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인의 눈으로 본 십자군 전쟁
아민 말루프 지음, 김미선 옮김 / 아침이슬 / 200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하면 로맨스이고, 남이 하면 불륜이다.' 라는 위선적이고, 이중적인 시선을 비꼬는 말을 사용하기 적당한 역사적 사건들이 많다. 그 중에서 십자군 전쟁을 성지탈환이라는 미명하에 학살과 약탈을 화려하게 채색하였던 서구의 역사가 그러하다. 대한민국의 정규교육을 받았지만 십자군 전쟁에 대한 구체적인 정황은 자세히 모른다. 이슬람과 서구의 충돌이 현재까지도 계속 이어지고 있고, 우리도 그 분쟁에 결코 멀지 않다는 걸 감안한다면 200년간 7번에 걸쳐 일어나 십자군 전쟁은 재미있고도 중요한 역사적 사건임에 틀림이 없다.

이 책은 그동안 서구의 시선으로 쓰여진 역사를 정면으로 받아친다.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의 눈으로 십자군을 그려내기 때문이다. 물론 공정성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드나, 그동안의 왜곡된 역사에 대한 보상으로 이 정도는 애교로 눈감아 줄 정도이다. '마라의 식인종', '에미르의 눈에 비친 야만인들'에서는 아랍인의 눈에 비친 유럽인들의 모습을 묘사한 글이 절정에 이른다. 흥미로운 것은 그 시대 사람들의 생각과 문화이다. 역사책보다는 다큐멘터리에 가깝게 그 당시의 제도, 풍습을 이야기 한다. 황당한 장면들도 많이 나온다. 예를 들면, 프랑크,이슬람 연합군이 또다른 프랑크,이슬람 연합군과 대치한다던가, 동료가 포로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몰라라 하고 자기 배만 채우는 프랑크인, 노예계층(맘루크)이 지배계층으로 등극하는 쿠데타, 예루살렘은 뒷전으로 미루고 콘스탄티노플을 약탈하는 4차 십자군 원정 등은 역사의 희극성을 말해준다.

그러나 이 책이 진정 의미를 가지는 부분은 현재와 과거의 연계에 있다. 시아파와 수니파의 대립, 아사신파의 광신적 테러, 유럽과 이슬람의 충돌, 음모와 배신, 분열과 야합, 민중에 대한 학살, 폭력, 파괴 그러는 한편 지배층의 부패와 무능력함. 현재는 어떠한가. 700년전의 모습과 너무나 닮지 않았나? 이라크의 석유를 침탈하고, 팔레스타인인들에 대한 비인도적 살육행위를 하는 서구를 향한 무차별적인 테러는 당연한 보복으로 여기는 21세기의 지구는 평화를 잊어버린 듯 하다.

저자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십자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균열의 역사에서 아랍인들은 지금까지도 부당한 침범을 느끼고 있다'라고 그리고 폐쇄적이고, 전근대적이며, 분열된 아랍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길고 긴 피바람의 역사를 무엇으로 종식시킬 것인가. 세계는 평화를 바라고 있다. 아랍의 성왕, 살라딘처럼 관용과 자비로 적을 대하여 평화를 지키기를 갈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