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의 자본론
벤 파인.알프레도 새드-필호 지음, 박관석 옮김 / 책갈피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분야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없어서 ‘자본론’을 읽는 것에 심한 부담감을 안고있었다. 하지만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 체제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에 참을 수 없는 궁금증이 쌓이고 있는 바, 약간의 도전심으로 택한 책이 벤 파인, 알프레도 새드-필호 공저의 ‘마르크스의 자본론’이다. 자본론을 다 읽을 수 없는 처지(?)를 잘 아는 학자들이 친절하게도 전체적인 흐름, 용어, 개념들을 정리를 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현대적 해석과 의미를 이해 시켜주려 한다.

자본론은 헤겔의 변증법, 포이어바흐의 유물론을 유기적으로 발전시킨 변증법적 유물론으로 물질과 사회 현상의 관계를 밝히고자 했던 대작이라는 수식어도 있지만, 케인즈주의, 주류경제학이 자주 비판하는 교조주의적이고 환원론적인 상상이라는 꼬리표도 달려 있다. 그 비판의 근거로는 소비에트의 붕괴, 중산층의 탄생 같은 계층의 다양화, 자본주의의 몰락(공황)을 극복한 케인즈, 가치 창출이 노동뿐이라는 보는 단순성의 무모함, 산업-기술 발전에 의한 일자리 창출, 자본에 의한 가치 획득 등이다. 한마디로 마르크스주의는 실패했고, 자본주의는 여전히 건재하다. 그의 이론은 과학적 엄밀성이 결여되었다는 것이다. 내가 알고 있기로는 그 비판은 마르크스주의의 남용에서 발생된 오해에서 비롯된 것들이 많다고 한다. 마르크스 조차도 ‘나는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다’라고 했다 하지 않은가. 또한 자본주의의 불확실성과 파괴성, 노동과 자본의 관계가 역사적-사회적인 발전 과정 속에서 조직되어 진다는 점은 여전히 유효한 의미를 남긴다.
추상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관계를 이끌어내는 과정은 자본주의에 대한 치밀한 관찰과 이해에서 출발한다. 역사, 철학, 인간과 사회를 아우르는 마르크스의 이론은 진리는 아니다. 하지만, 주류 경제학의 모순과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자본주의의 태생, 발전, 모순, 한계, 그리고 변혁이라는 흐름을 노동과 자본이라는 구조 속에 의도적으로 배치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역사와 삶을 노동과 자본, 계급의 갈등, 은폐된 착취구조를 통하여 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모든 가치는 노동에서 발생하고 이윤은 그것의 착취에 기인한다는 마르크스의 이론은 무모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양극화와 신자유주의가 화두인 이 시대에 그의 목소리가 과연 공허한 울림으로 치부될 수 있을까?

솔직히 말해서 이 책이 자본론의 입문서라고 하지만, 그냥 읽기엔 어렵다. 확장된 지식을 필요로 한다. 공황의 발생, 국가의 역할, 다양한 노동계층과 자본의 발달, 파괴적인 경쟁과 이기적인 이윤획득활동, 축적에 따른 이윤율 하락 등 그 범위는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넓고, 그에 따른 경제학 이론들이 줄줄 이어지기 때문이다. 세세한 부분들의 유기적 관계를 파악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할 것 같다. 각 단락마다 ‘토의 주제와 추가 독서 목록‘이 있는 것을 보면 이것은 독자들이 원하는 답과 질문이 무엇인지를 이미 서로가 알고 있는 듯 하다.

이 불안정한 세상, 모순과 갈등과 경쟁이 당연한 요구가 되었고, 그것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죽을 수 밖에 없는 현실….

“상품은 화폐를 사랑하지만, 진정한 사랑의 길은 결코 평탄하지 않다” 119p
인간은 화폐를 사랑하지만, 진정한 행복의 길은 결코 평탄하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