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줄 것이 없어도 내가 역할을 못 해도 나는 여전히 존중받고 사랑받을 수 있을까? 거기에 확신이 없다. 무언가 능력과 가치를 입증해야 어엿한 사회의 성원으로 가치 있는 존재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만 같은 강박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심지어 연인, 부부, 성년의 자식과 부모 관계에서도 이 의심에서 완벽하게 자유로울 수는 없다. 그리고 이것은 모두에게 설명하기 힘든 모호한 불안을 항상 품고 살게 한다.
그러니 모든 것을 다 가졌다고 평가받는 사람도 그러한 것들을 잃었을 때의 스스로에 대한 확신을 장담할 수는 없다. 그냥 내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만으로 전적으로 환대받고 사랑받을 수 있는 세계는 판타지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런 사회를 지향하는 게 잘못된 것일까? 무의미한 것일까?
놀라운 책이었다. 입소문은 들었지만 마지막 장을 덮으며 이런 책을 알아봐주고 베스트셀러가 될 수 있는 이 사회에 희망이 생겼다. 제목처럼 '사람', '장소','환대'의 세 키워드로 우리의 존재, 관계, 삶, 갈등을 고찰하는 책이다. 치열한 탐구와 성찰, 적확한 언어, 적절한 비유가 가독성과 읽는 재미, 앎의 즐거움을 함께 제공하는 책이다. 자신의 분야를 제대로 정성들여 진지하게 탐구한 학자가 자신의 지식과 지혜를 허영이나 자기 과시에 빠지지 않고 일반 대중들에게 알아듣기 쉽게 전달하는 것은 생각만큼 쉬운 작업이 아니다. 그런데 이 책에는 이것을 해내려고 애쓰고 성취를 이룬 저자의 노고가 곳곳에 보인다.
노예제, 전쟁, 사형제도, 외국인의 대우, 안락사, 장기공여 문제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공리주의 혹은 각자의 가치 체계에 바탕하여 은연중에 사람의 목숨과 그 가치의 경중을 매기고 있는 것을 드러내며 저자는 그것이 대단히 위험하고 모순된 생각임을 지적한다. 그것은 우리도 어느 순간 그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이 사회에서의 자리를 박탈당하고 사회의 바깥으로 밀려나갈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예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한 가능성은 우리가 지금 여기에서 느끼는 그 떨쳐내기 힘든 불안의 이유를 설명해준다.
결국 저자는 우리가 이 사회에서 사람이게 하는 것은 그 어떤 전제조건도 상정하지 않은 사람으로서의 무조건적인 환대라고 얘기한다. 이것이 가능할까? 물론 힘들 것이다. 그럼에도 그래야 한다,는 것을 알고 그 가치를 공유하는 것은 큰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