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복잡하고 난해한 20세기 철학사를 한 권에 요약해 내는 만만치 않은 내공을 보여 준다. 서구 철학 사조를 한눈에 꿰고 싶어 하는 독자들에게 안성맞춤이다.

프랑스 파리1대학과 미국 존스홉킨스대 철학과 교수를 지낸 저자는 현상학, 논리실증주의, 실존주의, 비판이론, 해석학, 구조주의, 탈구조주의 등 20세기에 등장한 다양한 사조를 각각의 시대 흐름 속에서 포착해 낸다.

제1차 세계대전의 참호 속에서 ‘논리철학논고’를 쓴 비트겐슈타인과 나치당의 일원이었던 하이데거, 아우슈비츠의 비극이 반복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치철학을 나란히 제창했지만 고대 공화주의에 대한 해석이 엇갈렸던 한나 아렌트와 레오 스트라우스 등 철학자들의 구체적 삶을 통해 그들의 사유를 육화해 낸다.

자유주의를 수호했던 카를 포퍼와 레몽 아몽, 자유를 자유주의보다 중시했던 사르트르, ‘제3의 길’을 모색했던 마르쿠제, 그리고 마르크스주의에 희망을 걸었던 알튀세르, 이 4인의 삶을 대비하면서 냉전시대의 철학과 현실의 관계를 명쾌하게 그려 낸 것도 돋보인다.

하이데거를 보수주의자라고 비판하고, 사르트르의 진보적 시각을 옹호하는 저자의 주관적 시각에 대해서는 평가가 엇갈릴 수 있겠지만 각각의 철학사조가 지닌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를 대조와 비교를 통해 명징하게 끌어내는 솜씨는 일품이다.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정말?

 

 

 

 

 

우리 사회 각 분야의 인권 현실과 노동자, 여성, 장애인, 성적 소수자 등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10명의 전문가들이 설명한다.

김동춘 성공회대 교수는 안보 논리, 자본주의 논리, 유교 논리가 지배해 온 우리 사회의 반인권적인 성격을 조목조목 지적하고, 조효제 성공회대 교수는 인권 옹호를 위해 시민사회가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를 역사적으로, 또 해외의 사례를 통해 살핀다. 여성학자 정희진씨는 차별을 낳는 것은 권력이나 제도임에 주목하면서 인권의 보편성은 사회적 약자에 적용될 때만 의미가 있다고 주장한다.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 성적 소수자 인권의 주요 현안, 장애인 문제에 대한 사회 구조적인 접근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