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하고나 사랑한다는 건 결국 아무도 사랑하지 않는다는 거잖아.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다자간의 사랑. 소유하지도 책임지지도 않는 사랑. 폴리아모리즘 체제는 결코 푸리에가 예상한 '사랑이 넘치는 신세계'가 아니야. 쓸쓸하고 고독한 사회일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문물 체험! 재밌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년 겨울, 청량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밀롱가에서 경력이 오래된 땅게로하고 추고 나면 어쩔 땐 감정이 너무나 격해져서 온몸으로 울게 돼. 사람이 꼭 눈으로만 우는 게 아니구나, 온몸으로 흠뻑 울 수도 있구나, 하는 걸 나는 탱고 추면서 처음 알았어. 탱고는 춤 출 때 스윙보다도 훨씬 더 음악에 집중을 해야 하는데 공교롭게도 탱고 음악이 정말 신파적이거든. 이런 음악을 한 시간 넘게 집중해서 듣고 있으면, 그리고 거기에 맞춰 몸을 움직이고 있으면, 어느 순간 내 안에 가래처럼 그렁대던 오래된 슬픔들이 울컥 쏠려나오는 것 같은 기분이 돼. 카타르시스 같은 걸 느껴. 그런 날엔 춤추고 집에 돌아오는 길이 너무나 개운해. 감사하고. 치료받은 거 같고.

 

그런데 또 탱고가 매력적인 게, 비록 단조 음악에 장시간 노출되어 나중에는 온몸으로 펑펑 울게 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단지 슬픈 감정만 느끼는 건 아니거든. 어떤 탱고 동영상 보면 정말 신명나게 춰. 스윙 못지 않게. 사실 온갖 감정을 다 느끼게 되는 거 같아, 탱고 추면서. 탱고가 깊은 춤이라고 느껴지는 이유도 그거 같고. 이 춤 안에서 기쁨, 분노, 사랑, 슬픔, 갈망, 우애, 적의 등 온갖 감정을 다 겪게 되거든. 음악도 참 미묘한 게, 전반적으로는 단조 음악인데 듣고 있으면 또 그 리듬이 막 흥겨운 거야. 그런 음악에는 슬픔을 머금은 채로 흥겹게 춰야 하지.

 

여러 가지로 참 오묘해 탱고는. 오묘하고 깊고 어렵고. 산 같아. 깊이를 가늠할 수 없이 큰 산 같아. 난 아직 제대로 올라가보지도 못했지만 적어도 이 춤이 엄청나게 크다는 건 이제 확실히 알겠어. 탱고가 모든 춤의 종착역이라는 게 요즘들어 실감이 나. 스윙은 한 2년 미친듯이 추고 나면 이 춤 정복했구나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탱고는 글쎄, 2년 추고 나서도 정복했단 생각은 안 들 거 같아. 출 때마다 새롭고 그래서 더 알 수가 없어지고 오리무중일 듯. 추면 출수록 견적이 안 나올 것 같아, 이 춤은. 아 정말이지 요망한 춤이야. 이 춤 자체가 팜므파탈 같아. 요물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