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풍
성석제 지음, 김경호 그림 / 창비 / 200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득할 수록 기억은 아름다워진다. 감상적인 미덕때문인가. 부끄러움, 원망, 고통조차도 추억이 되곤 했다. 인간에 대한 그리움, 향수에 옭아 매지는 것은 현실의 불만, 미래의 불안이 과거를 돌아보게 하는 것, 그것은 일종의 보상으로 이어진다.

성석제의 산문집 ‘소풍’은 감각적인 기억을 반추하게 한다. 마치 거대한 바가지에 각각의 맛이 살아있는 온갖 나물을 쓱쓱싹싹 버무려 놓은 것처럼 다양하면서도 일정한 법칙을 따른다.

그 법칙은 맛이다. 사는 맛, 어울리는 맛, 인생의 한 컷을 장식하게 된 그 맛들…
1부에서 4부까지 이어지는 맛의 퍼레이드는 ‘이 사람이 먹을 것만 찾아 다녔나’ 싶을 정도의 집착을 보여준다. 그러나 그러한 모습이 어쩌면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언뜻 든다. ‘먹는다’라는 것은 가장 본연적인 행위이고, 그것을 함께 한다는 것(만드는 것, 먹어주는 것)은 소통의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 새끼를 낳은 어미의 첫번째 행위로 젖을 물리듯 ‘맛을 찾는다’는 것은 인간 최초의 경험을 욕망하는 것이 아닐까.

과거일 수 밖에 없다. 기억의 흔적을 모아야 한다. 옛 집의 마루, 문, 창, 지붕, 기둥에서 나는 냄새들처럼 이야기는 역사를 담고 있어야 한다. 사람이 묻힌, 사람에게 묻어나야 ‘진국’인 것이다.

그런데 매체의 영향으로 숨어있던 ‘맛집’들이 곳곳에 등장하셨다. 동네마다 있다. 어느 프로그램에 소개되었다는 광고판에 기댄 강력한 전시효과는 위압적이다. 그래서 그런지 오히려 그 집의 맛을 의심케 한다. 흔해빠진 ‘맛집’일 뿐이다. 우리가 찾는 것이 과연 유명세일까. 골목 곳곳을 누비고 다닌 이 책에는 인간에 대한 신뢰와 유머로 감칠맛을 더한다.

“술이란 지집이 따러야 맛이제.”

그러나 책의 기획에 억지로 끼운 듯한 글들이 많다. 다시 말하자면 함량 미달이면서 구색만 맞춘 듯한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너무나 기억력에 의존했나. 표현의 맛은 ‘변산반도 쭈꾸미 통신’(박형진) 못 미치고, 진득한 인간의 이야기는 ‘마음이 배부른 식당’(김형민)에 이르지 못한다. 성석제의 입담에 기대를 했건만 그것마저도 찾아볼 수가 없었다.
게다가 중간 중간에 삽입된 별쭝맞은 만화들이 신경 쓰인다. 재미도 없고, 그다지 인상적이지도 않은데 왜 그랬는지 의도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