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오 스트라우스 - 부활하는 네오콘의 대부
박성래 지음 / 김영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럼스펠트가 짤렸다.
국제사회에서 도륙질을 일삼다가 수렁에 빠진 미국의 외교정책의 숨고르기가 시작되었다. 공화당은 중간선거에서 패함으로써 막가파식 일방주의의 한계와 실패를 거부할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판을 갈지 않으면, 아무리 고기를 갈아도 고기는 타게 된다고 외치던 노회찬 의원 말마따나, 사람 몇 명 갈았다고 미국이 변하랴?
하지만, 부시 행정부의 정치 철학과 정책 결정의 책사쯤 되었던 네오콘의 몰락과 국제 정세의 변화는 결코 불가분의 관계가 아님을 우리는 직관적으로 알고 있다. 전 세계가 덤벼도 미국을 잡을 수 없는 현실은 깊은 좌절감을 안겨준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라는 옛말은 그야말로 옛말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일단은 적을 알아야 한대라도 덜 맞을 것 아닌가. (비굴모드)

그런데 네오콘이 뭐야.
신보수주의(neoconservative·)이다.
그런데 보수주의는 뭐고 신보수주의는 뭘까.

미국의 보수주의의 중심적인 특징은 사회적인 책임이 개인 또는 관행과 집단에 있다고 믿으며, 사유재산을 강조하고, 강한 종교적 믿음으로 도적적, 문화적 표준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다. 더 세부적으로 보수파를 나누면, 구보수파 또는 전통적 보수파, 기독교 우파, 온건 공화당원, 신자유주의자, 그리고 네오콘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보수파는 미국 남부의 전통 보수주의 성향이 강하고, 일방적이고 힘을 앞세운다. 딱 부시의 성격이다.(부시는 네오콘이 아니다. 전통 보수주의자다.) 그리고 국제 문제 개입을 꺼리는 고립주의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익이 눈 앞에 있으면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는 거… 온건 공화당원은 실용주의적 중도파이다. (대표적으로 콜린 파월, 매들린 올브라이트, 아버지 조지 부시) ‘힘을 사용하지만, 함부로 사용하지 않고’, ‘패권을 추구하지만, 동의를 구한다.’는 식이다. 신자유주의자는 시장 경제를 중시하고, 복지국가 해체와 규제 완화에 적극적이다. 따라서 군비 확대 노선과 전통적 보수주의를 좋아하지 않는다. 기독교 우파는 보수적인 기독교 세력이며, 마지막으로 네오콘은 구보수파를 비판하며 등장한 ‘신제품’이다. 미국의 이익을 전 세계로 확대시키고자 등장하였다.
(<미국을 파국으로 이끄는 세력에 대한 보고서> 김지석 지음, 교양인 참고하였음.)

네오콘의 원년 멤버는 트로츠키주의자 같은 좌파에서부터 민주당 지지자까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사람들이었다. 60년대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서 그들은 레오스트라우스의 사상을 대동맥에 투여 받고서, ‘강력한 질서’를 들고 나왔다. 태생적 배경부터 범상치 않다.(마치 아나킨 스카이워커가 다스 베이더로 전향했듯이) 게다가 오색찬란한 보수파 중에서도 가장 독특한 정신 세계를 가졌다. 이 책이 재미있는 이유는 네오콘의 사상적 배경을 대중적인 언어로 해부했다는 데에 있다. 행위는 목적을 두고 있고, 목적은 사상에 기반하고 있을 테니까. 그들의 ‘정신적 지주’ 레오 스트라우스의 사상을 엿보는 일은 정말 특이한 경험이다.
 
그들의 사상을 짧게 요약한다면 이렇다.
현대 사회, 문화의 위기는 근대 이성에 있다. 상대주의와 허무주의가 질서를 교란시키고, 세상을 위협으로 몰고 가고 있기 떄문이다. 신이 없는 이 세상에서 도덕적 질서를 유지시키는 것은 엘리트의 몫이고, 멍청한 대중은 이들을 따라야 잘 먹고 잘 살게 된다. 진리가 사라진 세상, 철학자들은 ‘고귀한 거짓말’을 만들어내어 대중이 그것을 믿게 만들어야 한다. 엘리트의 이러한 의무와 권리는 자연권이다. 그런 식으로 탄생한 좋은 레짐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려서는 안 된다. 사실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정말로 중요한 것은 그것이 얼마나 유용한가이고, 목표는 오직 승리일 뿐이다.

대중의 도덕적 타락을 막기 위해 거짓말을 해야한다는 이 대단한 사상을 가진 사람들이 네오콘이다. 이런 가르침은 플라톤 같은 고대 철학에 담겨 있다고 한다. 플라톤의 말과 글을 네오콘식으로 해석하는 장을 보면 아주 흥미롭다. 거짓말의 원조가 플라톤이다~! 이라크를 침공했던 명분인 대량살상 무기를 발견하지 못했음에도 뻔뻔했던 이유는 다 나름대로의 철학적 배경이 있었던 것이다. 사회 통합과 질서 유지를 위해서 끊임없이 외부의 적을 생산해내야 하는 그들의 임무는 거룩한 느낌마저도 들게 한다. 게다가 이들의 믿음은 밀교적인 성향이 있다고 하니 레오 스트라우스 패밀리는 다단계 만큼이나 굳건하다. 세계를 기만할만한 파워를 가졌고, 그런 사람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자신들의 레짐으로 모든 것을 바꾸려고 한다.
‘레짐 체인지’라는 용어를 이해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깨닫게 된다. 한반도의 평화와 직결되어 있으면서도 이것은 국제적인 문제이다. 그들이 원하는 변화는 그들이 변하지 않기 위한 최악의 도전이기 때문이다.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은 다를 수가 있다. 하지만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 가끔은 존재한다.
정권의 정당성이 부족한 부시는 네오콘의 강력한 정치 철학이 필요했고, 네오콘은 권력을 얻었으며, 기독교 우파는 그들의 강력한 지지세력이 되었다. 적(테러리스트)의 편이 될 것인가 그 반대 진영에 설 것인가. 부시의 협박으로 인하여 지구는 고통스럽다.

럼스펠트가 짤렸다.
네오콘 핵심 멤버, 세계은행 총재 폴 울포위츠도 짤렸고, 루이스 리비 전 부통령 비서실장, 더글러스 페이스 국방부 차관 등이 부시 행정부를 떠났다. 그 자리를 대체한 새 국방장관 로버트 게이츠와 공동의장 베이커가 아버지 부시의 측근들이라고 세상이 조용해질까…
네오콘 이론가 프랜시스 후쿠야마가 이라크 전쟁 이후로 네오콘을 맹렬하게 비판하고 나섰다고 한다.
미국 대외정책의 대안으로 '소프트 파워'(Soft Power)와 '다다자주의'(multi-multilateralism)를 대안으로 제시했다는데, 과연…. 그것이 진심일까. ‘고귀한 거짓말’일까

그들은 거짓말하는 엘리트들인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