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왜 따뜻한 대화가 힘들까 - 감성부터 파고드는 8가지 말하기 도구
로베르트 버디 지음, 김현정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5년 4월
평점 :

리더의 말 한마디의 파급 효과는 일반 직원들과 비교했을 때 분명 크지 않다고 말할 수 없다. 조직을 운영함에 있어 리더 혼자서 할 수 있는 없다. 구성원들의 마음을 움직여 목표를 향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리더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 중에 하나가 '대화'라고 생각한다. 리더와 직원들 간의 대화가 조직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은 과장된 표현이 아닐 수 있다.
사람은 감정적 존재다. 이성에 앞서 감정이 먼저 움직이는 것이 사실이다. 뇌 구조 측면에서 보더라도 정보 전달은 이성보다 감정이 우선한다는 결과가 나와있다. '제대로 대화하기'위해서는 감정 지능적 소통을 하라고 권한다. 쉽게 말하면 대화에는 기본적 욕구가 뒤따른다는 점이다. 직장 안에서 서로가 대화를 하는 이유는 자율성과 유대감을 충족하기 함이다. 이것이 바탕이 되었을 때 정보가 제대로 전달될 수 있다. 좀 더 깊게 들어가면 정보 중에서도 사실적 정보보다 감정적 정보를 주고받기를 원한다. 직장 안에서 안정적인 소속감을 가지고 일을 능률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감정에 기반을 둔 대화가 물 흐르듯 이루어져야 한다.
리더는 왜 따뜻한 대화를 힘들어할까?
『나는 왜 따뜻한 대화가 힘들까』에 의하면 리더가 직원들과 평소에 하는 대부분의 대화는 상대에게서 어떤 행동을 기대하거나 상대가 어떤 행동을 하지 않기를 바랄 때 일어난다고 말한다. 하지만 상대방에게 동기 부여가 되지 않다 보니 대화의 효과가 미미한 것이 사실이다. 무엇을 원하고, 왜 그것을 원하며 상대에게 어떻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한다.
화자와 청자의 이해관계가 교차하는 지점에는 긍정적인 공통의 경험 즉 윈윈 상황이 존재한다. 감정은 우리 삶에서 가장 영향력이 강한 힘이다. 따라서 중요한 질문을 받는 사람이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은 즉각적으로 대답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과거의 상황을 근거로 상대를 판단할 경우 의미 있는 교류를 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지금 이 상황이 어제와는 다른 상황이라는 것을 늘 인식해야 한다. 바로 앞에 말하는 이 사람도 어제와는 다른 사람임을 매 순간 인지해야만 사실을 판단 없이 받아들일 수 있다. 리더가 따뜻한 대화를 이끌어가기 위한 필수 전제 조건이다.
『나는 왜 따뜻한 대화가 힘들까』에서는 감성 지능적 대화를 위한 여덟 가지 말하기 도구와 여섯 가지 대화 원칙을 제안하고 있다. 분명하게 말하지만 이것들은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변하는 가변성이 있는 것이며 반복과 연습을 통해 내 것으로 만들어야지만 효과가 있다.
따뜻한 대화를 위한 감성 지능적 여덟 가지 말하기 도구는 다음과 같다. _261쪽
1. 감정 : 소통은 이성이 아닌 감정에 좌우된다.
2. 상냥함 : 진정한 소통은 투쟁-도피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때만 가능하다.
3. 관련성 : 사람들은 자신에게 와닿는 정보만 받아들인다.
4. 욕구 : 욕구 충족의 가능성은 협력의 가장 중요한 원동력이다.
5. 서사 : 오해는 다른 사람의 안식을 가정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6. 눈높이 : 위계적인 구조에서는 성공적인 소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7. 침묵 : 할 말은 아끼고 상대의 말을 잘 듣는 능력은 자기 말을 전달하려는 의지만큼이나 중요하다.
8. 현재 : 성공적인 소통은 오직 지금, 여기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대화는 우리가 가장 필요로 하는 기본 욕구다. 모든 대화에는 책임이 따른다. 나와 대화 상대와의 관계는 우리 주변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대화는 눈을 마추지면서 시작한다. 대화를 하는 이유는 관계를 만들기 위함이다. 결국 모든 대화는 일대일이다. 대화 상대에게 온전히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휴대전화를 끄고 상대의 눈을 마주쳐야 한다. 머릿속에 다른 생각을 하지 않고 상대와 눈을 마주치는 것은 상대가 나에게 영향을 미치도록 하기 위함이다. 좋은 대화는 몰입의 순간을 경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