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롱가에서 경력이 오래된 땅게로하고 추고 나면 어쩔 땐 감정이 너무나 격해져서 온몸으로 울게 돼. 사람이 꼭 눈으로만 우는 게 아니구나, 온몸으로 흠뻑 울 수도 있구나, 하는 걸 나는 탱고 추면서 처음 알았어. 탱고는 춤 출 때 스윙보다도 훨씬 더 음악에 집중을 해야 하는데 공교롭게도 탱고 음악이 정말 신파적이거든. 이런 음악을 한 시간 넘게 집중해서 듣고 있으면, 그리고 거기에 맞춰 몸을 움직이고 있으면, 어느 순간 내 안에 가래처럼 그렁대던 오래된 슬픔들이 울컥 쏠려나오는 것 같은 기분이 돼. 카타르시스 같은 걸 느껴. 그런 날엔 춤추고 집에 돌아오는 길이 너무나 개운해. 감사하고. 치료받은 거 같고.

 

그런데 또 탱고가 매력적인 게, 비록 단조 음악에 장시간 노출되어 나중에는 온몸으로 펑펑 울게 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단지 슬픈 감정만 느끼는 건 아니거든. 어떤 탱고 동영상 보면 정말 신명나게 춰. 스윙 못지 않게. 사실 온갖 감정을 다 느끼게 되는 거 같아, 탱고 추면서. 탱고가 깊은 춤이라고 느껴지는 이유도 그거 같고. 이 춤 안에서 기쁨, 분노, 사랑, 슬픔, 갈망, 우애, 적의 등 온갖 감정을 다 겪게 되거든. 음악도 참 미묘한 게, 전반적으로는 단조 음악인데 듣고 있으면 또 그 리듬이 막 흥겨운 거야. 그런 음악에는 슬픔을 머금은 채로 흥겹게 춰야 하지.

 

여러 가지로 참 오묘해 탱고는. 오묘하고 깊고 어렵고. 산 같아. 깊이를 가늠할 수 없이 큰 산 같아. 난 아직 제대로 올라가보지도 못했지만 적어도 이 춤이 엄청나게 크다는 건 이제 확실히 알겠어. 탱고가 모든 춤의 종착역이라는 게 요즘들어 실감이 나. 스윙은 한 2년 미친듯이 추고 나면 이 춤 정복했구나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탱고는 글쎄, 2년 추고 나서도 정복했단 생각은 안 들 거 같아. 출 때마다 새롭고 그래서 더 알 수가 없어지고 오리무중일 듯. 추면 출수록 견적이 안 나올 것 같아, 이 춤은. 아 정말이지 요망한 춤이야. 이 춤 자체가 팜므파탈 같아. 요물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