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가 김영수인 걸 처음부터 알았다면 김연수의 책을 읽을 생각을 안 했을것 같다. 김연수를 관심 있어 하게 된 건 딱 두 가지 이유에서다. 이름이 이뻐서. 둘째 작가 시국 선언에 당당히 내민 얼굴이 비겁해 보이지 않아서.


그리고 시작했다. 일단 그의 문장들은 시인 등단 경력 덕택인지 노래 같고 경구 같아 참 이쁘다. 나는 소설을 읽었는데 줄 친 문장들을 모으면 시가 된다. 연인과의 프렌치 키스를 이런 식으로 묘사한다.
그 순간, 그때까지의 내 인생은 물론이고 과연 있을지 없을지 짐작조차 할 수 없는 내 전생과, 그 전생의 전생과, 그 전생의 전생의 전생과, 그 나머지 모든 전생들까지도 아주 근사한 것으로 바뀌었다. 나는 프랑스 사람들에게 진정으로 고마움을 느꼈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다만 아쉬운 점이라면, 공부하는 소설가, 인문학적 지식을 소설에 녹여내는 재능이 있는 작가로 칭찬 받지만 때로 그는 자신의 지식과 공부를 과도하게 소설적 서사에 끼워 놓고 싶어하는 듯 넘친다. 천문학적 지식, 한문학, 근현대 역사가 졸아든 상상력을 눙치는 데 쓰이는 것은 아닌지 가끔 갸우뚱하게 되기도 한다. 김연수를 편애하지만 이 지점에서는 멈칫하게 된다. 오늘보다 항상 내일이 나아지고 있다는 연수님은 그러나 이런 약간 모호하고 넘치는 부분도 곧 귀퉁이를 잘 접어 매끈하게 만들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이 에세이집은 정말 그야말로 완전 근사하고 완전 웃기고 눈물난다. 작가 초년병 시절의 그 절절한 배고픔과 열망이 김연수의 재기와 솔직함과 만나 어떤 향연을 펼치는 지 김연수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꼭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다. 시로 마침내 등단하고 학생 식당에서 눈 마주치는 모든 학생에게 미소를 지어 주는 연수는 짝사랑했던 사람과 손 처음 잡은 날 길거리 사람들마다 다 등을 치고 다니며 여보쇼! 내가 오늘 뭘 한지 얘기좀 들어 주소!라고 하고 싶어했던 나의 그 어처구니없던 시간과 닮았다. 솔직하고 투박하고 여린 나날들을 잘 쓰고 잘 읽히고 싶다는 이차적인 욕심에서 물러나 그려 냈다는 느낌은 독자를 속일 수 없는 작가의 진정성을 추억하게 한다. 이 책 이후로 자기 얘기는 쓰고 싶지 않다던 그가 자신이 읽었던 책에 대한 얘기에 짤막한 소회를 곁들인 이런 책.
소설의 인상적인 대목을 인용하고 거기에 겹치는 김연수의 체험과 감상을 한 페이지 정도 덧붙인 한 권과 현대 한국시들을 싣고 역시 개인적 소회를 곁들인 한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설 부분에서는 사실 이 책을 강력하게 추천한다,는 문구가 단 한 번도 나오지 않는 만큼 추천 도서 목록을 제시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다. 정작 책에 대한 내용은 한 줄 단 한 단어 정도 아, 맞지, 이 책 얘기해야지, 정도로 첨언한 경우도 있다. 청춘의 연수와 마흔 중년의 연수는 많이 달라져 있고 익어 있다. 너무 이쁘고 너무 이뻐서 그었던 줄들은, 이제 고개를 끄덕이며 선배의 말을 경청하듯 사뭇 다른 자세로 그어지게 된다.
 |
|
|
|
그러지 말고, 가능하면 편애하도록 노력합시다. 모든 걸 미적지근하게 좋아하느니 차라리 편애하고, 차라리 편애하는 것들을 하나씩 늘려가도록 합시다. <중략> 좋아하는 사람을 좋아학고, 싫어하는 사람을 싫어합시다. 우리가 이 세상의 판관도 아닌데, 공연히 공정해지려고 반대로 행하지 맙시다.
................................................................................................................................................................................
그러므로 우리의 기분이 자주 더러워지는 걸 이상하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그렇게 만들어졌다. 가만히 놔두면 비뚤어진다. 노력하지 않으면 매사에 하고자 하는 의욕이 사라진다.
|
|
|
|
 |
고로 사람 싫어하는 걸 극도로 두려워하고 중립적인 척 하고 걸핏하면 기분이 더러워지는 나로서는 김연수에 대한 사랑이 쭈욱 지속될 도리밖에 없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