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영화는 탐욕이 만들어낸 허구적 가치에 몰입하는 군상과 몰락을 다룬다.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본질과 무관하다. 가치를 부여하는 인간의 욕망만이 

한없이 높은 산을 만들고 바닥없는 낭떠러지를 만들어낸 것이다. 

월스트리트가 배경인 울프와 빅쇼트는 방점이 좀 다르다. 전자는 군중, 후자는 제도. 


꽂고 빨아제끼는 것이 코카인, 섹스, 돈의 대표 이미지인 것마냥 '울프...'는 월스트리트판 소돔과 고모라처럼 난잡하다. 

노출의 과잉, 감정의 과잉, 욕망의 과잉... 

너무나 노골적이어서 월 스트리트의 이미지를 마주하는 것은 관음에 가깝다.

내면 깊숙한 곳에서 바라는 그 무엇을 끊임없이 눈 앞에서 흔들흔들하면 

우리도 흔들흔들...

우리가 보는 것은 다른 것이 아닌 우리의 모습으로 비춰진다. 

뿅가게 하는 것들로 중독된 세상, 월스트리트는 바로 여기인 것이다. 


난장판 쇼에 가까운 울프와 달리 빅쇼트는 재앙영화에 가깝다. 

세계를 뒤흔들었던 금융위기의 본질, 금융시장과 제도의 치부를 드러내는데에 중점을 둔다.

정부와 제도의 묵인하에 버블의 판때기을 키우다가 폭삭 주저않는 사회가 

납세자에게 구걸의 손을 내밀고, 구원의 손은 금융권으로 향하는 세상에 대한 절망감이

이 영화를 공포영화로 분류하는 사람들의 대체적인 느낌일듯 싶다. 


가치 하락에 배팅하여 대박이 난 아이러니한 세상에서

우리가 나아가는 방향에 대한 의구심만 커져가는데에... 

합법이냐 불법이냐만을 따지는 넘들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정당하냐 옳고 그르냐는 법과는 전혀 무관한 세상이니까. 

제도는 우리가 추구하고자 하는 삶을 외면하거나 방해하는 경우를 경험을 통해서 알고 있지않나. 

(우니나라에서 가장 많이 법 따지는 놈들이 새누리당인 것을 봐도 잘 알수 있다. 

준법정신 겁나 충실함...)


사람을 죽이는데에 돈은 써도 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대출을 강요하는 세상에..

우리도 하락 배팅을 해야만 할까? 




점수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