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원주민
최규석 지음 / 창비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21년 테오도르 칼루자는 우리가 사는 세계가 3차원만이 아닌 그 이상의 차원으로 이루어졌을지도 모른다는 파격적인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다차원에 관한 아이디어는 기존 물리학의 기반을 흔들었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이론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가 사는 차원이 다른 차원의 일부일 뿐이라는 코페르니쿠스적 발상은 차원을 확장하면 할수록 스펙터클한 변화를 맞게 된다. 그렇다고 여분의 차원이 우리의 삶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것으로 인하여 우주는 전혀 다른 의미를 띄게 된다. 선과 면, 공간, 시간.. 그 이상의 차원을 알게 된다면 우리가 보고 있는 세계를 기존의 관념대로 판단할 수는 없는 것이다. 시공간의 틈을 메워 좀 더 견고한 세계관을 갖추는 일은 어쩌면 우주적으로 숭고한 일이다. 그리고 이 세상을 이해하고 그 속에 살아가는 인간의 행동과 삶의 양식에 일어나는 잔잔한 파장에 몸을 맡기는 것도 흥이 나는 일일 것이다. 이 모든 것은 다양한 차원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차원 속의 차원… 우리는 모두 같은 시대, 같은 방식으로 살아간다는 착각을 최규석이 가볍게 부셔버렸다. 나와 1살 차이인데, 그와 나의 경험은 반세기를 넘나들었다. 그의 말마따나 시간은 마디마디로 끊어지는 것이 아니라 겹쳐져서 진행되고 있었다. 낯설지 않은 이야기를 생각치도 못한 곳에서 마주하게 되니 우리가 사는 세계에 대한 생각을 다시 한번 하게 된다. 역사책에 있던 그런 이야기들과는 때깔부터 다르고, 국가와 기관, 엘리트 계급이 만들어낸 시대의 논리가 전혀 닿지 않은 곳의 이야기는 감동이라 부를 수 없는 어떤 다른 차원의 감흥을 안겨준다. 이 불완전한 세계의 다른 한 켠에서 기록된 역사, 아름답지만은 않지만 그것을 품으로 당겨올 수 밖에 없는 끌림이 묘한 매력이라고나 할까.

대한민국의 원주민… 오스트레일리아나 아메리카 인디언 보호구역처럼 ‘격리 보호’라는 이름으로 구경거리나 배제의 다른 이름으로써의 원주민이 아니라. 자신에게 익숙했던 것들과 타의적으로 격리된 사람들을 지칭하기에 적절한 의미를 갖는 단어인 것 같다. 이데올로기의 격전에서 살아 남아 산업화, 도시화,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라는 괴물이 어슬렁거리는 이 땅 위에서 묵묵히 살아가고 있으나, 그 존재의 흔적들마저 지워져 가는 사람들. 마치 소립자처럼 현대인에게 관측되기 힘든 돌돌 말려있는 차원에 사는 수 많은 원주민들을 최규석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끄집어내려 한다.

1차원의 시간과 9차원의 공간… 우리가 사는 세계를 당연하다고 부르기에는 너무 많은 사연과 이름들이 있다. 그것 하나 하나의 아쉬움을 달래기에는 우리의 시야는 3차원에 머물러 있지 않나 싶다. 시간에 쫓기고, 바둥거리는 공간 속에서 욕망 하나 움켜쥐고 퀭한 눈을 번뜩이며 과잉 식욕과 파괴적 발전에 가열차게 전진만을 외치는 현인류에게 그는 은근히 날카로운 비수를 들이댄다.
‘니들이 우리 세계를 알간?’

최규석의 경험과 기억, 아마도 그것을 공감하기엔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19세기 하겐베크가 인간을 전시 했던 동물원처럼 이 책이 읽힌다면 심각한 오독이다. 먼 시대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바로 옆에서 벌어지고 있는 가난과 결핍, 모두가 몸서리치는 그것에 익숙해지는 법도 있음을 진지하게 말을 걸고 있는 것이다. 막연히 긍정할 수도 부정할 수 없고 스스로가 강한 자가 아님을 깨닫고 웃어넘기는 최규석 작품에서 물씬 풍기는 인간적 원숙함은 어쩌면 당연하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세상에 의해 길러졌으니까.

"원주민들은 자기가 갖지 못한 것을 뚜렷하게 인식한다"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 프란츠 파농

최규석은 빈궁함 때문에 우리 시대를 더욱 뚜렷하게 인지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의 책에서 느껴지는 종이에 베인 살갗의 느낌은 섬세하게 혈도를 짚어가는 그의 시선에 있지 않나 싶다.



올림픽이 열리고 있으니깐 국가와 정부에 대한 증오가 넘쳤던 광장에 '죽어 버린 국가'의 이름을 목놓아 외치는 빨간 남방의 사람들로 꽉 채워져 있다.
달라진 건 아무것도 없는데 외치고 싶은 마음이 들까.
이들은 뭘로 불려야 적당할까… 대한민국 좀비?
하여간 재미있는 세상이다... 다양한 차원의 사람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