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엔 영혼이 몸을 경멸적으로 보았고, 그 당시엔 그러한 경멸이 최고의 것이었다.
영혼은 몸이 야위고 끔찍해지고 굶주리기를 바랐다. 그렇게 하여 영혼은 몸과 대지로부터 벗어날 셈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오, 그 영혼 자신이 야위고 끔찍해지고 굶주리게 되었고, 그리고 잔혹함이 그 영혼의 환락이었다.
그러나 나에게 말해다오. 나의 형제들이여,
너희의 몸은 너희의 영혼에 대해 뭐라고 말하는지를. 너희의 영혼은 가난이며 더러움이며 가련한 안락이 아니던가?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춤이 땅 위의 인간과 신을 연결하던 시대가 있었다.
고독한 인간은 알 수 없는 언어를 해석하고 싶어했고, 절대적인 존재와의 관계를 통해서 안정을 취하려 했다. 샤먼은 누구나 될 수 없는 것이었지만, 모두에게 존재했다. 하지만 국가는 샤먼을 죽이고 그 자리를 차지했다. 신은 죽어 버렸고, 인간은 인간을 찾는 춤을 추게 된다. 
신체를 구속함으로써 권력을 쥐는 사회는 소통을 경계한다. 입이 되어 저항을 잠재웠으며, 눈이 되어 의식에 사슬을 채웠다. 그렇게 군림하는 자는 감각을 지배함으로써 탄생한다.
타자에게서 느껴지는 살내음과 체온으로 자신을 찾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그래서 경멸의 대상이 된다. 춤은 표현이며 소통이기에 그들은 몬스터가 되어야만 했다.

그들이 컴컴한 실내에 모여들었다. 그곳은 관이며 죽음이다. 흘러간 노랫가락은 장송곡처럼 울린다. 추자, 추수, 리에, 똑똑이, 꽃님이라 불리던 한 여인을 두고 서로의 이야기를 하지만, 각자의 몸짓은 엉킨 스텝마냥 엉성하다.
그녀의 죽음에서 드러나는 것은 현대인들이 느끼는 무산한 자아의 몸짓이다.
수 많은 이름으로 명명된 삶, 그 삶을 비추는 '조명', 조명 없이는 헤쳐갈 수 없었던 여인의 목소리는 구슬픈 듯 하다. 누구의 말대로 '밥상만 차려놓았다'. 거칠어서 씹어먹기엔 소화장애를 불러올 듯한 연출이 인상적이다. 미디어 아티스트가 참여했다는데 텍스트와 영상, 그리고 무대의 접목은 '신선한 듯' 했으나...   현대인들이 느끼는 영혼의 굶주림, 이름도 없이 스친 사람들, 누군가의 꿈으로 재생될 모습들의 혼란스럽고 산만한 느낌에 묻혀버렸다.

카바레 무대와 관객의 거리는 참으로 멀었다...
춤을 추었고, 육체의 향연으로 소통하려 했다.
하지만 그 언어의 잡스러움에 고막은 지지직거릴 뿐이었다.
스테이지~... 아마도 그 스테이지는 그들의 몸짓을 담을 만한 공간이 아니었나 싶다.

 

 

<와이키키 브라더스> 오지혜 '사랑밖에 난 몰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