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한 자루의 여정을 타고, 16시간 동안 벌어지는 사건들은 도시의 어두운 모습을 하나씩 들춰낸다.
마약, 매춘, 아동학대, 스너프 필름 등..
총구에서 그 모든 것들의 역사는 쓰여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 현장에서 '아이'는 그 모든 것들을 지켜본다.
'층격'이 아니라, '일상'인듯 그것이 현실이듯 바라보는 시선은 서늘하다..
그 모습에서 현대인에게 쏟아지는 지속적인 두려움이 남긴 정신적인 상흔을 엿볼 수 있다.

너무나 담담한 시선...
그 안의 지친 영혼은 누가 보듬어 줄 것인가...


답은????

미국이다.
(갑자기 왠 미국 ㅎㅎ)




이 영화 잘 봐야한다...

감독의 기교가 상당히 많은 영화이다.
(타란티노의 '펄프픽션'을 비교하는 이들도 많은데.. 흐흐 그 정도는 아니고)
복선과 상징이 여기저기서 펼쳐진다.
주인공의 활약, 사건의 시퀀스만 따라가도 적당한 재미를 줄 수 있지만..


무엇이 그 아이를 구하고, 무엇이 그 아이를 위협하는가를 본다면,
영화에 대한 해석은 달라진다.

범죄자들을 보면 이민자들.. 러시안, 라틴, 흑인 계열이다..
그들에 의해 위협을 받는 것은 미국인이고, 미국에 동화될 수 없엇던 자들에 의해
밤의 역사가 이어지고 있었다.
(미국의 반 이민정책이 스윽 스치고 지나간다..)

두려움의 원인은 '비 미국적'이어서 그렇다는 거다.
진짜 미국인이라면 '그렇지 않다' 라는 거다...
(주인공 아내의 대사에서도 그런 냄새를 풍긴다..)


정의의 사도 '존 웨인'을 존경하는 러시아 마피아 '앤저 듀크 유고스키'는
(러시아로부터 벗어나) 미국을 찾아왔지만, '비 미국적'인 모습에 충격을 받는다. (존 웨인이 총 맞아 죽는 장면 ㅡ..ㅡ;)
'존 웨인'이 죽지 않는 아동용 영화를 추억하며, 그의 외부는 '비 미국적인 활동' 마약 장사를 하지만,
마지막에 아들을 대신해서 죽임을 당하는 장면으로 '미국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존 웨인 문신을 한 '앤저 듀크 유고스키',
총 맞은게 꼭 피 눈물 흘리는 '존 웨인' 같지 않은가?) 

주인공은 (갑자기) 헐리웃 특유의 '정의의 지팡이'가 되고, 그 모든 문제를 미국식으로 해결한다.
미국에 동화되지 못한 유고스키 부부는 죽고, 그의 아들은
미국의 가정으로 동화된다...

그리고 해피엔딩...

주인공: 넌 미국인이야, 러시아인이 아니고 왜 그런 걸 들어?
꼬맹이 : 엄마가 날 러시아에서 가졌으니까
                 나보고 러시아인이라고 했어요

주인공 : 넌 러시아인이 아니야, 미국인이라고
              미국에서 태어났으니까 미국인이야. 미국인
              난 미국인이다라고 해봐. 말해봐
              말해, 난 미국인이다
 
꼬맹이 : 미국인


꼬마의 정체성 혼란을 바로 잡아주려는 주인공의 '노력'이 가상하다. ㅡ..ㅡ;

꼬맹이가 보아온 '비 미국적인 사람들',
그 사람들에게서 벗어나 미국적인 사람들에 '포용'된 하룻밤의 사건.

16시간을 탄탄하게 그려낸 스릴러가 맞지만,
총을 잡은 정의로운 미국에 대한 숭배가
찜찜한 여운을 남겨준다..

점수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