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단박 인터뷰'에 출연한 황석영 선생은, 작가가 정치에 대해 이러니저러니 말하는 것을 좋지 않게 보는 시각이 있다는 PD의 조심스러운 질문에 아주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자기가 몸 담고 있는 사회에 참여하는 것은 작가로서의 직업 윤리"라는 내용이었는데, 역시 중견 작가의 배포인가, 여하간에 그 당당한 모습은 멋져 보였다. 이 책을 읽기 시작한 데는 그 인터뷰의 힘이 컸다.
바리의 이야기에 몰입하는 것은 단숨에 이루어졌다. 짧지만 힘있는 문장, 정연하게 정리된 문단, 소설 속의 인물들이 내 귀에 대고 말하는 것처럼 생동감 있는 대화 등, 작가의 역량에 새삼 놀랐다. 바리가 컨테이너에 실려 밀항하는 장면에서는 나까지 처참한 기분이 들었고, 딸을 잃기 전 "그날따라 이불이며... 얼마나 더러워졌는지 발견했다"하는 대목쯤에서는 나 역시 그녀의 불행을 예감하고 심장이 두근거렸다. 무엇보다도, 탈북 소녀 바리가 중국을 거쳐 영국까지 건너가는 여정은 개인의 삶이 세계사와 어떻게 긴밀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여실히 보여주었다. (한국의 장편 소설들이 사회에 경도되어 개인의 삶을 너무 등지고 있다고 여겨온 내 생각은 여기서 바로잡혔다. 그래, 소설이 관심을 갖는 사회는, 개인이 살고 있는 사회다.) 현실의 전쟁과 지옥도는 작가의 손을 통해 하나의 거대한 그림으로 완성된다.
바리가 서사무가 속의 바리데기처럼 산 자와 죽은 자를 위로하는 여신인 것은, 그녀가 여행길에 만난 피투성이의 영혼들을 위해 울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다른이의 고통을 자신의 것처럼 실감하고, 그 고통의 의미를 알기 위해 온몸으로 함께 괴로워하기 때문이 아닐까. 나는 그녀가 찾는 생명수는 그녀가 다른 사람을 위해 흘리는 눈물이라고 생각했다. 소설의 마지막 문장이 이 생각에 힘을 실어준다. "내가 흐르는 눈물을 두 손으로 닦으면서 걷다가 돌아보니 알리도 울고 있었다." 전쟁과 기아의 고통으로 얼룩진 세계를 바로잡은 일은 요원해보인다. 한두 사람이, 한두 나라가 해결할 수 있는 일이 물론 아니다. 우리는 거기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같이 울어주는 데서.
문학계에서 '장편소설의 위기'를 걱정하는 소릴 들었다. 호흡이 짧아 장편소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나는, 그게 부흥운동으로 되나? 예술에도 자연도태가 있는 법이지, 하고 냉소적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이 소설을 읽고 나니 여타의 예술을 가능하게 하는 이야기의 힘, 장편의 힘을 믿게 된다. 책장을 덮은 지 일주일이 지나도록 내내 감동이 떠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