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미동 사람들
양귀자 지음 / 살림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고3때 독서실에서 이른 저녁을 먹으러 집에 다니러 갔다 다시 돌아가는 길은 정말이지 도살장에 끌려가는 심정이었다. 나를 달래려고 나를 끌고 동네 한 바퀴를 돌곤 했다. 쓸데없이 코끼리 분식점도 기웃거려 보고 88.89 버스 종점도 찍어 보고 레코드점에서 흘러나오는 유행가 가사도 곱씹다 보면 꼭 누구 아는 얼굴 한 사람을 만나 구태여 하지 않아도 듣지 않아도 될 말들을 섞으며 시간을 죽이다 사람 좋은 독서실 아저씨에게 목례를 하고 2층으로 올라가 혼곤한 식곤증에 허덕이다 한 시간도 제대로 책을 못 보고 신 나게 책가방을 싸던 시절이었다. 그 때는 무지개 건너편의 허황한 꿈을 향해 나의 별을 쏘아 올렸지만 정작 그 과정의 고단함은 내가 두 발 붙인 우리 동네를 기웃거리며 허덕허덕 살아가는 아줌마, 아저씨들의 그 파닥거리는 일상을 구경하며 달래곤 했다. 그리고 무언가 아주 대단한 저 편에 살게 될 줄 알았던 삶은 이 편의 동네에서 이럭저럭 타박타박 걸어가는 일상으로 건너와 버렸다. 이제 원래 삶이란 그런 것이고 그 와중에 건져 올리는 아기자기한 즐거움만으로도 어떤 순간은 충만해질 수 있다는 것을 수긍한다. 견디는 것이 삶이라고 얘기하는 음성이 꼭 비애로울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그런 삶이 몇 년 째인가. 잠자리에서 일어나 "오늘이 며칠이지"하고 묻는 생활. 또 다른 십구일과 지금까지의 수많은 십구일들을 지나 오면서 그는 매번 십구일 이외의 다른 날만을 꿈꾼다. 오늘이 십구일이고 또 내일이 이십일이라면 그러한 날들에 대해서는 너무나 잘 알고 있는 그였다. 이십일 혹은 팔일인 줄 알면서도 이십일 혹은 팔일이 아니길 기대하며 눈을 뜨는 아침을 숱하게 지내온 그였다.
-<멀고 아름다운 동네>
이런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부천시 원미구 23통의 원미지물포, 행복사진관, 써니전자, 강남부동산, 형제 슈퍼의 그들. 번갈아 가며 때로는 주인공으로 관찰자로 주변 인물로 변주되면서 다양한 인간 군상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 연작소설집은 환상이나 희망, 기대를 과장하고 꾸역꾸역 들이미는 대신, 삶의 그 적나라한 모순, 추레한 우리들의 속물 근성을 아찔하게 보여준다. 들키니까 아찔하고 날카로운 추억을 끄집어 내니 아프고 별 수 없음을 불쑥 들이미니 아연하다.
그는 지하 생활에 익숙한 사람이었다. 지상으로 올라갈 날이 있기도 하겠지만 지금은 지하의 방 한 칸도, 지하의 일자리 하나도 목숨처럼 소중한 사람이었다. 그의 소망은 그저 일하기 위해 먹은 밥이었으므로 응당 자유롭게 배설할 수도 있어야 한다는, 아주 소박한 것이었다.
-<지하 생활자>
자동차 바닥 커버를 재단하는 일로 목구멍에 풀칠을 하고 공동주택 단 하나의 화장실은 주인집의 안온한 은신처에서 꽉 입을 다물어 버리고 있으니 그는 매일 싸는 일이 전쟁이었다. 이 지하 생활자는 변의를 느끼는 일에서 가장 삶의 비애를 절절히 체감했다. 이리저리 낑낑 거리며 쌀 곳을 찾아 헤매다 거리에 주차해 놓은 자가용, 봉고차의 뒤켠에서 죄인처럼 안도감을 느끼는 그의 모습이 아렸다. 먹고 싸는 일차적 문제는 인간의 존엄을 들었다 놓았다 한다. 생존이 걸린 문제 앞에서 도덕과 예의, 염치를 논하는 작태는 때로 몰이해에서 나온 오만이 될 수 있다.
부딪치고, 아등바등 연명하며 기어나가는 삶의 주인들에게는 다른 이름의 진리는 아무런 소용도 없는 것이었다. 그들에게 있어 인생이란 탐구하고 사색하는 무엇이 아니라 몸으로 밀어가며 안간힘으로 두들겨야 하는 굳건한 쇠문이었다.
-<한계령>
주말 저녁 <아프리카의 눈물> 다큐에서 기근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이주하여 일하는 인접국경의 노동자들이 자신의 일자리를 빼앗는다고 여긴 본토 노동자들이 그들을 산 채로 불태우고 죽이는 광경이 지나갔다. 그저 아이들을 먹이기 위해 뼈가 부서지도록 일했던 아버지가 불태워진 아들은 그럼에도 또 그 아버지가 죽은 나라로 일하러 갈 것을 얘기한다. 삶이란 고작 이런 것인가 싶을 때 아이의 어머니는 다 쓰러져 가는 움막 속에서 구식 다리미로 아들의 하얀 교복을 다린다. 그건 실오라기 같은,하지만 우리가 죽을 때까지 포기할 수 없는 하나의 별이다. 희망이다. 기만일지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