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or Feelings: An Asian American Reckoning (Paperback) - 『마이너 필링스』원서
Cathy Park Hong / One World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리 헬조선이니 해도 이불 속이 따뜻한 것을 알기는 어렵다, 밖으로 나오기 전에는. 이불 밖에 놓인 이민 후세대들, 나아가서는 어느 사회에나 존재하는 소수자들, 촘촘한 차별의 구조 속에서 굴절된 자아를 가지고 모순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그들의 고충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미국 이민 2세가 쓴 이 책은 차별에 관한 에세이다. 미묘하고 일상적인, 그래서 더욱 자기검열적이고 자기환각적인(아무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네가 너무 예민해서 그래), 희미한 연무처럼 때로는 나직이 지속되는 소음처럼 존재하는 차별. 몰이해와 편견의 시선, 단순화 정형화된 잣대 속에서 만성적인 피로가 조용히 누적되어 가는 차별. 평생의 형벌과도 같은 차별.

저자가 써내려간 '이 감정들은 결코 사소하지 않다'(한국판 부제). 일상에서 겪는 차별의 경험은 인종주의에 대한 고찰에서 탈식민주의적 사유로 이어지고, 개인적인 것이 가장 정치적이라는 말은 이 책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한편으로는 이렇게 매운 책이(불 붙은 표지를 보라) 미국에서 굵직한 상을 거머쥐며 평단의 찬사와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는 사실 자체가 놀랍기도 하고. 우리나라라면 어떨까? 모범 시민 이자스민 말고, 모범을 거부하는 캐시박홍 같은 여자가 나타나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놓는다면, 우리는 그녀의 목소리를 경청할 수 있을까? 얼마나 가능할까? 들을 준비가 되어 있는가? 비록 이민 인구 유입의 역사가 짧은 사회적 특수성도 감안해야겠지만, 우리의 갈 길이 얼마나 먼지 새삼 가늠해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막스 리히터 : 세 개의 세상
리히터 (Max Richter) 작곡 / 유니버설(Universal)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ree to Learn: Why Unleashing the Instinct to Play Will Make Our Children Happier, More Self-Reliant, and Better Students for Life (Paperback)
Peter Gray / Basic Books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뭉근한 감동과 함께 결코 쉽지 않은 과제를 남겨준 책. 그런데 저자 소개 알라딘 링크가 잘못된 듯. 일러스트레이터가 아니라 발달심리학자라고 하는데. 찾아보니 <언스쿨링>(황기우 옮김, 박영스토리, 2015)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본이 나와있다. 여기저기서 한국의 언스쿨링 모임도 눈에 띈다. 하지만 언스쿨링이라는 것도, 이상만 좇는 낭만주의 실험으로 전락하지 않으려면(자식을 담보로 모험을 할 순 없잖은가), 조직화된 현대사회에서 체계적이고 규모있게 실효성을 가지고 지속되려면, 그 취지와 철학에 공감하는 어른들이 적극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하는 ‘언스쿨링 스쿨’의 형태가 되어야지 않을까. 이 책 5장 서드베리 스쿨의 사례가 좋은 참조점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유전적으로 수렵채집인의 습성이 남아있다 하더라도 어쨌든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은 더 이상 수렵채집사회는 아니니. 잃어버린 원시 자연의 본능과 자발적 놀이의 즐거움을 일깨우면서도 결코 반사회적 방임으로 흐르지 않는, 체제보완형 언스쿨링의 길을 잘 찾아봐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버닝 - 아웃케이스 없음
이창동 감독, 유아인 외 출연 / 인조인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각오를 하고 봐야 한다, 언제나 그렇듯이. 사실주의 영화의 칼날 같은 매서움을 각오해야 한다. 다만 부자를 적 혹은 악인(사이코패스)으로, 젊은 여성을 어리숙한 희생양으로 그리는 설정이 도식적이고 구태의연하게 느껴지고(이런 틀에 박힌 설정이야말로 오히려 사실을 단순화시키는 반리얼리즘 아닐까), 방화와 살인이라는 결말도, 주인공의 상상일지 모른다는 암시를 감안하더라도, 너무 극단적이지 않나. 뭔가 좀 올드한, 1920년대 사회주의 소설의 결말 같기도 하고. 영화 전반에 음습하게 스며있는 불안과 모호함을 끝까지 일관되게 그대로 (뭐 섬뜩한 암시 정도로만) 남겨두는 편이 차라리 낫지 않았을까. 훌륭한 영화라는 데는 이견 없다. 검붉은 노을을 배경으로 상의를 탈의한 여주인공이 흐느적대며 추던 그레이트 헝거 댄스는 잊지 못할 명장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