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토니오 그람시 살림지식총서 179
김현우 지음 / 살림 / 2005년 5월
장바구니담기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과 인간의 활동을 바꾸는 것, 즉 자기 변화를 동시에 일으키는 것은 오직 혁명적인 실천으로만 파악될 수 있고 합리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52쪽

이데올로기는 두 가지 구별되는 '층위'로 이루어지는 듯하다. 어떤 이데올로기의 일관성은 전문적인 철학적 정교화에 의존하곤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적 일관성이 그 이데올로기의 유기적이고 역사적인 효과를 보장할 수는 없다. 그것은 단지 철학적 조류들이 대중의 실천적이고 일상적인 의식이나 통속적인 사고에 들어가서 그것을 변화시키고 변형시킬 때만, 그리고 그러한 곳에서만 발견될 수 있다. 그가 '상식'이라고 부른 것이 바로 그 장소이다.
....

모든 철학적 흐름은 '사싱'이라는 침전물을 남긴다. 상식은 그것들의 역사적 효력을 기록한 것이다. 상식은 고정적이고 비유동적인 것이 아니라, 일상의 삶으로 들어온 과학적 사고와 철학적 견해들로 풍부해지면서 지속적으로 스스로를 변형시킨다. '상식'은 미래의 민속, 즉특정한 공간과 시간에 대한 민중의 지식의 비죠적 고정된 단게를 창조한다 (옥중수고)-68쪽

상식과 철학의 상위 수준 사이의 관계는 '정치'에 의해 보장된다-70쪽

산업자본에서 금융자본 중심으로 자본운동이 전환하는 과정에서 자본주의적인 모순은 심화되면서도 기술발전으로 인한 물질적인 분배는 더욱 용이해져 노동계급의 체제 내 포섭이 강화되는 이중적인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
기계화 된다고 해서 그것이 인간의 정신적인 죽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적응하기만 하면 노동자의 두뇌는 화석화되기는커녕 오히려 완벽한 자유의 상태에 도달한다. (중략)
노동자는 생각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하고 있는 작업으로부터는 결코 직접적인 만족을 구할 수 없으며 기업가들이 자신을 훈련된 원숭이로 만들려 한다는 사실을 깨달으면서 순응주의적인 생각과는 전혀 거리가 먼 여러 생각들에 잠기게 될 수도 있다. (옥중수고)-72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주미힌 2009-06-08 03: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상가 관련 책을 읽다보면.. 아~! 이게 이 사람의 생각이었구나를 알게 된다.
선지자의 위대함(?)과 더불어 깨닫게 되는 것은 아직도 이 사람의 생각에서 진보한게 없구나라는 씁쓸한 허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