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범도 1 - 포수의 원칙
방현석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6월
평점 :

나라가 없는 백성은 사람이 아니라 짐승에 불과하다. 구한말 일본에 의해 나라를 빼앗기고 군대가 강제 해산된 나라가 과연 나라일 수 있을까. 백성의 선한 움직임을 민란으로 규정하고 외국의 군대가 자신의 백성들을 무차별하게 죽이도록 방관하는 지도자가 과연 한 나라의 믿을만한 지도자라고 할 수 있을까.
자신들이 믿고 있는 신념 아래 양반과 천민의 반상 제도를 철떡 같이 신봉하며 기세 좋게 명분을 삼은 위국 운동이라고 하는 의병 운동은 결국 나라가 놓인 현재의 상황을 제대로 분별하지 못한 어리석은 행동에 불과했다. 나라가 망가지고 혼란한 상황 속에서도 그나마 자신의 목숨을 초개처럼 버리는 무명의 사람들이 있으니 바로 구한말 함경도 일대에서 호랑이를 잡던 포수들이었다.
호랑이를 '범'으로 칭하며 호랑이를 잡는 용맹 무쌍한 그들을 '범포'라고 불렀다. 깎아지른 산세 지형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범포들은 구역을 나누어 포수의 원칙에 따라 질서 정연하게 살아가고 있었다. 양반들에게는 무식한 사람으로 취급받았지만 벼랑 끝 위기 앞에 놓인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아끼지 않았던 이들은 바로 무명의 범포들이었다.
우리가 잘 아는 독립군의 효시였던 봉오통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던 홍범도 장군이 바로 '범포'였다. 범포의 세계에서도 뛰어난 포수장이었고 포연대장이었다. 아마도 홍범도 장군의 이름도 어찌 보면 실제 이름이 아니라 호랑이를 잡는 '범'에서 유래되지 않았을까 짐작해 본다.
홍범도 장군에 대해 우리가 아는 바는 그렇게 많지 않다. 다만 그가 노년에 강제로 이주된 러시아 땅에서 쓸쓸한 최후를 맞이했다는 점과 독립운동 투쟁기에 혁혁한 공을 세웠던 점 등이다. 방현석 작가의 장편소설 『범도』1권 포수의 원칙(629쪽 분량)에는 홍범도 장군의 유년 시절의 생활 모습을 독자들이 유추할 수 있도록 작가의 상상력이 문장으로 잘 나타나 있으며 실제로 함경도 산악 지형에서 포수로써 다져진 탁월한 사격 솜씨가 실감 나게 표현되어 있다.
"총잡이를 세 가지로 나누었다. 복부를 맞춰 낙명시키지도 못하는 총잡이는 백정이고, 심장을 맞춰 고통스럽게 낙명시키는 총잡이는 사냥꾼일 뿐이야. 두부의 급소를 맞춰 일격에 낙명시켜야 포수라고 할 수 있지" _500쪽
기관총과 신식 무기로 무장한 일본군 정예 부대와 산속 지형에서 오랫동안 포수로 살아온 포수 부대를 단순 비교하면 전력 면에서 천양지차다. 하지만 홍범도 장군이 꾸렸던 부대는 외형적으로는 화승총과 일본 군으로부터 노획한 소총으로 간신이 군대의 모양을 갖추었던 것으로 볼 수 있으나 나라를 되찾고자 하는 정신력은 그 누구보다도 압도적인 힘을 발휘했다.
"전쟁의 승패를 가르는 것은 적의 상태와 움직임을 정확히 파악하고 해석하는 정보력이 4할이고, 작전 계획을 세우는 능력이 3할이며, 싸움에 나서는 군병의 역량과 전의가 2할, 선전 역량이 1할이다"_ 588쪽
4정 3작 2전 1선의 원칙으로 부족한 전력을 보완한 홍범도 장군의 대일 전쟁은 오늘날로 말하면 민관군 협력으로 치러낸 전투였다. 나라를 위태롭게 만든 당시의 기득권 세력들은 일본에 넙죽 엎드리고 있을 때에 조선 팔도 무명의 백성들은 두 팔을 걷어붙이고 나라를 구하겠다고 자시의 모든 것들을 조건 없이 받쳤다. 그 결과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게 된 것이다.
나라를 위한 첫걸음은 독립운동을 했던 분들의 숭고한 발자취를 찾아보는 일부터 시작이다. 그런 의미에서 방현석 작가의 장편소설 『범도』를 모두에게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