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바쁜 일들을 끝내고 잠시 숨을 고르는 시기. 체력이 이 지경까지 와 있었는데 어떻게 버텼지? 싶을 정도로 2,3일간 피로의 바다에서 허우적거렸다. (하지만 주위의 증언에 의하면, 상태는 엉망이나 눈빛만은 일 끝나고 즐거워서 죽어가는 사람이었다고.) 어제는 정말로 오래간만에 장을 봐서 밥을 해 먹었다. 밥을 새로 하는 것은 물론이고, 고기도 볶고 오뎅조림도 하고 국도 만들어 먹었다. 가루가 녹다 못해 가라앉을 정도로 진한 아이스티를 마시면서 태권도 경기를 관람. 10시도 되기 전에 졸음을 이기지 못해서 겨우 설거지만 해놓고 잠을 잤다. 출장 갔던 동거녀가 들어오는 소리도 못 듣고 쿨쿨. 그런데 새벽에 눈을 떠 보니 바깥에 눈이 오는 게 아닌가. 좁쌀만 한 하얀 눈이 쌓일락 말락, 그 위로 우리 개 똘이가 뛰어다닌다. 어? 여긴 옛날 우리집 마당인데? 아이코, 꿈이잖아. 덕분에 새벽부터 "나는 눈이 좋아서 꿈에 눈이 오나 봐. 온세상이 모두 하얀나라였지 어젯밤 꿈 속에" 하는 동요가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았다. 이상하다, 나 눈을 그렇게 좋아하지도 않는데.
2. 바쁜 중에 이따금 올림픽 경기를 보았다. (초기에 내가 보던 시점에서) 은메달 7개 동메달 4개 딴 프랑스보다 금메달 하나 딴 타이가 메달 순위 우위에 있는 걸 보고, 저러니 금메달 금메달 통곡을 하지 쯧쯧 소리가 절로 났다. 올림픽 방송의 상업성이야 더 말할 것 없지만, 이렇게 한번씩 나와 전혀 다른 세계를 사는 사람들을 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싶다. 나는 베드민턴은 그냥 점심 먹고 하는 운동인 줄 알았다. 이렇게 박진감 넘치는 운동이었다니! 화면으로도 잘 못 알아보겠는 셔틀콕을 어떻게 보고 쳐 낸담? 인간이 어떻게 저만큼이나 뛰어? 나와 동거녀는 "악! 얘! 얘! 얘들아! 어머!" 소리를 연발하며 다소 방정맞게 베드민턴 경기를 보았다. '역도'라는 경기의 특별한 뉘앙스에 대해 숙고해보았는데 그건 꽃양배추님이 너무 훌륭하게 써주셨으므로 패스.("나는 못생긴 나무를 본 적이 없다"라니 꽃양배추님 너무 멋져! ♡.♡) 육상 남자 100미터 경기를 보면서는 경이로운 인간의 근육에 찬탄했다. 한치의 비효율도 허용하지 않는 몸의 움직임이란. 이름은 까먹었는데 그 신기록 세우고 금메달 딴 자메이카 청년. 자기가 1등인 걸 알고 약간 설렁설렁 뛰어 들어오는 걸 보고 우리 이사님은 끝까지 최선을 다했어야 한다고 (아주 조금) 욕을 하셨지만, 뭐 내가 보기엔 그래서 재미나던데. 이사님, 꼭 최선을 다해야 돼요? 전 회사에서도 최선 잘 안 다하는데.... 욕하실라.
3. 언젠가 책꽂이를 혼자 힘으로 옮기고 섬이라도 하나 옮긴 양 잘난척을 했던 네꼬씨이지만, 고백하건대 내겐 어려운 일들이 참으로 많다. 다음은 혼자서 작성해본 난이도 부등식. 당연한 얘기겠지만 이를테면 다림질이 청소보다 어렵단 뜻이다.
다림질 > 청소
비빔면 만들기 < 짜파게티 만들기
T자 주차 < 일렬주차
물약 먹기 < 가루약 먹기
계란후라이 > 된장찌개
계란후라이 > 오뎅 볶음 (계란후라이는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띄어쓰기 > 맞춤법
자랑하기 < 가만 있기
얼굴 외우기 < 이름 외우기
웃었던 일 잊기 > 억울한 일 잊기
4. 아무래도 마음은 줏대가 없는 모양이다. 체력이 떨어지니 마음도 덩달아 약해지고, "바쁨" 모드로 빗장을 걸어 막아두었던 상심의 파도가 고양이 노란 털을 흠뻑 적신다. 다음 주부터는 특별 체력 관리에 들어간다. 운동도 하고(이 얘기를 여기 적는 것은 '공언'을 함으로써 나를 압박하려는..... 말하자면 배수진. ㅠㅠ) 술도 줄이고(끊을 수는 없으니) 아침 꼭 먹고 일찍 자겠다. 재밌는 책 많이 읽고 웃기는 글을 쓰고 좋은 음악을 듣고 멋진 그림을 보겠다. 다른 서재에도 열심히 기웃대고 온갖 참견을 서슴대지 말아야지. (응? 이건 좀 이상한가?) 지금 네꼬씨는 이런 분들과 함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