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 대를 거진 다 보내고 나며 달라진 것은 책에 대한 마음가짐도 해당된다. 이제 다 소유하고 다 읽을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한번 읽었다, 해서 '읽었다'고 단정짓지 말고 정말 단촐하게 소유하고 제대로 읽어서 내가 늙어 남은 사람들이 나의 책 처분으로 고생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 들기 시작해서(물론 아닐 때도 있다) 읽는 것도 가지는 것도 처분하는 것도 조금 더 신중해지기로 했다.
얼마 전 고전에 대한 재미를 처음 일깨워 준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를 다시 읽었다. 그런데 참 신기한 게 처음 세 권을 다 읽고 덮었을 때에는 톨스토이의 필력에 압도당해 할 말을 잃을 정도의 감동이 있었는데 그 정도의 감동이 또 다시 오지는 않았고 대신 처음 읽을 때에는 놓쳤던 좀더 디테일한 면들이 눈에 들어오더라는 것이다. 안나보다는 안나를 떠나보낸 그녀의 남편이, 안나와 브론스키의 사랑의 정점보다는 그들의 사랑이 일상으로 가라앉으며 각자 겪게 되는 그 지루한 일상과 지리멸렬한 다툼들이, 레빈의 신중함과 검소함보다는 융통성 없는 면과 모순된 면면들이 가깝게 느껴졌다. 그리고 무엇보다 톨스토이 그 자신이 평생 가진 것들과 가져야만 한다는 것 사이의 괴리에서 괴로워했던 것 만큼 수많은 상충하는 인간들의 수많은 그 복합적이고 모순적인 언행들이 대단히 핍진성 있게 다가왔다. 이것은 정말 죽은 이야기가 아니라 톨스토이 주변에서 살아갔던 인간들의 모습을 그대로 적어낸 것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 만큼 생생해서 이 이야기를 다시 읽을 때마다 그들 모두가 다시 일어나 그 비극적인 삶을 다시 살아내는 게 아닌가 하는 착각마저 든다.
톨스토이의 인간들은 우리 현실에서 쉽사리 만나는, 하지만 차마 이야기하지 못했던 자가당착, 위선, 위악, 자기기만, 고결함을 한데 모아 보여준다. 어제는 불우이웃 돕기를 이야기했던 사람이 오늘은 슬척 새치기를 하는 모습, 분명 물질적인 것을 포기하고 고결한 이상과 가치를 추구하기로 결심했는데 눈 앞에 아른거리는 예쁜 옷이나 가방 앞에서 괴로운 마음이 나의 것이거나 그의 것이라고는 쉽사리 말하지 못하는 법이다. 언제나 옳은 사람은 언제나 고결하고 야비한 인간은 내도록 그러기를 저도 모르게 예상하고 바라기도 하는 게 조금 더 쉬운 길이니까 그렇기도 하다. 그런데 이러한 미묘한 지점을 톨스토이는 얄미울 만큼 잘 포착하고 보여준다. 그래서 그의 인물들은 대부분 절대적으로 선하거나 악하지 않다. 그리고 처음부터 끝까지 사랑하거나 미워하기에도 적절한 인간형들이 아니다. 그런데 그게 바로 '나'이기도 하고 '그'와 '그녀'의 이야기다.
불륜에 빠져 아이와 남편을 떠나고 마침내 자신의 삶에서마저 떠나 버린 안나는 그래서 미워하거나 비난하거나 전적으로 이해하거나 사랑하기 힘든 인간의 전형을 잘 보여준다. 그녀가 떠난 자리를 애써 담담하게 가장하는 다소 냉혈한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남편 알렉세이의 마음 속에서는 한없이 많은 번민과 고통이 오고 간다. 사랑의 열정에 호응했던 젊은 귀족 브론스키는 그것이 서서히 스러져 가는 자리에서 점차 자신의 것들을 기억해 내고 찾아 나가며 결과론적으로 안나를 고문하게 되지만 그러한 모습 또한 사실적이다. 사랑을 택했다고 해서 사회적으로 추구하고 받들여지는 가치를 전적으로 등지고 살아갈 수 없는 그들의 모습에서 톨스토이는 단선적이거나 단편적인 삶의 경로는 실제적이지 않다는 점을 간파하여 보여준다.
이러한 것들이 두번째에서야 겨우 보였으니 나의 사방을 둘러싸고 있는 이 책들 어느 하난들 제대로 읽었다,고 말하기 어려울 듯하다. 다시 읽으면 또다른 것들이 보이고 놓쳤던 그 수많은 것들이 하나씩 돌아올 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