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가리는 희망, 마주보는 절망
한겨레
▲ 정희진 서강대 강사·여성학
가정폭력 피해 여성이 폭력을 벗어나지 못하는 심리를 설명하는 이론 중에 ‘학습된 무기력’이 있다. 오랫동안 남편의 폭력에 시달리다 보면, 정당방위나 탈출이 불가능할 정도로 무기력해진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 개념은 여성주의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무기력은 여성 피해의 결과이지 원인이 아니라는 것이다. 피해 여성이 폭력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는 ‘학습된 무기력’ 때문이 아니라 ‘학습된 희망’ 때문이다. 가부장제 사회는 여성에게 남편의 폭력이 사소한 것이며 언젠가는 나아진다는 희망을 설파하고, 이런 ‘희망’은 고통을 견딜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얼마 전 서울대에 특강을 갔다. 대학본부 앞에서 “황 교수 연구 재개”를 주장하며 시위를 벌이던 지지자들이, 나와 동행한 학생들 길을 막고 “학생들이 해야 할 일을 생계를 팽개치고 우리가 하고 있다”며 ‘애국 시위’ 동참을 요구했다. 며칠 전에는 황우석씨를 지지하는 30대 남성이 차를 타고 서울대 건물로 돌진하다 경찰에 붙잡혔다. 인생의 문이 닫힐 때 그 앞에 너무 오래 서 있지 말라고 하지만, 나도 닫힌 문을 계속 두드려 대는 타입이라 그들 심정이 이해가 갔다. ‘한심’하기보다 마음이 아팠다. 착각과 망상도 춥고 외로운 밤바다에서는 등대가 된다. 그들은 마치 사랑하는 자식의 주검을 붙들고 숨소리가 들린다고 외치는 부모 같았다. 집착도 때론 사는 힘이어서, 그들에게 황우석은 아직도 희망인 것이다.

희망은 무조건 좋은 것일까. ‘사람은 희망 없이는 살 수 없다’는 말은 누구를 위한 현실일까. 대개 우리가 품는 희망은 이미 가능성이 없거나 혹은 실현되어서는 안 되는 ‘중심 지향성’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나는 ‘국민에게 희망을 제시하겠다’는 정치인은 일단 의심한다. 지도자는 희망을 ‘보여주는’ 사람이 아니라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고민하는 사람 아닐까(아마 후자는 인기가 없겠지만). 공지영 소설에서 수녀님의 면회를 거절하는 사형수는 이렇게 말한다. “희망을 갖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건 지옥입니다.” 연인에게 ‘차인’ 사람에게 가장 힘겨운 일은 상대방의 불분명한 태도, 이른바 ‘희망 고문’이다. 닿을 수 없는 항구에 닻을 내리라는 것인가. 이룰 수 없는 희망은 가혹할 뿐이다.

‘새마을운동’과 ‘상록수’의 정신으로 희망을 갖고, 어려움을 극복하고, 목표를 이루는, 계속 상승하는 삶이 실제 가능할까. 아니, 가능하더라도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을까. 상승의 그 순간, 바로 내려가야 한다. 반대로, 희망이 아니라 절망에서 시작한다면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기어오르는 일만 남는다.

절망은 말 그대로 모든 바람을 끊어 내는 일. 생각보다 그리 나쁘지 않다. 현실을 똑바로 보자는 의미가 아니다. 바람을 멈출 때, 고민이 시작된다. 나 역시 늘 “그런 희망이라도 없으면 사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 하고 한탄하지만, 사실 살아가는 의미를 묻는 것은 처음부터 잘못된 일인지도 모른다. 우리가 인생의 의미를 묻는 것이 아니라 인생이 우리에게 질문하고 있다. 절망은 지금 우리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에 어떤 가치와 의미가 있는지를 질문하게 한다. 그래서 절망은 사유의 광맥이다. 행복은 모든 불행을 살아내는 것. “꿈이여, 다시 한번” 대신, 나날이 산더미처럼 생기는 문제와 마주하며 고생과 고민을 서로 권유하고 대화하는 삶이 차라리 위로가 아닐까.

(이 글은 사이토 미치오의 <지금 이대로도 괜찮아>에서 도움 받았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