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reat Gatsby (Paperback, 미국판) - 『위대한 개츠비』원서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 Scribner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리 돈 많아도 근본 없이 그들만의 리그를 넘봤다가는 파멸에 이르고 만다는, 문화자본의 무시무시함을 보여주는 이야기. 가문이나 학벌 같은 것도 좀 번듯한 종류로 갖추고 있어야 하고, 특히 대화할 때는 자꾸 Old sport라는, 이봐 형씨 쯤 되는 이상한 말 같은 건 절대 쓰질 말어야 한다고. 그런 디테일을 챙기지 못했을 때 이카로스 날개의 밀랍은 녹기 시작하는 것이다. 꿈 많은 졸부를 함부로 끼워주지 않는, 카프카의 성처럼 견고한 이 세계에서는. 


읽으면서 드는 의문들. 개츠비는 왜 ‘위대’한가? 감탄인가 조롱인가. 웨민쥔의 웃는 사람 그림처럼, 한없이 웃고 있다 보니 별안간 꺽꺽 우는 것만 같아 흠칫해서 다시 들여다 보면 또 여전한 함박웃음에 잠겨 있는, 그런, 웃는 것인지 우는 것인지 도통 모를 great인가. 작중 화자는 개츠비에 대해 졸부 특유의 서툴고 천박한 구석까지도 흡사 보고서를 쓰듯 초연하고 건조하게 적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애틋함과 측은함을 감추지도 않는다. 그러니까 그 사이 어디쯤의 great일 듯.

또 하나, 데이지는 나쁜 년인가? 글쎄, 그런 면도 분명히 없지 않지만, 한편으로는 그런 판단 자체가 어쩌면 ‘여알못’의 남성 시각적인, 관점주의적인 것인지도. 이 여자는 전형적인 히스테리성 주체 같다. 라캉이 ‘성적 관계 같은 그런 것은 없다’고 선언했을 때 거론했던 그 여성적 범주의 주체. 개츠비가 강박증적으로 ‘넌 이것을 원하지? 원할 것임에 틀림없어! 원한다고 말해!’ 하며 다그치는 식이라면, 이 여자는 자기도 자기가 뭘 원하는지 모른다. ‘종잡을 수 없음’이야말로 그녀의 매력이자 한계이며 또한 그녀의 고통이리라.

워낙에 ‘여잘알’인 그녀의 남편 탐은 신기하게도 그녀의 이런 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다. (“The trouble is that sometimes she gets foolish ideas in her head and doesn't know what she's doing” -131쪽) 그녀가 안다는 사실을 나는 안다고 말하는 개츠비와 달리, 그녀가 모른다는 사실을 나는 안다고 말함으로써, 그 모든 인간적 결점에도 불구하고 탐은 그녀의 짝이 될 자격을 얻는다. 어떤 면에서 그는 정말로 현자인 것이다. (“He nodded sagely.” -같은 쪽)

그러나 종잡을 수 없는 바로 그 점 때문에, 데이지는 탐과 짝을 이루면서도 또한 결코 탐과 묶이지 않는다. 그녀를 단순히 투박하게 속물적 인간으로 분류해 버리면 탐과 겹치지 않는 그녀의 여분은 조명되지 않은 채로 묻혀버릴 것이다. 만약 소설의 화자가 데이지였다면 어땠을까? 사건을 입체적으로 구성하는 또 다른 진술을 들려주지 않았을까? 그리고 어쩌면 우리는 그 미지의 진술에서 그녀가 ‘나쁜 년’도 ‘뭘 모르는 년’도 아니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게 될 지 모른다.


이렇게 다른 시점의 가능성에 대해서 상상해 보게 되는 이유는, 이 소설이 애당초 하나의 작은 핀홀을 통한 특정 각도의 그림만을 제한적이고 부분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화자가 시종 냉철하고 절제된 태도를 취하며 객관적 보고자를 자처하는 듯 하나 그도 역시 간과하고 있는 게 하나 있다. 남녀 사이에 아이가 있다는 것은 그 자체로 돌이킬 수 없는 평생의 결탁이며 이미 모종의 공모 관계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여주인공의 캐릭터 말고도 상투적인 요소들이 상당한 이 소설을 식상하지 않게 만드는 힘은 무엇일까. 서사의 전달 방식이라든가 박진감을 자아내는 정교하고도 극적인 장치들 그러니까 이야기를 매혹적으로 조립해 나가는 기술, 피츠제럴드의 내밀한 고백처럼 들려오는 작중 화자의 상념들, 절제된 서술 속에 깃든 인간 심리와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시선, 또 머릿속에 생생하게 그려지는 이런 간결하고도 아름다운 장면 묘사에도 지분이 있을 것이다.

We walked through a high hallway into a bright rosy-colored space, fragilely bound into the house by French windows at either end. The windows were ajar and gleaming white against the fresh grass outside that seemed to grow a little way into the house. A breeze blew through the room, blew curtains in at one end and out the other like pale flags, twisting them up toward the frosted wedding-cake of the ceiling, and then rippled over the wine-colored rug, making a shadow on it as wind does on the sea.

The only completely stationary object in the room was an enormous couch on which two young women were buoyed up as though upon an anchored balloon. They were both in white, and their dresses were rippling and fluttering as if they had just been blown back in after a short flight around the house. I must have stood for a few moments listening to the whip and snap of the curtains and the groan of a picture on the wall. Then there was a boom as Tom Buchanan shut the rear windows and the caught wind died out about the room, and the curtains and the rugs and the two young women ballooned slowly to the floor. -8쪽


이 대목을,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주연의 2013년작 영화에서는 그야말로 꿈결같이 구현해 놓았다. 나중에 탐이 커튼을 수습한 뒤 창문을 쾅 닫아버리는 순간까지도. 이 외에도 오로지 피츠제럴드만이 쓸 수 있을 법한 인상적인 구절들이 많다.


"If it wasn't for the mist we could see your home across the bay," said Gatsby. "You always have a green light that burns all night at the end of your dock." Daisy put her arm through his abruptly but he seemed absorbed in what he had just said. Possibly it had occurred to him that the colossal significance of that light had now vanished forever. Compared to the great distance that had separated him from Daisy it had seemed very near to her, almost touching her. It had seemed as close as a star to the moon. Now it was again a green light on a dock. His count of enchanted objects had diminished by one. -93쪽


이 부분도 그 함축하는 바가 예리하게 느껴진다. 개츠비가 멀리서 늘 열망해왔던 초록빛은, 정작 원하던 것을 손에 넣었다고 확신한 순간 공교롭게도 그날따라 짙은 안개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그는 지금 옆에서 데이지가 팔짱을 끼는 것도 모른 채 자기가 한 말에 취해 있다. 이 무슨 양자역학의 역설(?) 같은 상황이란 말인가. 피츠제럴드는 판타지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정확히 꿰뚫고 있다. 그는 우리가 어떻게 판타지로부터 미끄러지는지를, 그 불가피하고도 불가해한 어긋남을 정확하게 포착한다. <위대한 개츠비>는 결국 이 어긋남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동부 드림이든 세이렌 같은 여자에 대한 드림이든.  


번역에 대한 얘기를 안 할 수가 없다. 랙 걸린 문장이 한 두 개가 아니지만 초반부에 제일 어려웠던 문장: The wind had blown off, leaving a loud, bright night, with wings beating in the trees and a persistent organ sound as the full bellows of the earth blew the frogs full of life. 큰 소리 나는 밝은 밤을 남겨둔 채로 바람이 가라앉았다. 무슨 소리냐 하면- 나무에서는 날개들이 부딪치는 소리, 대지 가득한 풀무(오르간 칠 때 밑에서 밟는 바람넣는 기구)가 개구리에게 넘치는 생명력을 불어넣을 때마다 계속되는 오르간 소리(=수많은 개구리들이 우는 소리로 대지에 생명력이 가득함).

이게 한국어 한 문장으로 번역이 가능한가. 가능하다. 시사영어사 영한대역 문고본에선 이렇게 풀어놓았다. “바람은 가라앉았고 나무에서는 새들이 푸드득거리는 소리, 땅에서는 개구리들이 대지의 풀무로 생명을 들이마시는 풍금 같은 소리가 요란히 들리는 휘영청 밝은 밤이었다.” 정확하긴 하지만 원문을 참조하지 않은 상태에서 번역된 문장만 읽어보면 좀 의아하게 와닿지 않을까. 대지의 풀무로 생명을 들이마시는 풍금 같은 소리라니, 이 무슨 풀 뜯어먹는 소리란 말인가.

문학동네 김영하 번역본은 이렇다. “바람이 지나간 자리에 시끌벅적하고 활기찬 밤이 남겨졌다. 나무들에서 날개가 부딪치고 자연이 빚어내는 끊임없는 오르간소리가 땅속에 잠들어 있는 개구리들에게 생명을 불어넣고 있었다.” 오르간 소리가 곧 개구리 울음이라고 생각한 나에게 이 문장은 더 의아할 뿐만 아니라 애당초 선선한 여름밤에 개구리가 왜 땅 속에 잠들어있는지도 모르겠지만 어쨌든 문장 만큼은 매끄러워 보인다.

매번 절감하지만 영문학 작품은 참 어렵다. 시적이고 서정적인 배경 묘사, 도치된 문장, 완곡어구, 생략된 문장 구성 성분, 암시하는 속뜻이나 뉘앙스, 장면의 분위기와 인물의 태도 등등을 정확하게 알아채기 어려우니 두터운 안갯속을 더듬어 나아가는 기분. 이 소설도 문학동네 김영하 번역본과 시사영어사 영한대역문고본(황당하게도 3,5,6장이 줄거리 요약으로 대체되어 있어 부득이 김영하 번역본으로 갈아탐)에 의존해서 겨우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읽다 - 김영하와 함께하는 여섯 날의 문학 탐사, 개정판 김영하 산문 삼부작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9년 전에 전작 <보다>를 보고 결심했다. 이 사람의 모든 산문을 다 읽어치우겠노라고. 그리하여 두 번째 책. 진도가 이렇다. 어쩌랴, 이게 딱 내 속도인 것을. 오래 살기를 바라야 하나? 그것은 더 싫다.


독서는 왜 하는가? 세상에는 많은 답이 나와 있다. 나 역시 여러 이유를 갖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독서는 우리 내면에서 자라나는 오만(휴브리스)과의 투쟁일 것이다. 나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와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을 읽으며 '모르면서도 알고 있다고 믿는 오만'과 '우리가 고대로부터 매우 발전했다고 믿는 자만'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렇게 독서는 우리가 굳건하게 믿고 있는 것들을 흔들게 된다. 그렇다면 독자라는 존재는 독서라는 위험한 행위를 통해 스스로 제 믿음을 흔들고자 하는 이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비평가 해럴드 블룸은 <교양인의 책읽기>의 서문에서 이렇게 말한 바 있다. "독서는 자아를 분열시킨다. 즉 자아의 상당 부분이 독서와 함께 산산이 흩어진다. 이는 결코 슬퍼할 일이 아니다." -28~29쪽

글쎄 이런 게 난 오히려 책에 빠진 사람의 오만이 아닌가 싶네. 책에 빠져 독서를 절대화하다 보면 이렇게 착각할 수도 있겠지만 우리는 사실 자기만의 알고리즘에 의해 자기 믿음을 (그리고 에고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책을 읽어나가게 되는 것 아닐까. 우리는 밑도 끝도 없이 난데없는 책을 손에 들지는 않는다. 개인의 자발적 읽기라는 것은 대개는 광맥이 뻗어나가는 식의, 자기 세계를 공고하게 형성하고 확장해 나가는 식의 읽기가 아닐지. 스스로 골라 든 모든 책은 자신의 특유한 정신적 필요를 충족시킴으로써 자기를 더욱 자기답게 만들어주는 데 이바지할 뿐이다. 정작 우리에게 분열을 안겨주는 것은, 그러니까 진정한 겸손을 가르쳐주는 것은, 차라리 낯선 사건의 체험일 것이다. 새로운 장소, 새로운 사람들, 새로운 관계, 새로운 언어, 거기서 움트게 되는 새로운 사고방식- 그러니까 판이 달라지는 새로운 게임.

우리가 이렇게 ‘복잡하게 나쁜’ 사람의 이야기에 관심을 갖는 것에 대하여 진화심리학자들은 인간이 타인에 대해 갖는 공포심을 이용한 것이라고 말한다. (...) 소설은 바로 그런 인간의 원초적 두려움이라는 백도어를 이용해 침입한 바이러스와도 같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언젠가 가해자로 돌변할 수 있는 타인에 대한 두려움으로 괴물들이 등장하는 소설을 읽기 시작하지만, 이런 공포를 효과적으로 이용한 작가와 작품에 의해 자기 자신이 가해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도 성찰하게 된다. -172쪽 


귀퉁이를 눌러 접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문학이 매혹적인 동시에 매캐한 숲 같다고 느낀 적은 있어도 바이러스와 유사하다는 생각까지는 미처 못했네. 균이라고 (가혹하게!) 규정하니 문학에 대해 품었던 그간의 모든 미심쩍 혐의들이 명석하게 정리가 된다. 그래, 균이었구나, 균이어서 그랬구나. 아마도 사람들은 두 부류로 나뉠 것이다. 보균자와 비보균자. 분류는 이것으로 족하다. 문학에 감염되어 급기야 죽어버리는 경우는 흔치 않을 테니. 어쩌면 보균자는 보균자를 알아보는 것 같기도 하다. 낌새를 맡는달까. 문학적 낌새 말이다. <롤리타>, <파리대왕>, <보바리부인>, <죄와 벌>, <소프라노스> 등 책에서 알려준 몇몇 바이러스(!)들은 언젠가 꼭 접해보고 싶다. 이런 속도로 나아가다가는 죽기 전에 감염이나 될 수 있을는지 모르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ady Chatterley's Lover (Hardcover)
D. H. Lawrence / Penguin Classics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20년대 씌어진 소설임을 생각하면 작가가 시대를 반세기는 앞서 살았던 것 아닌지. 작중 인물의 몸을 빌려 반지성주의 내지는 히피즘에 가까운 사상을 웅변할 뿐 아니라, 어떤 대목에선 맑시즘의 한계와 말로, ‘거대서사의 붕괴’까지도 예감하고 있다. 선정적인 소설이 영어 공부하기에 좋다길래 골랐더니만 실망스럽게도 전혀 외설적이지 않고 오히려 기계문명의 반생명성, 산업사회 인류의 몰개성과 몰인간성, 황금만능주의와 물신주의 풍토, 계급 격차와 부의 편중 등 현대 물질 문명의 그늘을 짚어내는 작가 특유의 깊이 있는 사유와 암시가 곳곳에 녹아 있어 예상과는 다른 쪽으로 곱씹어 보게 된다.

잭 오코넬, 엠마 코린 주연의 넷플릭스 영화를 먼저 봤는데, 원작에서는 남녀 주인공의 관계가 영화보다 훨씬 더 복잡하게 그려진다. 사회적 신분의 차이는 곧 견고한 마음의 벽이기도 해서 육체 관계를 맺으면서도 한동안은 서로간에 체념과 불신, 경계심과 반감이 적잖이 뒤섞여 있는 것. 특히 멜러스를 향한 코니의 (거의 인지부조화에 가까운) 이중성, 자기분열적인 혼란과 망설임은 함의하는 바가 깊어 보인다. 사회적 통념과 질서에 갇혀 자신이 느끼는 생명체 본연의 감정조차 투명하게 자각하지도 인정하지도 못하는, 더 근본적으로는 비대한 정신세계에 함몰되어 날것의 생명이 갖는 자연 그대로의 야성과 육체성 자체에 거부감을 보이는, 문명인의 불구성을 보여준다고 해야 할까.

클리포드 역시 영화에서와는 달리 나름의 상징성을 지닌 비중 있는 조연으로, 결코 코니의 단순대립항이 아니었다. 차라리 이 둘은 내외적 불구 상태의 부부로서 완벽한 한 쌍이라고 해야 하겠다. 사실상 클리포드, 코니, 그리고 멜러스까지 이들 모두는 작가의 더없는 분신이며, 소설이 진행되어 감에 따라 셋 다 반생명성의 각피, 처지에 따라 그 형태는 다르지만 어떤 식으로든 각각의 삶을 저해해왔던 저마다의 각피들을 떨구어내고 각자의 방향으로 변모, 성장해 나간다. 장소와 인물이 내포하는 상징은 정교하고, 계급 격차가 만들어내는 미묘한 심리적 풍경을 묘파하는 대목은 날카롭다. 이 책이 마님과 돌쇠 클리셰의 원조를 넘어 고전의 반열에 오른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다.

알라딘에선 검색이 안되는데, 먼저 본 영화도 사실 좋았다. 러닝타임의 제약으로 서사를 워낙 압축해 놓긴 했지만 그래도 원작의 내용에 충실하다. 소설 속 장면과 대사의 단어 하나까지도 그대로 살리려 애쓴 게 느껴지고. 생명이 약동하는 랙비숲의 울창한 정경, 그 안에서 남녀주인공이 만들어내는 포즈와 움직임, 섬세하고 예민하게 감정선을 건드리는 음악, 영화 전반의 고전적 기조를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세련미가 돋보이는 현대적 의상, 장면 장면의 색감과 분위기, 미장센 등등 영화라는 장르를 통해서만 경험할 수 있는 시청각적 아름다움이 각별하여 소설과는 또 다른 재미와 감동을 준다.

책으로 돌아가서 판본에 대한 이야기를 마저 하자면, 이 펭귄클래식 패브릭 양장본 시리즈는 희한하게도 저마다 글자와 행간 크기가 제각각인데, 그 중 이 책이 유독 빽빽한 듯. 0.38mm볼펜으로 모르는 단어 적어넣을 자리조차 부족하다. 읽다보면 책표지 문양 페인팅이 벗겨져 손가락에 묻기도 한다. 책을 처음부터 관상용으로 제작한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or Feelings: An Asian American Reckoning (Paperback) - 『마이너 필링스』원서
Cathy Park Hong / One World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무리 헬조선이니 해도 이불 속이 따뜻한 것을 알기는 어렵다, 밖으로 나오기 전에는. 이불 밖에 놓인 이민 후세대들, 나아가서는 어느 사회에나 존재하는 소수자들, 촘촘한 차별의 구조 속에서 굴절된 자아를 가지고 모순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그들의 고충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미국 이민 2세가 쓴 이 책은 차별에 관한 에세이다. 미묘하고 일상적인, 그래서 더욱 자기검열적이고 자기환각적인(아무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 네가 너무 예민해서 그래), 희미한 연무처럼 때로는 나직이 지속되는 소음처럼 존재하는 차별. 몰이해와 편견의 시선, 단순화 정형화된 잣대 속에서 만성적인 피로가 조용히 누적되어 가는 차별. 평생의 형벌과도 같은 차별.

저자가 써내려간 '이 감정들은 결코 사소하지 않다'(한국판 부제). 일상에서 겪는 차별의 경험은 인종주의에 대한 고찰에서 탈식민주의적 사유로 이어지고, 개인적인 것이 가장 정치적이라는 말은 이 책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한편으로는 이렇게 매운 책이(불 붙은 표지를 보라) 미국에서 굵직한 상을 거머쥐며 평단의 찬사와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는 사실 자체가 놀랍기도 하고. 우리나라라면 어떨까? 모범 시민 이자스민 말고, 모범을 거부하는 캐시박홍 같은 여자가 나타나 자신의 이야기를 ungrateful하게(186쪽) 꺼내놓는다면, 우리는 그녀의 목소리를 경청할 수 있을까? 들을 준비가 되어 있는가? 비록 이민 인구 유입의 역사가 짧은 사회적 특수성도 감안해야겠지만, 우리의 갈 길이 얼마나 먼지 새삼 가늠해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orwegian Wood (Paperback)
Haruki Murakami / Vintage Publishing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이십여 년 전에 문학사상사 유유정 역으로 읽었는데, 시간이 흘러 기억이 또렷하지 않아 정확한 비교가 될는지는 모르겠지만 다시 읽어보니 생각했던 것보다 문체가 훨씬 담백하다. 남주인공은 뭔가 좀 더 터프해 보이고. 번역의 문제라기보다 영어라는 언어 특유의 간결명료한 성격 때문에 그렇게 느껴지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