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 인류 최고의 철학 - 카이에 소바주 1
나카자와 신이치 지음, 김옥희 옮김 / 동아시아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화, 인류 최고의 철학이라 최고라고? Best? 아니군 자세히 보자. 最古의 철학이구나. 인문대생은 정의라는 단어에서 Justice의 의미를 가장 먼저 떠올리지만, 공대생은 Definition으로 인식한다는 우스개 소리가 생각난다. 알게 모르게 작용한 우열에 관한 가치 판단은 이미 내 주위를 포위한 환경이 내뱉은 배설물이었다. 환경은 늘 우리 주위에서 서서히 우리의 의식을 지배한다,라고 뇌까리지만, 그 근본을 느끼기에는 한참 부족한 무딘 감각이 원망스럽기만 하다. 그런 무딘 감각에 의존하여 자아를 구원하려는 인류의 위대한 노력은 태고적 기억을 잊어가는 방향으로 우리를 이끌어 간다.

 

망각을 깨워라. 마치 이렇게 외치듯이 이 책은 인류 최초의 사고(사건이 아닌), 레비 스트로스의 야생의 사고를 찾아 신화 속으로 지적 탐험을 떠난다. 잊어버린 과거, 인류의 원형을 찾아 떠나는 것은 의무에 가깝다. 그러나 탐험의 스릴, 신기함, 새로움은 독자에게 훌륭한 동반자가 되어 주니 든든하면서도 발걸음을 가볍게 한다. 저자의 강의를 책으로 만들었다고 하니 생명력까지 더한다. 훌륭한 강의는 이야기를 들려주듯이, 때로는 유연하게 그러다가도 거침없이 흐르는 물처럼 수강생들의 호흡을 느끼며 함께 하는 것이 아닌가. 이 책에서는 독자, 수강생들의 흥미를 잡아 끄는 데에 있어서 전 세계에 있는 신데렐라 이야기를 펼쳐놓음으로써 극을 달린다.

 

어렸을 때에 외국 동화와 우리 나라의 전래동화가 비슷한 것이 많은 이유가 궁금했는데, 그 이유를 치밀하게 추적하여 보여준다. 그것 뿐만 아니라, 신데렐라의 유리구두의 의미와 오이디푸스와의 연관성을 이끌어내는 등 대단한 통찰력으로 신화의 가치를 입증한다. 신화는 종교와 다르게 현실의 구체성과 가상의 확장성을 연결하는 중간자적인 위치를 지니고 있어서 인간의 사고를 풍요롭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데 현대의 문명은 이러한 균형을 상실해 가고 있다. 대중매체는 현실을 가상으로 포장함으로써 점점 더 현실을 멀어지게 한다. 장 보르드라야르 시물라시옹에서 말하는 허상에 사로잡혀 살아가는 존재들의 사유에 있어서 신화는 커다란 의미로 작용될 듯 싶다. 이 책은 그것을 말하고 싶어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속에 책 2007-08-01 18: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카이에 소바주 읽고 있어요..그래서 리뷰 쭉 보고 있는데, 라주미힌님이 쓰신게 나와서 반갑네요..토요일에 나오시나요? 그때 또 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