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중할 수 없는 것을 지켜야 하는’ 시절은 슬프다. 정연주 씨는 미국 생활을 오래 하기도 했지만 전형적인 미국식 민주주의의 신봉자였다. 한겨레 시절 조선일보를 맹렬히 공격하곤 했지만 동시에 좌파에게도 그 이상의 혐오를 드러내곤 했다. 그리고 그는 그런 적절한 사고와 행태 덕에 KBS 사장이 되었는데, 오늘 그가 방송 공공성의 수호자처럼 일컬어지는 건 좀 우스꽝스러운 일이다. 이명박이 KBS 사장을 제 사람으로 갈아치우려는 건 참 꼴사나운 일이지만(그러나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김대중 노무현이 그랬듯) 착한 사람들이 밤을 새우며 고작 정연주 같은 자를 지킨다는 건 슬픈 일이다. 개인 정연주가 아니라 공영방송 사장으로서 정연주? 싱거운 소리들 마라. 어느 정도 먹고살 만한 사람들에겐 KBS가 공영방송인지 모르겠지만 대다수 인민의 처지에서 KBS는 공영방송인 적은 없다. 이를테면, KBS가 FTA나 비정규노동자 문제를 반대하기라도 한단 말인가? 공영방송이란 ‘사장과 대통령이 사이가 안 좋은 방송’이 아니라, 힘없는 대다수 인민의 편에 서서 자본/지배계급과 긴장을 이루는 방송이다. 그래서 세상이 힘있는 자들의 입맛대로 돌아가지 않도록 견제하는 방송이다.

- 냉정하게 말하면, 정연주와 이명박은 원수처럼 으르렁거리지만 ‘미국식 민주주의’와 ‘미국식 자본주의’로 역할을 분담하여, 결국 같은 세상을 소망하는 사람들이다. 우리가 왜 이명박과 같은 세상을 소망하는 사람을 지켜야 하는가?

- 알다시피, KBS 사장은 원래 강준만 선생에게 제의되었고 강선생은 거절했다. 강선생은 지금 아이들과 선샤인뉴스를 만든다. 강준만. 세상을 보는 눈이 좀 다르지만 내가 좋아하지 않을 수 없는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