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의 미’라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선과 여백이다. 그것은 대상을 마음으로 느껴서 알고 있던 것이 아니라 교육을 통하여 얻은 단순 지식에 불과하다. ‘미’는 인류가 추구해오던 가장 본능적인 욕구임에도 불구하고, 그 욕구의 대상과 의미를 누군가에 의해 주입되었다는 사실은 꽤나 불쾌한 느낌을 준다. 한국인이 한국의 미를 제대로 모른다면, 느낄 수 없다면 그것 참 안된 일이다. 주입된 지식을 거부하고, 제대로 된 느낌을 원한다면 우선 ‘어떤 시각과 태도를 가지고 바라보아야 하는가’부터 고민해야 한다.

이 책이 가장 먼저 제시하는 것은 ‘옛 그림을 감상하려면, 옛 사람의 눈으로 보고 옛 사람의 마음으로 감상하라.’ 그리고 글씨를 좌에서 우로 썼듯이 그림도 우상에서 좌하로 읽어가라. 그림의 크기에 따라 거리를 두어라. 시간을 가지고 여유롭게 감상하라 등 가장 기초적인 사항들이지만, 몰랐거나 소홀히 했던 것들이다. 대부분 사람들은 지식으로 가지고 있었지만, 정작 즐길 수 없던 현실이 참으로 건조하고 비틀리게 느껴진다. 이렇듯 어린아이에게 걸음마를 가르치듯이 걷는 법을 가르치고 난 뒤에 옛 그림 한 점 한 점들을 감상하기 시작하는데, 저자의 강의 솜씨가 보통이 아니다. 대중을 상대로 한 강의를 해온 사람답게 대중이 무엇을 원하고, 흥미로워 하는지를 정확히 짚어낸다. 또한 일방적인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대중 또는 독자와의 호흡이 이뤄지고 있다. 대중의 반응까지도 책에 표시해 두니 독자 또한 생생한 강의 느낌을 갖는다. 무엇보다 가장 마음에 든 점은 적절한 그림의 적절한 배치를 꼽고 싶다. 그림을 읽어주는데 그림이 빠지거나 글과 너무 떨어져 있다면 감상 또는 독서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을 것이다.

감상은 ‘보인다’와 ‘본다’의 차이를 넘어서 마음을 마음으로 느끼는 작업이다. 저자의 강의는 이 부분에 중점을 둔다. 화폭에 담긴 화가의 정신, 그 시대의 가치관과 문화, 역사까지 어떻게 마음에 그려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데…
어렵다. 저자의 설명이 아무리 쉽다고 해도 내 것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욕심이 앞서는 것일까. 감상이 단순히 보는 것에 그치는 답답함이 여전하다. 단순히 보여줄 뿐 상상력과 영감을 주지는 않는 영상매체에 괜한 탓만 해 본다.

‘내 집사람이 일찍이 말하기를 매일 밤 베개밑에서 ‘쉬이! 비켜섰거라 하는 권마성이 들리는가 하면 노새 말방울 딸랑거리는 소리가 나고 ~ 생략 ~ 잠이 막 들라는 순간에 정신을 번쩍 차려서 어디서 나는 소린지 애써 신경을 써보라 했더니, 바로 그 소리가 머리 위 병풍 사이에서 들리는 것이었다. 그것은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병풍이었고, 다른 곳으로 옮겨 놓으니 그 뒤로는 다시 그런 일이 없었다’ 82p 조선말 이유원의 기록은 참으로 재미있으면서도 왠지 부럽다.

마지막으로 솔직히 이 책의 서두 ‘책을 펴내며’ 부분은 읽기가 상당히 거북했다. 민족주의가 안 좋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최고’라는 생각이 주는 편협함이 싫다. ‘한국인은 언제나 위대했다. 몽골은 어떠했고, 베트남은 어떠했고, 우리의 역사는 찬란하고… ‘ 우리의 위대함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우리 주변을 격하시킨다. 그리고 우리를 구분 짓기 위해서 우리에 포함되는 부분과 아닌 부분을 격리 시킨다. 혈통의 순수성을 위해 비순수성을 억압한다. 이질성을 거부하고 극으로 달리는 모습은 역사를 통해서 많이 보아오던 것들이다. 그러나 책 전체로 보아서는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으로 이해하기로 했다. 일제에 의하여 빼앗기고 훼손된 문화와 문화재에 대한 분노라 보겠다. 우리 문화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좀 과하게 호소하는 것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