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크라이나에서 만난 죽음의 현장. <북폴리오> 제공
우크라이나에서 만난 죽음의 현장 = 남자들이 먼저 죽고, 그 다음에 아이들이, 마지막으로 여자들이 죽었다. “가장 끔찍한 광경은 꼬마들이었다.”고 한 당 활동가는 썼다. “굶주림은 아이들의 얼굴에서 어린아이의 자취를 깡그리 앗아갔고 그들은 고통받는 괴물을 닮아갔다. 두 눈에만 아이의 모습이 어른거렸다. 가는 곳마다 우리는 남자와 여자가 엎드려 있는 광경을 목격했다. 얼굴과 배는 부풀어 오르고 두 눈은 멍했다.”

» 부랑아의 작별. <북폴리오> 제공
부랑아의 작별 = 1921년 볼가 강 유역에서 끔찍한 기근이 발생했다. 신생 소련과 교역한 미국인 공업자본가 아먼드 해머는 “팔다리가 막대기처럼 시들고 풀을 뜯어 먹어 배가 끔찍하게 부풀어 오른 아이들”에 대해 기록했다. 미국의 원조에도 불구하고―볼셰비키는 그 후 되풀이된 대규모 기아 사태에서와는 달리 이 기근을 부인하지 않았다―수백만 명이 아사했다. 탐보프 주에서 볼셰비키 통치에 맞서 궐기한 농민들이 무더기로 총살당했다.

» 블라소프와 동지들. <북폴리오> 제공
블라소프와 동지들 = 블라소프와 동지들은 1946년 8월 1일 루뱐카에서 교수형을 당했다. 제일 오른쪽에 있는 사람이 블라소프다. 그와 함께 11명이 교수되었다. 이 사진은 스탈린과 고위 지휘부를 위해 특별히 찍은 것이다. 이 사진은 루뱐카에서 행해진 교수형과 관련해 유일하게 알려진 사진이며 블라소프의 KGB 파일에서 나왔다. 전쟁이 끝난 뒤 독일 협력자들 수천 명이 소련으로 송환되어 총살당했다. 1941년의 키예프 포위와 모스크바 전투의 영웅이었던 블라소프만이 스탈린의 관심을 끌었다.

» 모스크바에서 장보기. 사진/가브릴로프. <북폴리오> 제공
모스크바에서 장보기 = 1970년대 중반 사람들은 소도시에서는 구할 수 없는 식품과 옷가지를 사기 위해 소련 전역에서 모스크바를 비롯한 대도시로 몰려들었다. 열차가 물건을 사려는 사람들로 가득 찼고 보조금 덕분에 비행기표가 엄청나게 저렴해 비행기도 주부와 물건으로 미어터진 가방으로 꽉 찼다.

» 빵을 기다리는 사람들. 사진/B. 미할료프킨. <북폴리오> 제공
빵을 기다리는 사람들 = 1980년대 초. 사진에서 마을 사람들이 서로 이야기를 나누지 않는 모습이 확연하게 드러난다. 마을 생활은 야만적이었던 집단화와 숙청에 대한 기억 때문에 여전히 왜곡되어 있었다. 밀고자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공동체 의식이 파괴되었다. 농업은 집단농장으로 인해 여전히 망가진 상태였다. 차르 시대 곡물 수출국이었던 세계에서 가장 큰 나라가 이제는 자급자족이 불가능하고 충분한 빵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과 캐나다, 아르헨티나에서 수입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 공산주의의 몰락 1991년 8월 공산주의 쿠데타가 실패한 뒤 잘려나간 마르크스와 레닌의 두상. 사진/G. 보드로프. <북폴리오> 제공

<북폴리오> 제공

중국과 영국에 이어 지난 20세기 러시아 역사를 생생하게 기록한 <20세기 포토다큐 세계사 3-러시아의 세기>(지은이 브라이언 모이나한)를 연재한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가장무도회에서 1917년 혁명으로, 스탈린의 잔혹한 시대에서 냉전의 시대로, 글라스노스트에서 1993년의 제2차 혁명으로, 그리고 현대 러시아의 혼란의 현장으로 안내한다. 솔제니친, 레닌, 스탈린, 트로츠키 등 그들의 놀랍고도 극적인 모습이 실려있다. 여기 대부분의 사진은 공개된 적이 없는 것으로 생생한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 이번에도 출판사 <북폴리오>의 도움을 받았다.


러시아의 세기는 모두 6차례에 걸쳐 소개한다. 순서는

1. 로마노프 왕조의 나라 2. 붉은 혁명 3. 볼셰비키 4. 예술의 꽃 5. 노동자의 삶 6. 사회주의의 죽음 등이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212214.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