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한 권의 책이었다
소피 카사뉴-브루케 지음, 최애리 옮김 / 마티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1500년이 지나도 그 화려함이 가시지 않은 책들이 있다. 보는 것조차 쉽지 않은 진귀한 보물, 수서본은 시간마저도 부정하듯 이 책 곳곳에서 위용을 과시한다. 마치 옛 소유주의 분신인 것처럼 화려한 색채와 문양이 책 전체를 휘감는다.


 


화려할수록 그 가치를 인정 받는 경우를 주위에서 많이 보아 왔고, 그 화려함 때문에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다. 값비싼 보석, 흉내낼 수 없는 장인의 유려한 솜씨, 무엇보다도 그것을 제작하는데 들인 공이 크면 클수록 그것을 소유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 또한 커지기 마련이다. 욕망하는 자, 그의 이름은 부와 권력이니, 그것 자체가 주는 기쁨보다 그것을 소유함으로서 인간 사회에서 자신의 부와 권력을 노출할 수 있는 최고의 수단이 책인 것이다. 수많은 인간들 틈 속에서 자신의 존재성에 특별함을 부여하기 위하여, 물질의 희귀성에 의지하는 사람들.


이 책은 그들의 역사이면서, 그들이 남긴 역사를 보여준다.


 


수서본은 그 제작과정과 비용부터 만만치 않다. 신구약성서를 만들기 위해서는 양 200마리를 잡아야 하고, 채식사, 필경사들의 작업, 온갖 장식을 하는 데에 그 비용은 장원의 수입에 맞먹는다 하니, 집 팔아도 10권도 못 사는 사치품 중의 사치품이었다. 책은 정신적인 재화라기보다는 경제적인 재화였다 (자크 르 고프). 게다가 당시의 뛰어난 화가들이 그림을 그렸기에 책이면서도 예술품에 가까웠다.


 


무엇이 책에 그러한 가치를 부여하도록 만들게 했을까. 이 책에 따르면 기독교의 영향으로 성서라는 한 권의 책에 의한 신의 계시와 믿음의 세계 속에 있었고, 고대 문화에 대한 경외감이 책의 경외감으로 이어졌다고 한다. 수서본에는 바로 중세의 망탈리테가 스며있고, 욕망이 꿈틀거리고 있는 것이다. 박물관의 수 많은 유물이 그 시대를 이야기 하듯이 수서본은 그 시대의 욕망을 말한다.


 


책 자체의 아름다움, 책 속의 권위에 반해버린 사람들, 중세의 열정의 독특함과 황홀함을 맛보기에 괜찮은 책이다.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오늘날에 있어서 정보의 접근성이 낮아지고, 범람하는 정보, 인터넷 같은 매체의 반격에 추락한 책의 지위와 가치를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듯 싶다.


그의 빛 깊은 곳에서 나는 보았노라. 우주에 흩어진 모든 것이 사랑에 의해 한 권의 책으로 엮어진 것을 <신곡>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3-29 14: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6-03-31 04: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6-03-31 04:2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6-03-30 13: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6-03-30 18: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6-03-31 04: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6-03-31 13:2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