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프니 듀 모리에 - 지금 쳐다보지 마 외 8편 ㅣ 현대문학 세계문학 단편선 10
대프니 듀 모리에 지음, 이상원 옮김 / 현대문학 / 2014년 7월
평점 :
우리가 다시 만난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모든 것은 미리 정해진 일이었다. 나는 우리 인생이 트럼프 카드와 같다고, 누굴 만나고 누구와 사랑에 빠지는지는 카드가 어떻게 섞이는지에 달려 있다고 믿는다. 운명의 손에 들려 게임 판으로 나간 카드는 버려지기도 하고 다른 손에 넘어가기도 한다.
- 대프니 듀 모리에 <몬테베리타> 중
대프니 듀 모리에의 단편들은 농밀하다. 압축적이다. 일상의 균열로 그 사람의 삶 전체에 건 헛된 기대와 믿음을 배반하는 이야기들이다. 상대를 의심했는데 결국 문제는 나였다. 나만 소외되어 세상은 돌아가는 것 같은 느낌, 결국 우리가 기대는 모든 것들이 얼마나 허룩한지 허약한지를 드러내는 이야기들이 남기고 가는 나머지는 결코 '내'가 아니다. 이 모든 무자비한 우연성, 비논리성, 불합리가 나마저 해체한다. 그렇다고 해서 허무주의로 귀결되는 것도 아니다. 미스테리적 긴장을 놓치지 않으면서 삶 그 자체에 대한 진지한 시선을 유지하는 미덕은 흔한 것이 아니다. 대프니 듀 모리에니까 할 수 있는 것들이 분명 있다.
<지금 쳐다보지 마>에서 '나'는 아이를 잃고 이탈리아 여행지에서 우연히 마주친 쌍둥이 노자매의 허무맹랑한 신비한 예지 능력에 기대는 아내를 비판한다. 아내는 나약하고 나는 강인하다고 논리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반전은 그것마저 하나의 허상임을 일깨운다. 나는 결국 나의 미래를 본 것이라는 각성은 뼈아프다.
히치콕 감독의 <새>는 대프니 듀 모리에의 동명의 단편을 영화화한 것이다. 대자연의 재앙은 인간의 대비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딛고 있는 일상의 견고함 또한 그렇다. 내가 보내는 하루하루들, 내가 믿는 사람들, 내가 나라고 여기는 것들의 지반 자체가 흔들릴 때 그 어떤 것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은 <눈 깜짝할 사이>에 일어나서 나를 덮친다. 심지어 내가 살고 있다고 여기는 시간, 공간적 공간 또한 미심쩍다. 과거를 회고할 때 흔히 우리는 그 시간, 그 공간에 나로 있었던 나날들조차 실재했었는지 확신할 수 없을 때가 있다.
<푸른 렌즈>에서 여주인공 마다가 시력 복원 수술을 하는 동한 임시로 꼈던 푸른 렌즈는 주변 사람 모두를 끔찍한 동물들 형상들로 변모시킨다. 마다는 모두를 의심하게 된다. 그들의 선의, 배려 등도 그 렌즈를 통과하면 미심쩍고 사악한 것으로 드러난다. 이것은 거대한 은유다. 우리가 모두 사회적 페르소나를 입고 사회에서 생활하는 동안 그 아래 맨얼굴은 어떠할 것인가에 대한 고찰이 놀랍다.
마지막 <몬테베리타>는 감동이 있는 진지한 모색이다. 동양적 이상향인 무릉도원이 연상되는 '몬테베리타'로 떠나버린 여인을 끝까지 잊지 못하는 두 남자의 삶. 한 사람은 여전히 세속에 발을 담그고 나머지 한 사람은 결국 세속과 몬테베리타의 경계에서 헤매다 죽음을 맞는다. 우리가 있는 여기를 '홍진'에 비유한 것, 거기에서 바라보는 이상향인 몬테베리타 또한 일종의 환상에 불과하다는 것. 거기에 도달해서 버리고 포기해야 할 것들에 대한 냉정한 직시, 직관이 빛나는 작품. 산다는 것과 꿈꾸는 것의 경계에 선 작가의 성찰이 뭉클하다. 결국 여기에서도 저기에서도 우리는 모든 것을 가지거나 누릴 수 없다는 한계의 자각에서 우리는 다시 출발한다.
대프니 듀 모리에는 여전히 놀랍다. 흥미로운 이야기를 하며 진지한 고민을 하는 방법을 아는 영리한 작가다. 그녀를 읽는 일은 결국 우리 삶의 독법과 만난다. 허무하고 시간 낭비가 아닌 일. 읽기의 무게를 여전히 실감하게 하는 작가에게 고마움을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