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 이전의 다른 문화권 경험 및 잦은 이동의 경험(당사자 뿐만 아니라, 주변인들 역시 자주 들고 나고 하면서 바뀌는 경험)이 tck (및 cck) 정체성을 형성
-tck 정체성은 비가역적임. tck는 그대로 어른 tck가 됨. 한번 tck는 영원한 tck임.
-tck는 tck를 알아봄. 나이, 성별, 국적, 머무른 지역 상관없이 동족의식이 상당하고 굉장한 유대를 보임.
-tck는 커리어, 교육, 배우자, 아이 양육 방식 등 자신의 인생 전반의 중대한 결정들에 있어서 글로멀 노마드 백그라운드가 굉장히 큰 영향을 미쳤다고 공통적으로 진술함.
-tck가 유년시절 체류했던 나라에 대한 막연한 그리움으로 성인이 되어 다시 그 나라로 돌아가고자 한다면, 현실이 녹록치 않음. 좌절과 방황의 계기가 되기도. 어렸을 때 부모 및 부모 직장의 경제적 지원 아래서 여유롭게 체류국의 국제학교 다니며 갖게 되는 그 나라에 대한 인상과 나중에 혈혈단신 외노자 신분으로 부딪혀야 하는 매운 현실은 전혀 다르기 때문.
-tck는 어떤 태도나 행동이 그 사회의 문화적 맥락 안에서 적절한가 적절하지 않은가에 대해 내재화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주변을 살피며 의식적으로 신경을 써야 함. (마치 사이코패스가 원활한 사회생활을 위해 의식적으로 남의 감정 신경쓰듯이)
-cultural imbalance는 tck에게는 양날의 검과 같아서 내적으로는 심리적 불안요소로 작용하지만 외적으로는 사회적응력을 강화해줌. 덕분에 유연하고 능숙하게 여러 문화권을 넘나듦.
-cultural imbalance로 인해 아이가 겪게 되는 문제들에 대해 (그에 대한 개념화가 이미 되어있는) 어른이 적절히 개입하여 긍정적인 자기이해를 갖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미운오리새끼 자아상을 갖게 될 수도.
-사실 tck는 (때로는 죽음에 육박하는) 상실의 경험을 엄청나게 자주 겪고 있는 것. 그런데 이 상실은 본인 스스로에게 인지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상실이 발생한지도 모르기 때문에 상실에 대한 적절한 애도 과정조차도 없음. 해소되지 않는 상실감의 지속적인 누적이 결국 사람을 정서적으로 병들게 만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