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풍경 - 김형경 심리 여행 에세이
김형경 지음 / 예담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을 알려면 같이 여행하라'는 말이 있는데, 곰곰이 생각을 해보면 재미가 있다. 사람을 안다. 여행을 한다. 어떠한 연관성이 있길래 그러한 말이 생겼을까. 일상 생활에서 벗어나게 되면 사람의 성격이 자연스레 드러나기 때문에? 아니면 여행을 하면서 겪어야만 하는 상황들을 대처하는 방식의 차이 때문에? 그것도 아니면 혼자 다니는 것보다 단체 관광이 수익성이 좋아서 관광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만들어 낸 말인가.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여행은 무엇을 보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시간적, 공간적인 해방을 통한 자기 성찰의 기회라고 본다(수학여행, 묻지마 관광, 사진만 찍어대는 여행은 제외). 정리하자면, 사람을 안다는 것은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고, 그것은 타인에 대한 발견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쳇바퀴 같은 일상에서 벗어나게 되면 가까워 지는 것은 내면이다. 일종의 회귀 본능이라고 해야 하나. 자의식의 본질이 끊임없는 스스로의 발견과 인식에 있다면, 환경에 의해 제약을 받던 자의식은 여행을 통하여 영혼의 안식처를 얻게 된다. 따라서 ‘같이 여행을 하면 그 사람을 알게 된다 그리고 나를 알게 된다’는 문장이 좀 더 자세한 표현이 아닐까 한다.

같은 맥락으로 보면 '여행 에세이'이면서 '심리 에세이'라는 이 책의 성격은 자기 성찰의 의미가 강하다. 심리 용어 별로 단락을 구성하고, 여행을 하면서 만난 사람들에게서 받은 인상을 그 단락에 맞춰서 해석을 하는 형식이 ‘심리 용어 입문서’처럼 보이게 하지만, 이 책은 명백히 인간(자신)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에 대한 관찰은 사실 본능적이다(관음증은 이게 좀 병적으로 발전한 것 아닌가). 누군가를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자신을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내면이란 결국 비교대상을 필요로 한다. 대체로 사람들이 심리학을 흥미로워 하는 이유는 불분명한 정체성이 분명해지고 싶어하는 욕구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저자가 현실에 대한 회피를 목적으로 여행을 했다고 하고, 누군가를 관찰하면서도 자신의 이야기를 놓지 않는 것은 본능의 연장선에 비춰보면 어느 정도 설명될 수 있을 것 같다.

그렇지만 분명해지고 싶고, 진실에 다가가려는 이러한 노력이 아이러니 하게도 극히 주관적인 믿음에서 출발한다. '꿈 보다 해몽'이라 하지 않던가. 사람 속을 어떻게 알까. 이 책 전반적으로 확신에 찬 자의적 해석이 주를 이룬다. 모호할수록 확실해지는 심리 분석의 진가를 보여준다. 그것의 근거란 것이 '정신분석'을 받은 것과 자신의 심리학 관련 서적으로 얻은 지식이 전부이다. 어디서 얻은 확신인지는 모르겠으나, 누군가의 심리를 단정적으로 규정하고 이해하려는 태도는 불온적이다.

그래도 책 전체적으로 보면 깔끔한 편이다. 중간 중간에 삽입된 작품들에 투사된 인간의 심리를 살펴보는 것도 흥미롭고, 심리학 용어 사전 같은 구성도 나름대로 독특하다. 델포이 신전의 신탁에 있는 '상처 입은 자가 치유한다'라는 글귀로 이 책을 해석하고 싶다. 저자는 아마도 자·타 사이의 깊은 공감에서 이 책을 쓰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네가 어떤 사람을 만났는데 그 사람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네 자신의 모습을 보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네 속에는 네가 좋아하지 않으면서도 솔직하게 인정하지 않는 어떤 부분이 있는 것이다.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서 볼 때 그 사람을 싫어하게 된다. 네가 싫어하는 것이 실은 네 자신의 일부이다. 늘 이것을 명심하거라. (13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