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내 ㅇㅇ교육청에서 진행한 학교도서관 담당교사 연수에 <사서의 즐거운 책 읽기>를 주제로 강의했다. 도교육청에서 학교도서관을 담당하는 후배 사서가 강사로 나를 추천한 것이다. 연수중 한 꼭지를 담당하는줄 알았는데 내 강의가 행사의 전부다. 대부분 도서관 또는 독서교육을 담당하는 초.중학교 선생님들이 참여했다. 일주일전부터 어떤 강의를 할까 고민하다 담당장학사님이 도서관에 주인의식을 갖도록 열정을 불어 넣어달라는 부탁을 하셔서 내 삶을 들려줬다.
책 안읽던 아이가 문헌정보학과에 들어와서 책을 읽기 시작한 것, 도서관장의 꿈, 도교육청 및 중앙도서관에서 추진한 독서관련 사업, 늦은 나이에 대학원 진학, 꿈을 이룬 이야기, 신문에 서평쓰는 일 등.....조금은 포장해서 풀어나갔다. 그리고 책은 네모다, 내 인생의 책, 사서의 마인드, 책은 왜 읽는가,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을 이야기하면서 내가 진행한 사례 중심으로 노하우를 전수(?)했다.
내 인생의 책을 이야기하면서 박웅현의 '책은 도끼다'는 인문학의 기본이며 문학의 개론적인 내용이라는 설명과 함께 읽은 사람 손 들어보라고 하니 한명도 없었다. 쑥스러워서 손을 들지 않은 걸까? 꼭 읽으라고 신신 당부했다. 그리고 백석평전의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시를 들려주면서 책 내용도 설명해주고, 논어정독도 소개했는데 넘 부담스러우려나?
책은 네모다에 네모를 채우라고 했더니 '책은 무겁다. 책은 눈꺼플을 무겁게 만드는......', '책은 가까워질 수 없는 친구이다' 라는 대답도 의외로 나왔다. '책은 내 삶을 알록달록 채색해주는 물감이다', '책은 나의 편한 친구이다'라고 쓴 선생님께 각 책 1권이랑 내가 만든 캘리그라피 책갈피를 선물로 줬다.
2시간동안 열강(?)을 해서 2교시에는 목소리가 잠기기도 했지만 내가 말할 수 있는 대부분을 들려준 듯하다. 역시 난 1회성 특강 체질이다. 내년에 똑같은 사람에게 강의하라고 하면 할 내용이 없을듯. 초롱초롱한 눈빛, 열심히 받아적고 사진 찍는 모습 보니 성공이다.
**
내게 기차는 설렘이다. 청주에서 기차 타고 제천 가는 길에 창밖으로 보이는 연두빛 나무 빛깔이 참으로 싱그럽다. 내 차를 타고 다닐때의 느낌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역시 여행의 꽃은 기차다. 일본 여행에서 후쿠오카, 유후인, 나가사키로 이동할때 탔던 기차 밖 고즈넉하고 정갈한 풍경, 기차에서 먹던 에키벤이 생각난다. 아 그리워라!
기적의도서관장인 친구랑 미리 만나 박달재 식당에서 한방 불고기 정식 먹고, 분위기 좋은 Thursday 카페에서 커피 마셨다. 살랑살랑 부는 바람, 맑은 하늘, 고운 햇볓아래 우리는 여유롭게 도서관 일상을 나누었다. 친구이자 도서관 동지로 서로 윈윈하는 사이가 참 좋다. 밥이랑 커피 사준것도 고마운데, 빵이 맛있다며 아이 주라고 빵까지 안겨준 친구에게 미안함과 고마운 마음이 든다. 다음엔 청주에서 보자구~~~~ 모처럼 여행하듯 봄을 제대로 즐겼다. 역시 오랜 친구가 그 곳에 있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