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열네 살이고, 그녀도 열네 살이었다. 그게 우리가 만나기에 실로 마땅한 나이였다. 우리는 사실 그렇게 만나야 했다.
-무라카미 하루키 <여자 없는 남자들> 중
하루키가 사회의 시스템의 맹점을 탐사하는 방식, 시선이 비범하다고 생각하지만 그가 여성을 묘사하는 그 독특한 성적 판타지가 때로 불편하다. <여자 없는 남자들>에서의 남자들은 아내나 연인의 배신을 경험한 이들이다. 그들에게 여성은 삶에 아연한 흠이나 공백을 남기지만 그녀들이 곁에 있었을 때에 차지했던 공간은 다분히 성적이다. 여자가 떠나고 남자는 성장한다. 그 성장이 한때 여자와 함께 공유했던 시간 덕분이었는지 아니면 여자가 떠나고 남긴 그 필연적 상실감과 상처 때문인지 모호하다. 그에게서 여성은 너무 가볍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필립 로스가 여성을 그리는 방식에도 논란이 있다고는 하지만 그에게서는 인간의 성적 욕망에 대한 솔직함과 더불어 여성을 동등한 동반자이자 존재로 그린다는 느낌이 들었지만 하루키에게서는 그런 느낌을 받지 못했다. 그럼에도 마지막을 장식한 같은 표제의 <여자 없는 남자들>의 십대에 만났던, 혹은 십대의 정서와 그 순수한 사랑의 교감을 간직했던 여자가 떠난 이야기는 아련한 마침표다. 하루키는 영리하다. 이미 성장해버리고 이미 사회 시스템의 각종 억압에 길들여진 사랑의 기호를 밀고 나가 도착하고 싶은 지점을 그는 간파한다. 순수하고 어리석었던 시간들의 흔적. 소년과 소녀의 사랑.
십대 소녀인 나?
그 애가 갑자기, 여기, 지금, 내 앞에 나타난다면,
친한 벗을 대하듯 반갑게 맞이할 수 있을까?
나한테는 분명 낯설고, 먼 존재일 텐데.
<중략>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충분하다> 중 '십대 소녀'
폴란스의 시인 쉼보르스카는 더 나아가 시 습작을 하던 십대 소녀 시절의 자신을 불러낸다.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노시인 앞에 선 그녀의 소녀는 낯설고 미숙하다. 그리고 그녀의 느낌은 반갑다기보다는 낯설고 당혹스러워 보인다. 어쭙잖은 확신들 속에 선 소녀 앞에서 그녀의 성장과 노쇠는 조금 안타까운 것도 같다. 그녀는 그녀의 소녀로 돌아가고 싶어한다거나 그리워하는 모습이 아니다. 언제나 삶의 비의를 양파 껍질을 하나씩 벗겨내듯 포박해 들어가려 했던 시인은 성장과 시간의 무게를 그 숱한 미숙한 실수들과 시행착오들의 도정을 다 같이 존중한다. 사랑을 포기하지 않지만 그게 전부는 아닌, 열정과 순수의 가치를 알긴 하지만 그쪽으로 고개를 돌리지는 않는 다른 이야기다.
나는 하지만 다시 돌아갈 수만 있다면 또 다시 열네 살로 다시 기꺼이 갈 것같다. 미숙하지만 어설프지만 이미 잘못된 결론이 될 것들로 가득했지만 그래도 그 힘겨웠던 시간을 또 다시 살고 싶다. 이유는 그냥 그러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