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박 인터뷰'에 출연한 황석영 선생은, 작가가 정치에 대해 이러니저러니 말하는 것을 좋지 않게 보는 시각이 있다는 PD의 조심스러운 질문에 아주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자기가 몸 담고 있는 사회에 참여하는 것은 작가로서의 직업 윤리"라는 내용이었는데, 역시 중견 작가의 배포인가, 여하간에 그 당당한 모습은 멋져 보였다. 이 책을 읽기 시작한 데는 그 인터뷰의 힘이 컸다.

바리의 이야기에 몰입하는 것은 단숨에 이루어졌다. 짧지만 힘있는 문장, 정연하게 정리된 문단, 소설 속의 인물들이 내 귀에 대고 말하는 것처럼 생동감 있는 대화 등, 작가의 역량에 새삼 놀랐다. 바리가 컨테이너에 실려 밀항하는 장면에서는 나까지 처참한 기분이 들었고, 딸을 잃기 전 "그날따라 이불이며... 얼마나 더러워졌는지 발견했다"하는 대목쯤에서는 나 역시 그녀의 불행을 예감하고 심장이 두근거렸다. 무엇보다도, 탈북 소녀 바리가 중국을 거쳐 영국까지 건너가는 여정은 개인의 삶이 세계사와 어떻게 긴밀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한국의 장편 소설들이 사회에 경도되어 개인의 삶을 너무 등지고 있다고 여겨온 내 생각은 여기서 바로잡혔다. 그래, 소설이 관심을 갖는 사회는, 개인이 살고 있는 사회다.) 현실의 전쟁과 지옥도는 작가의 손을 통해 하나의 거대한 그림으로 완성된다.

바리가 서사무가 속의 바리데기처럼 산 자와 죽은 자를 위로하는 여신인 것은, 그녀가 여행길에 만난 피투성이의 영혼들을 위해 울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다른이의 고통을 자신의 것처럼 실감하고, 그 고통의 의미를 알기 위해 온몸으로 함께 괴로워하기 때문이 아닐까. 나는 그녀가 찾는 생명수는 그녀가 다른 사람을 위해 흘리는 눈물이라고 생각했다. 소설의 마지막 문장이 이 생각에 힘을 실어준다. "내가 흐르는 눈물을 두 손으로 닦으면서 걷다가 돌아보니 알리도 울고 있었다." 전쟁과 기아의 고통으로 얼룩진 세계를 바로잡은 일은 요원해보인다. 한두 사람이, 한두 나라가 해결할 수 있는 일이 물론 아니다. 우리는 거기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같이 울어주는 데서.

문학계에서 '장편소설의 위기'를 걱정하는 소릴 들었다. 호흡이 짧아 장편소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나는, 그게 부흥운동으로 되나? 예술에도 자연도태가 있는 법이지, 하고 냉소적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이 소설을 읽고 나니 여타의 예술을 가능하게 하는 이야기의 힘, 장편의 힘을 믿게 된다. 책장을 덮은 지 일주일이 지나도록 내내 감동이 떠나지 않는다.


댓글(2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urnleft 2007-08-09 1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인적으로 황석영 작가님을 참 좋아하고 이 책도 여기저기 좋은 평을 많이 읽었는데, 마케팅이 너무 요란했어요 -_-; 그러니까 책이 어쩐지 싸구려 소설 같이 느껴져서 손이 안 가더라구요. 아무래도 시간이 좀 지나야 읽어볼 것 같네요.

비로그인 2007-08-09 14: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작가의 이름을 보는 경우도 많지요.
제목만 들었을때는 별로라고 생각했는데 황석영이라니 반전되는 상황이요.
리뷰 잘 읽었어요.

네꼬 2007-08-09 17: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좌회전님.
(매번 이렇게 부르는데, 턴레프트님보다 이게 좋아서... 괜찮으시죠? ^^)
아, 마케팅이 그랬던가요? (저도 광고가 싫어서 안 사는 제품이 간혹 있으니, 그 심정 압니다만. ㅋㅋ) 널리 알리고픈 마음에 그랬던 게 아닐까요? -_- 하지만 아무튼 작품은 좋으니 나중에라도 꼭 읽어 보세요. 저는 참 좋았습니다.

민서님.
저도 제목은 좀 의아했어요. 혹 억지스럽게 갖다 붙이면 어떡하나 걱정도 약간. 그런데 역시 굉장한 소설가구나, 싶어요.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그 이음새들이란!

마노아 2007-08-10 0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같이 울어주는 데에서 시작한다는 말에 희망을 봅니다. 저도 네꼬님과 같이 울래요.

2007-08-10 07: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네꼬 2007-08-10 1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노아님.
때로는 같이 울어주는 게 어디 비할 수 없는 힘이 되기도 하지요. 저는 같이 울어주는 마노아님 덕분에 웃습니다. : )

비밀님.
흠--- 믿어줄까요 말까요? ㅋㅋ (휴-- 그래서 그랬다니 다행이다. 난 또!)

2007-08-10 11: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프레이야 2007-08-10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아직 못읽었지만 네꼬님 리뷰에 추천^^

네꼬 2007-08-10 17: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비밀님.
말씀 드린 대로예요. ㅠ_ㅠ 정말 사람들에겐 다양한 관점이 있는 걸까요?

혜경님.
앗, 감사합니다. ^^ 언제 기회되면 책도 꼭 보시어요. : )

라로 2007-08-10 1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 읽고 싶다는 생각은 있었지만
첫째 제목이 그랬고
둘째 마케팅이 요란하다보니 제목에 대한 반감에 가 되서 읽지 않았는데
이 책을 읽으신 분들은 다 님처럼 역시!라는 말을 하더군요.
리뷰 감사합니다.

네꼬 2007-08-11 1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비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저도 나비님 서재를 들락거렸는데 ^^ )
황석영 선생이 살짝 무서워질 정도였어요. 아니, 헛것을 보는 바리의 묘사가 얼마나 실감나는지요. 개인적으로는 오래간만에 몰입이 되었던 소설입니다. 자자 외적인 것들은 모두 잊으시고--

2007-08-11 15: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08-11 17: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무스탕 2007-08-11 15: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동안 이 소설을 읽어볼까 어절까 고민했는데 (저도 제목에서 걸려서요..) 네꼬님 리뷰를 보니 보고싶어 졌어요.

네꼬 2007-08-11 17:58   좋아요 0 | URL
저도 제목이 좀 부담(?)스러웠던 게 사실인데, 읽고 보면 딱 맞는 제목이긴 해요. 보세요 보세요.(부채질~)

2007-08-11 17: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08-11 17: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짱꿀라 2007-08-13 15: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꼬님, 저는 바리데기 소설이 잘 눈에 들어오지 않네요. 아마 작가를 그리 좋아하지 않아서 그런 것 같아요. 옆지기가 책을 사서 다 읽고 읽어보라 서재실 한켠에 놨두었는데 잘 눈이 가질 않습니다. 근데 네꼬님 리뷰 읽어보니 읽어볼까 하네요. 뜨거운 여름 잘지내고 계시죠.

산사춘 2007-08-14 04: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년에 오래된 정원 읽고 좀 그래서 쉬고 있었는데,
네꼬님이 이리 써주시면 읽을 테야요. 아자!

네꼬 2007-08-14 09: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타님.
저도 몇 개 단편밖에 읽은 게 없어서 그간은 잘 몰랐어요. 뭔가 '이야기'가 읽고 싶다 생각해 시도한 건데 그러기엔 참 좋았습니다. 근데... 엉뚱한 얘기지만... 부러워요. 옆지기님이 사서 읽은 책, 좀 읽어보라고 서재에 둔다.... 멋져요. (쓰고 나니 정말 엉뚱한 소릴..)

산사춘님.
전 작년에 "오래된 정원" 영화에 뜨악. 어찌나 클리셰가 넘쳐나는지. 최악의 대사 : "너답지 않아" "나다운 게 뭔데?" -_- 하지만 이런 대사도 있었죠. : "(시가) 아주 의젓하네" 그후로는 "의젓하다"는 단어를 즐겨 쓰는 네꼬라 한다. 춘님 흉내.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