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읽었던 <느린 희망>은 쿠바여행기였다.
여행이라는것 자체가 이방인의 눈이라는 근원적인 한계를 가지기에
 그 사회를 총체적으로 보기에는 참 힘든 일이다.
누구나 자신의 안경으로 자신이 보고싶은 것이 먼저 들어오고 많이 보이게 된다.
단적으로 최근에 읽은 쿠바여행기가 두개다.

 

 

 

<느린희망> 과 <원더랜드 여행기>
이 두사람이 여행한 나라가 같은 나라가 맞나 싶을 정도로 이 두 여행기는 참 다르다.
<원더랜드 여행기>야 사실 굳이 쿠바일 필요가 있었을까 싶기도 하지만,
이 책속의 쿠바는 그냥 가난하고, 대신에 사람들은 순박하고, 가끔 사기꾼 같은 인간들도 꽤 많고....
뭐 쿠바라는 나라가 특별하게 달라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느린희망>에서 유재현씨가 본 쿠바는 전혀 달랐다.
쿠바라는 나라라고 해서 왜 문제가 없겠냐만은
그래도 지금의 쿠바는 내겐 참 부러운 나라였다.
우리보다 훨씬 못살아도 교육과 의료의 투자에서는 우리나라와는 쨉도 안되는 나라!
국민의 행복을 생각한다는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발끝도 따라가기 힘들겠구나 하는 생각!

그런데 이번에 또 저 <느린희망>덕분에 <황해문화 가을호>에 실린 부탄 여행기를 읽게 되었다.

알라딘에는 <황해문화 가을호>는 안뜨네...
그냥 여름호 이미지로 대신한다. ㅠ.ㅠ

 

 


어쨋든 부탄이란 나라 하면 옛적에 읽었던 여행기가 잠시 떠오르고 또  불교의 나라이기도 하고...
영화 <컵>에서 봣던 축구하는 스님들
그리고 그 스님들이 월드컵에 대해 설명하자 아주 높은 스님이
"아니! 다 큰 어른들이 왜 공 하나 갖고 싸운다냐?"라던 기억이 웃음과 함께 스치는 나라다.
히말라야 산맥 아래 왠지 아주 조용할 것 같은 나라....
근데 이번 여행기를 읽고는 부탄에 대해 아주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부탄에서는 국민총생산 GNP보다 국민총행복GNH(Gross National Happiness)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아래 서구의 GNP 중심의 성장논리가 아닌 국민들의 행복을 중심에 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219쪽)

저자의 말대로 신선한 충격이었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선언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얼마나 국가 정책에 현실적으로 반영되는냐 하는 것일텐데..

실제로 부탄은 1960년대까지는 공교육이 존재하지도 않았었는데 지금은 모든 국민에게 무상교육이 실시되고, 도시와 농촌의 격차를 없애기 위해 교사와 공무원의 순환근무가 실시된단다.
의료 역시 당연히 무상으로 제공되고....
부탄의 정부예산의 18%가 바로 교육과 보건에 할당된다.
그런데 더욱 놀라운 것은 이러한 재원을 어디에서 마련하느냐였는데 바로 전력의 수출이다.
부탄은 히말라야지역 다른 나라보다 풍부한 강수량과 높은 고도차로 인해 엄청난 수력발전 잠재력을 갖고 있는데 이것들을 개발해서 이웃나라로 수출한다.
그런데 이 자원의 개발도 국민의 행복과 환경의 보존을 위해 댐을 설치하지 않고 강의 흐름을 그대로 이용하는 전력을 채택하고 잇다.
관광산업 역시 연간 관광객의 수를 제한하여 부탄의 문화와 전통, 자연훼손을 최소화하고 있다.
자연환경 보전에 관한 부탄의 철학과 정책은 세계최고순준이라 한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오히려 숲이 늘어나고 있는 나라
헌법으로 '숲을 최소한 전 국토의 60%는 영원히 유지하여야 한다'고 명시하는 나라
이러한 환경보호로 인한 농민들의 피해를 국가에서 보상해주는 나라

이런 나라를 우리보다 못산다고 할 수 있을까?
쿠바, 부탄 작은 나라이지만 오히려 큰 나라이다.
그들의 행복한 실험이 부디 성공하기를....
그리고 그 실험이 지구촌 곳곳에도 퍼져나가기를....
내 나라가 제발 이런 마인드좀 배웠으면....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6-10-12 0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탄의 국민총행복을 처음 들었을 때 참 신선했어요. 희미있는 삶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되더군요. 참 좋은 책 소개, 잘 보았습니다.

마노아 2006-10-12 09: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신선하고 감동적이에요. 그리고 부럽네요.

하늘바람 2006-10-12 1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지금 우리나라의 어수선함과 불안함과는 참. 달라요

바람돌이 2006-10-12 11: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배혜경님/중요한건 지금 당장이 아니라 국가가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느냐 하는거겠지요. 어찌보면 부탄은 아직 자본주의라는 괴물에 완전히 잡아먹히진 않았기에 저런 생각들이 현실화 될 수 있다는 생각도 들어요. 어쨌든 부탄이 잘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마노아님/네 부럽죠. 저도요. 이민은 받아줄래나? ^^ 그래도 이민보다는 내가 살고 있는 이나라가 저 나라들 처럼 되는게 더 좋겠죠. ^^
하늘바람님/뭐 저 나라들이라고 고민이나 문제가 없겠습니까만, 그래도 고민의 질적 수준이 다르다는 생각은 자꾸 드네요.

코마개 2006-10-12 11: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부탄을 다녀온 저 부르주아는 누구란 말인가? 부탄은 관광객 수를 제한해서 체류일당 700달러인가 내야해요. 담배의 판매와 흡연이 금지된 나라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행'이라는 책 한번 보시면 부탄에 대해서 잘 알수 있을 듯.

국경을넘어 2006-10-12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탄이라는 나라 참 재미있네요. 전기, 숲, 국민총행복...

파란여우 2006-10-12 15: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탄에 가면 부탄가스로 밥은 못 해먹겠죠?
아아, 이런 멋진 글에 이런 저질의 댓글을!
용서하세요. 바람돌이님, 제가 요새 바람을 너무 많이 마시나봐요....

바람돌이 2006-10-13 0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강쥐님/700달러까지는 아니고 성수기에는 200달러, 그외의 기간은 165달러랍니다. 근데 이 돈에는 숙박료, 최소한의 식사비용, 교통비 및 가이드 서비스 비용을 미리 지불하는거라네요. 그러니까 싼 건 아니지만 부르주아라고 할 것 까지는.... 하긴 뭐 해외여행을 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부르조아라고 해야 될지도 모르지만.... ^^
저도 전 국토가 금연이라는데는 정말 놀랐어요. 그것도 따지고 보면 국민행복과 맞닿아 있는걸지도 모르겟네요. ^^ 저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행이란 책은 전에 봤어요. 사실 이 글을 읽기 전에 제가 아는 부탄에 관한건 전부 그 책에서 읽었던 게 다였거든요. ^^
폐인촌님/재미있기도 하고 부럽기도 하고..... 근데 또 지나치게 문명화된 저같은 사람을 거기다 데려다 놓으면 잘 살수 있을까 싶기도 하고... 결론은 지금의 우리나라가 저런 마인드를 배워 다시 시작하면 좋지 않을까 하는 몽상을 한다지요. ^^
파란여우님/부탄가스로 밥을 해먹을 수 있는지 어떤지는 어디에도 안나와있던데... 근데 그거 소지하고 비행기를 탈수 있을까요? 아무래도 부탄에서는 사기가 어려울 것 같아서.... 앗 저도 바람을 너무 많이 마시나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