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도스섬 공방전 시오노 나나미의 저작들 5
시오노 나나미 지음, 최은석 옮김 / 한길사 / 200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게해의 진주, 장미꽃 피는 옛 섬 로도스. 연중 따뜻한 햇볕이 내리쬐는 기후의 혜택과 달리 이 섬은 끊임 없이 그 주인이 바뀌는 역사를 겪어 왔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역사적 유적이 있다. 그 중에서도 성 요한 기사단의 자취를 더듬어 볼 수 있는데, '로도스섬 공방전'은 마지막 남은 성 요한 기사단과 투르크간의 전쟁사를 논픽션과 픽션을 섞어서 옛 유적을 발굴하듯이 흥미롭게 다루고 있다.

투르크에 의한 콘스탄티노플 함락 이후에 십자군의 존재 이유가 퇴색하였다. 독일 기사단은 돌아가고, 성당 기사단은 해체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남은 성 요한 기사단은 로도스 섬에 정착하게 된다. 백령도에 있는 해병대의 지역적 의미와 비슷한 상황에 놓인 기사단은 최전방에서 해적질과 의료활동으로 연명하다가 결국에는 대포와 공성전술에 밀려서 항복한다. 기사단의 몰락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역사란 단순히 현상과 사건만을 보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의미를 찾아내고 해석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매우 흥미로운 것이다.

기사단의 몰락은 전쟁의 전술적, 기술적 변화 뿐만 아니라, 국가의 대립형태에 대한 하나의 변화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자립적 귀족들이 왕에게 복속되어 영토형 대국으로 가는 과도기의 마지막 몰락 계급이 그들인 것이다. 그들의 이슬람에 대한 투쟁은 새롭게 부상하는 변화와 계급에 대한 투쟁이였으며, 패배로 이어졌다. 십자군 원정 실패와 투르크의 확장이 주는 영향이 매우 컸음이 틀림이 없는 것 같다.

2부는 3부작의 중간 단계라서 그런지 많은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다만 흥미로운 부분들은 튜튼 기사단, 성당 기사단, 성 요한 기사단에 대한 정보와 지중해 섬의 역사(몰타, 로도스), 공성 전술, 축성 같은 부가적인 것들이었다. 이 책에서 한가지 아쉬운게 있다면 시오노 나나미의 편향된 시각이 곳곳에 보인다는 것이다. 물론 그녀의 저서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고, 역사는 쓰는 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지만, 조금은 위험하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든다. 그래도 읽는 사람의 이성적 판단에 맡기는 수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