얘져서 일본어를 할 줄 아는 선배에게서 10쎈티도 안 떨어지려고 징징 울며 쫓아다녔던 나다. 일본어 학원에 등록을 해놓고 먼저 히라가나라도 외우기로 결심했는데 그게 쉬울 리 없었다. 나는 조그만 카드에 히라가나를 한 글자씩 쓰고 뒷면에 "카" "키" "쿠" 등 발음을 적었다. 그러곤 (무작위로) 카드를 뒤집으면서 내가 읽은 게 맞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카드를 다 뒤집은 다음에는 "카"라고 쓰인 카드를 보고 연습장에 'か'라고 써본 다음 카드를 뒤집어 그게 맞는지 확인했다. 이 단순한 암기를 위해 이 나쁜 머리를 얼마나 굴리고 이 둔한 손을 얼마나 고생시켰던가. 그랬던 내가 드디어 "우동"을 읽은 것이다. 이제 됐다. 당장 일본으로 뛰어갈 테다. 맨 처음 눈에 보이는 식당에 들어가 우동을 주문해야지. 이제부터 나는 우동을 제일 좋아할 테다. 불끈.
그랬던 나이기 때문에, 『교양 있는 고양이 많이있어와 루돌프』에서 루돌프를 누구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자부한다. (물론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선가 인간의 글자를 익히고 있을 고양이들은 빼고.) 루돌프는 고양이다. 생선가게 주인에게 쫓겨 도망가다가 도쿄로 가는 트럭에 올라타는 바람에 떠돌이 신세가 되기 전까지는, 사람의 집에서 사람과 함께 사는 고양이였다. 낯선 곳에서, 그것도 완전히 집 밖에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해야 하는 막막한 처지이지만 루돌프는 기죽지 않는다. 뒤에서 날아드는 돌멩이가 얼마큼 멀리 가는지 만으로도 던지는 사람의 상태를 짐작해 뛰면서도 전략을 짜고, 음식을 먹기 전 안전한 장소인지 먼저 살피는 것이 몸에 배어 있을 정도로 제 몸 하나 건사할 능력이 되는 '고양이'인데다가 도쿄에 정착한 첫 날 알게 된 고양이 '많이있어'가 든든한 형님이 되어주기 때문이다. (이 이상한 이름에 나는 사실 불만이 좀 있다. "나는 루돌프다. 넌?" "나 말이냐? 내 이름은 말야, 많이 있어." "뭐? 이름이 '많이있어'야?" 이런 대화 끝에 루돌프가 많이있어를 많이있어라고 부르게 된 것인데, 아무래도 좀 어색하다. 아마도 작가는 무언가 사연이 많은 고양이라는 의미로 이런 이름을 붙였을 테니, 누구 말대로 '파란만장'이나 '잔뜩이' 같은 이름으로 했으면 어땠을까 싶다. 하지만 다른 대목에서는 모두 번역이 아주 재미나므로 통과.)
많이있어는 다른 고양이들보다 덩치가 큰데다가 싸움을 아주 잘해서 근방의 고양이들이 벌벌 떤다. 그런 많이있어의 카리스마를 완성하는 것은 바로 그가 글자를 읽을 줄 안다는 것. 전 주인이 그를 두고 외국으로 떠나기 전에 글자를 가르친 것이다. 말이 통하지 않으니 고양이가 글자를 익혔는지 안 익혔는지 주인이 정확히 알 수는 없었겠지만 어쨌든 끈기 있는 반복 학습 끝에 많이있어는 '신문 정도'는 읽을 수 있게 되었는데, 이게 그의 길고양이 생활에 많은 도움을 준단다. 루돌프는 많이있어에게 글자를 배우기로 하고 날마다 모래밭에 글자 쓰는 연습을 한다. '앞발이 먹먹'해지도록. 카드를 뒤집으면서 히라가나를 외웠던 내가 그 위로 겹쳐지는 게 당연하지 않겠느냔 말이다. 참, 머리말에서 루돌프가 말하길, "인간이 인간의 글을 배우는 데도 고생고생하는데, 하물며 고양이가 인간의 글을 배우는 건 더 힘들지 않겠니?" 네에.
그런데 고양이가 글자를 알아서 좋은 게 뭐가 있을까? 두 고양이가 들락거리는 초등학교의 급식실 메뉴판을 읽어서 스튜가 언제 나오는지 알아두는 것도 물론 아주 중요한 일이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이 있다. 바람에 날려 온 포스터를 읽어 집으로 돌아갈 단서를 얻는 것처럼 중차대한 일에도 쓸모가 있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이 있다. 그건 바로 '교양'을 쌓는다는 것이다. 많이있어와 루돌프가 말하는 교양은 책에 나와 있으니 내가 말하지 않겠다. 다만 이 두 고양이조차 모르는 사실이 있으니, 그것은 이들이 글자를 알게 되면서 생각과 생활과 모험의 범위가 넓어지고 더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게 되고 끝내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데 성공한다는 것이다. (이건 한 편의 좋은 동화가 한 사람에게 끼치는 영향과 일치한다.) 물론, 인간의 글자 따위를 모른다고 해서 고양이들이 생활하는 데 큰 지장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분명히 드러난다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이긴 하지만.
그런데 '글자를 배우는 고양이'라는 건 이 책에 들어있는 촘촘한 모험담의 일부에 불과하다. 고양이 눈에 비친 인간 군상, 많이있어의 숨은 상처, 그를 견제하는 무서운 개 데블, 그 둘 사이의 다툼이 가져온 뜻밖의 결과, '미련한 자는 절망을 안고 사는 법', 루돌프의 마지막 결정, 그리고 다음과 같은 중요한 대목이 결말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나는 말할 수 없다.
 |
|
|
|
"야! 비둘기 너! 한입 거리도 안 되는 자식이 까불고 있어. 한 번만 더 이 부근을 얼쩡거려 봐라. 그땐 두 귀때기를 싹둑 잘라 도라에몽 얼굴로 만들어 주겠다, 알았냐!"
그렇게 말하고 비둘기를 노려보니, 비둘기는 귓불이 없어서 원래부터 도라에몽 얼굴을 하고 있었다. 비둘기는 "꾸우." 하고 한 번 울고는 날아가 버렸다. 나는 좀 머쓱해서 부끄러움을 감추려고
"야, 이 멍청아, 꼴좋게 됐다!"
하고 누가 멍청인지 뻔히 알면서도 그렇게 소리쳐 보았다.
|
|
|
|
 |
마지막 한 페이지까지 손을 떼지 못하게 이어지는 사건들이 얼마나 개연성 있는지, 잊을 만하면 한번 씩 나오는 유머가 얼마나 귀여운지 나는 글로 설명을 할 재간이 없다. 다만 이 책이 (필시 사연이 있을 것이나 납득하기가 어려운 표지에도 불구하고) 바로 네꼬 씨가 뽑은 '올해의 책'이라는 것을 밝혀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