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호
탁동철 지음, 나오미양 그림 / 양철북 / 2025년 1월
평점 :

드디어 탁동철 선생님의 신간 동화가 나왔다. 따끈따끈한 책이다. 이번 동화는 표지부터 다르다. 의미심장하다. 장호라는 소년이 문제 아동에서 자신만의 세계를 만나며 '자연 속에서 생생하게 자라나는 자연의 아이'로 성장하는 이야기를 탁동철 선생님만의 언어로 써냈다.
초등학교 교사라면 꼭 읽어보셨으면 한다.
다양한 가정의 배경이 가진 아동들이 늘어나고 있다. 통합적인 지원을 통해 위기의 가정환경 속에서 회복되고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이 절실한 아동들이 우리 곁에 있다. 학교라는 공간 안에서 움츠러든 이들의 마음 문을 열 수 있는 가장 최적의 사람은 담임 선생님이다.
담임 선생님의 따뜻한 관찰과 관심, 지속적인 격려가 '장호'를 회복하게 할 것이다. '장호'를 기다려 주고 '장호'만의 특징을 살펴 성장할 수 있도록 기회의 장을 펼쳐주는 '담임 선생님'의 모습이 동화 속에 잘 읽힌다.
탁동철 동화는 다른 동화와 차별점이 있다. 동화에 쓰인 언어들이 어지간해서는 흉내 낼 수 없는 자연의 언어라는 점이다. 자연에서 숨 쉬고 살아 움직이는 동식물을 마치 자연 동감을 연상케 할 정도로 가져왔다. 동화에 등장하는 아이들 모두 자연 속에 최적화된 얘들이다.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오염된 도시의 언어가 아니다. 그들이 생각하는 날 것의 사고는 꾸밈이 없는 기상천외한 아이디어다. 그 누구도 따라 할 수 없는 것들이다.
강원도 속초 양양지역은 오래전 한국 전쟁 당시 피난민들이 고향을 잃고 정착한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이다. 장호의 할아버지가 쓰는 말만 보더라도 생소하게 들린다. 실향민들만이 사용하는 말투다. 탁동철 동화 안에는 시간이 지나면 사라질 그 지역만의 고유한 언어, 생활양식, 문화 등이 녹아있다.
용감무쌍하게 멧돼지 사냥을 떠나는 아이들, 욕하는 사람은 아이든 교사든 구덩이를 파내야 하는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벌, 직접 야외에서 밥 해 먹기 위해 원시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불을 지피는 장면들은 꾸며낸 이야기가 아니라 마치 시골 학교에서 실제로 아이들과 함께 했던 활동이라는 예감이 들 정도로 이야기가 실감 난다.
탁동철 선생님이라면 가능한 일이다!
이제 3월 새 학기 면 선생님들의 사랑과 돌봄이 필요한 많은 '장호'들을 학급에서 만나게 되리라. 탁동철 동화를 떠올리며 쉽지는 않지만 걸어가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