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 젖잖아요. 이리 줘요. 내가 할테니."
한 때는 참 예뻤을 그러나 지금은 삶의 고충들이 가득 괴인 눈매의 청소부 아주머니는 나의 우산을 낚아챘다.
그 축축한 우산을 꼼꼼히 잘 접어 비닐봉지에 넣어 건네는 그녀를 다시 한 번 보았다.
나는 눈을 맞추고 고맙다고 얘기하고 싶었다. 그러나 그 아주머니는 나에게 시선을 주지 않았다.
괜히 뭉클했다. 아주머니가 너무 예뻐서 너무 친절해서. 게다가 빗방울이라니.
모든 사물을 모든 현상을 어리어리하게 그 테두리를 묘하게 번지게 해서 보여주는 빗방울이라니.
젖어도 괜찮은 손이 있다니. 젖으면 안되는 고운 손이라도 가진 것처럼 나를 우쭐하게 해주다니.
가난한 대학생이 개구쟁이 초등학생과 투닥거리며 벌어놓은 돈에서 어버이날 선물을 택할 폭은 넓지 않았다.
삼만 원짜리 가판대 넥타이. 게다가 너희들은 구석진 곳에 삶의 신산함을 주렁주렁 매달고 있는 하필 바로 또다른
고운 아주머니 옆에 누워있었다. 어슬렁대는 나를 아주머니는 불렀다.
"손님, 선물 고르세요?" 손님이라니. 내가 그 가판대에서 넥타이를 몇 개 헤집어 볼 명분으로 충분하다.
"네. 아빠 선물 고르려구요."
"아버님이 사람들 앞에서 프리젠테이션 할 일이 많으신가요? 아니면..."
그 아주머니는 너무나 정성껏 몇 개의 넥타이를 자신의 옷 위에 대보며 어리버리한 대학생을 최고 고객으로 대우해 주었다.
아주머니와 내가 벌인 소박한 패션쇼의 끝에 낙찰된 그 황금빛 넥타이.
그 삼만 원짜리 넥타이는 아직도 가장 중요한 행사에
행운의 부적처럼 아버지와 동행한다.
소위 감정노동을 오년 간 하고 퇴직하면서 가장 많이 남은 아쉬움은 가장 자연스럽게 흘러 나와야 할 감정을
인위적인 틀 안에 구겨 넣어 억지로 끄집어 빼는 듯한 그 껄쩍지근한 과정에 대한 염증스러움에도 불구하고
더 친절하지 못했음이었다.
나는 조금 더 친절해도 괜찮았다. 이 역설 앞에서 이 설명할 수 없는 회한은 내가 때로 무례함을 응징하고자 했던
과욕을 부렸음에도 결국 남은 것은 통쾌함이 아니라 항상 어쩌면 내가 무의식중에 먼저 건드렸을 수도 있을
상대의 허점에 대한 하지 못한 사과였다. 참 이상했다.
왜 시간이 흐르고 나면 남는 것이 항상 더 해대지 못한 것에 대한 억울함이 아니라
가장 무례했던 사람한테조차
넘치게 베풀지 못한 친절함에 대한 아쉬움일까.
45년의 연구와 공부 뒤에 얻은 다소 당혹스러운 결론으로, 내가 사람들에게 줄 수 있는 최상의 조언은
서로에게 조금 더 친절하라는 것이다.- 올더스 헉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