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K. 체스터튼(Gilbert Keith Chesterton, 1874.5.29~1936.6.14)
- 런던 출생. 명문인 세인트폴교(校)를 거쳐 미술과 영문학을 공부하였다. 1900년에 2권의 시집을 간행한 이후로 정치·사회 비평 및 R.브라우닝, C.디킨스, G.B.쇼 등에 대한 문학비평 분야에서 활약하였다. 보어전쟁에서의 국책비평, 후기 빅토리아 왕조의 데카당스 진상규명 등에서 보여 준 그의 통렬한 역설은 가히 '역설의 거장'다운 면모가 있다. 《브라운 신부의 천진함 The Innocence of Father Brown》(1911)에서 시작되는 탐정소설 〈브라운 신부 시리즈〉는 5권 약 100편에 이른다. 체스터턴 자신도 1922년에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였기 때문에, 이 소설에 등장하는 브라운 신부의 역설적인 언동은 자주 작자 자신에게 비유되는데, 사실은 이 모델은 작자의 친구인 J.오코너 신부라고 한다. 1922년 로마가톨릭으로 개종한 체스터턴은, 절친한 벗인 J.H.P. 벨록과 함께 가톨릭 문필가로서 G.B.쇼, H.G.웰스 등과 논쟁을 벌이기도 하였다.
E.M.포스터(Edward Morgan Forster, 1879.1.1~1970.6.7)
- 런던 출생. 케임브리지대학교 재학 중 학내의 자유주의 그룹에 참가하였다. 빅토리아왕조의 도덕이나 가치관에 반발, 그리스 문명에 대한 동경에 사로잡혔다. 그들의 모임은 나중에 '부룸즈버리 그룹'으로 발전하여 당시의 지도적 문화 서클이 되었다. 졸업 후 이탈리아로 가서 《천사가 두려워하는 곳에 Where Angels Fear to Tread》(1905), 《가장 길었던 여로(旅路) The Longest Journey》(1907), 《전망 좋은 방 A Room with a View》(1908)을 썼다. 1910년 그의 가장 원숙한 작품이라고 평가되는 《하워즈 엔드 Howards End》를 썼고, 또 1924년에 발표한 대작(大作) 《인도로 가는 길 A Passage to India》에서는 동서문명의 대립과 인간이해의 어려움을 상징적으로 그렸다. 그 밖에도 환상적인 작풍의 단편집, 여행기·전기·수필, 독창적인 소설론 《소설의 제상(諸相) Aspects of the Novel》(1927) 등의 논평 및 기타의 저작이 있다. 20세기 영국을 대표하는 작가의 한 사람이다.
서머셋 몸(William Somerset Maugham, 1874 ~ 1965)
- 영국의 작가·극작가이다. 파리에서 출생하여 처음에는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의학을 공부하였으나, 뒤에 문학으로 전향하였다. 그는 동양의 신비에 대한 강한 동경심을 나타내고, 인생관을 강하고 명석한 문체로 묘사하였으며, 특히 기지와 해학이 넘치는 대중적인 풍자 희극의 전통을 세웠다. 제 1·2차 세계대전 때에는 정보 기관원으로 활약하였으며, 그 체험을 소설화하기도 하였다. 작품으로는 《인간의 굴레》, 《달과 6펜스》, 《람베스》, 《인생의 베일》 등 소설과 《훌륭한 사람들》, 《순환》 등 희곡이 있다.
여행길에서 [전망 좋은 방]을 읽고 돌아와 브라운 신부의 [비밀]을 다시 한 번 읽으면서 생각했다. 내가 영미문학을 싫어한다고 했었던가? 수정해야겠다. 현대미국문학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E.M.포스터는 내 손에 꼽히는 작가로 단숨에 등극했고, 난 회사에 와서 컴퓨터를 켜자마자 찾아봤다. 이들 셋은 모두 19~20세기의 영국작가다. 태어난 시기도 비슷하다. 나는 전생에 영국의 예술가였던지라 이들과 교류했던 취향이 남아있는것인가- 라며 헛생각을 할 때쯤..
나쓰메 소세키, 헤르만 헤세,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발터 벤야민.
내 손에 꼽는 작가 모두 19~20세기의 작가라는 것을 간신히 떠올렸다. 난 그저 근대문학을 좋아하는 것이었을 뿐 전생은 무슨;; 그 때는 어떤 시대였을까. 그들은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을까. 아무리 책을 읽어도 나로써는 절대 알 수 없는 그 세계가 너무나도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