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열네 살이고, 그녀도 열네 살이었다. 그게 우리가 만나기에 실로 마땅한 나이였다. 우리는 사실 그렇게 만나야 했다.

-무라카미 하루키 <여자 없는 남자들> 중 

 

 

 

 

 

 

 

 

 

 

 

 

 

 

 

 

 

 

하루키가 사회의 시스템의 맹점을 탐사하는 방식, 시선이 비범하다고 생각하지만 그가 여성을 묘사하는 그 독특한 성적 판타지가 때로 불편하다. <여자 없는 남자들>에서의 남자들은 아내나 연인의 배신을 경험한 이들이다. 그들에게 여성은 삶에 아연한 흠이나 공백을 남기지만 그녀들이 곁에 있었을 때에 차지했던 공간은 다분히 성적이다. 여자가 떠나고 남자는 성장한다. 그 성장이 한때 여자와 함께 공유했던 시간 덕분이었는지 아니면 여자가 떠나고 남긴 그 필연적 상실감과 상처 때문인지 모호하다. 그에게서 여성은 너무 가볍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필립 로스가 여성을 그리는 방식에도 논란이 있다고는 하지만 그에게서는 인간의 성적 욕망에 대한 솔직함과 더불어 여성을 동등한 동반자이자 존재로 그린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하루키에게서는 그런 느낌을 받지 못했다. 그럼에도 마지막을 장식한 같은 표제의 <여자 없는 남자들>의 십대에 만났던, 혹은 십대의 정서와 그 순수한 사랑의 교감을 간직했던 여자가 떠난 이야기는 아련한 마침표다. 하루키는 영리하다. 이미 성장해버리고 이미 사회 시스템의 각종 억압에 길들여진 사랑의 기호를 밀고 나가 도착하고 싶은 지점을 그는 간파한다. 순수하고 어리석었던 시간들의 흔적. 소년과 소녀의 사랑.

 

 

 

 

 

 

 

 

 

 

 

 

 

 

 

 

 

 

십대 소녀인 나?

그 애가 갑자기, 여기, 지금, 내 앞에 나타난다면,

친한 벗을 대하듯 반갑게 맞이할 수 있을까?

나한테는 분명 낯설고, 먼 존재일 텐데.

<중략>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충분하다> 중 '십대 소녀'

 

 

폴란스의 시인 쉼보르스카는 더 나아가 시 습작을 하던 십대 소녀 시절의 자신을 불러낸다.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노시인 앞에 선 그녀의 소녀는 낯설고 미숙하다. 그리고 그녀의 느낌은 반갑다기보다는 낯설고 당혹스러워 보인다. 어쭙잖은 확신들 속에 선 소녀 앞에서 그녀의 성장과 노쇠는 조금 안타까운 것도 같다. 그녀는 그녀의 소녀로 돌아가고 싶어한다거나 그리워하는 모습이 아니다. 언제나 삶의 비의를 양파 껍질을 하나씩 벗겨내듯 포박해 들어가려 했던 시인은 성장과 시간의 무게를 그 숱한 미숙한 실수들과 시행착오들의 도정을 다 같이 존중한다. 사랑을 포기하지 않지만 그게 전부는 아닌, 열정과 순수의 가치를 알긴 하지만 그쪽으로 고개를 돌리지는 않는 다른 이야기다.

 

나는 하지만 다시 돌아갈 수만 있다면 또 다시 열네 살로 다시 기꺼이 갈 것같다. 미숙하지만 어설프지만 이미 잘못된 결론이 될 것들로 가득했지만 그래도 그 힘겨웠던 시간을 또 다시 살고 싶다. 이유는 그냥 그러고 싶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6-03-12 09: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블랑카님, 마지막 단락, 저도 동감이에요.
그리고 하루키는 영리하기도 영악하기도 귀엽기도 하다는 생각이 들구요.
그 시절, 열 네살의 시절로 돌아가 다시 살고 싶은 이유는 그냥 그러고 싶다,예요.^^
봄햇살에 속지 말고 아직 차가운 봄바람에 감기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blanca 2016-03-13 13:21   좋아요 0 | URL
프레이야님, 오늘도 역시 바람이 너무 차요. 빨리 따뜻해졌으면 좋겠는데...
하루키 안에는 정말 많은 것들이 있는 것 같아요. 쉽게 섞이기 힘든 것들이 한데 모여 있어서
알다가도 모를 작가인 것 같고 바로 그 점이 대중성을 띠는 것 같기도 하고..아직 소설은 많이 읽어보지 않아 사실 진지하게 이야기하기 힘들기도 해요. 프레이야님도 꽃피는 봄 함께 기다리며 감기 조심하세요.^^

기억의집 2016-03-12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맞아요. 그는 언제나 여자의 배신을 말하죠!!! 그러면서 시작되는 모험! 하루키는 문장도 좋은 작가같아요.

blanca 2016-03-13 13:24   좋아요 0 | URL
기억의집님, 하루키는 참 신기한 게 갑자기 `쨍`하는 문장이 막 나와요. 분명 스토리텔러적인 강점이 있는 작가인데도 문장까지 잘 잡고 있어서... 하지만 역시 전적으로 좋아하기에는 참 저한테는 무언가 찝찝한 작가입니다.--;; 여성을, 사랑을 그리는 방식이 거슬려요.

단발머리 2016-03-12 11: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필립 로스가 여성을 그리는 방식에도 논란이 있다고는 하지만 그에게서는 인간의 성적 욕망에 대한 솔직함과 더불어 여성을 동등한 동반자이자 존재로 그린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하루키에게서는 그런 느낌을 받지 못했다.

이 문장이 너무 좋네요. 제가 필립 로스에 대해 느꼈던 지점, 그리고 말로는 정확히 표현하지 못했던 걸 블랑카님이 꼭 찍어서 말씀해 주시니 너무 후련하고 시원해요. 하루키의 소설에서는 여성이 `성행위의 대상`으로서만 느껴져서요. 사람 같지 않고요.
필립 로스 작품에서는 다르다는 걸 느끼는데, 그의 작품을 읽을 때면 저는 제 자신을 욕망의 주체인 남성으로 느껴요.
제 스스로가 느끼는 욕망으로 느껴진다는 거죠. 필립 로스를 사랑하지만, 부담스러워하는 이유예요.
제 자신을 너무 많이 보여줘야 해요.... ㅎㅎ

blanca 2016-03-13 13:28   좋아요 0 | URL
그죠, 단발머리님,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필립 로스와 하루키가 나란히 노벨 문학상의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게 그 지점에서 엇갈린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에 애정을 가지고 그 심연을 들여다 보는 건 같아요. 그런데 하루키는 분명 노골적으로 말하지는 않지만 성차에 대한 왜곡된 시선이 있어요.

필립 로스는 정말 대단한 작가인데 절필을 선언해 버려서 너무 아쉬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