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 여성의 조직적인 활동이 백인 여성들의 클럽을 모방한 형태로 시작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들은 그 외의 다른 조직의 형태를 알지 못했고, 노동계급이 자신의 계급적 조직을 만들기에는 여전히 그들은 너무 고통스럽고 너무 가난하니 말이다. 문제는 또한 이런 형태의 여성클럽이 흑인 여성들 내에서도 똑같은 문제 엘리트주의에 직면하는 것도 당연할테다. 시대적 한계라는 말이 그냥 있는게 아니니 말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어떻게 시작했느냐가 아니라 이것이 어떻게 해체되고 다음 단계로 진입하는가이다.
참정권 운동 역시 여러 한계에 부딪히게 되는데 사실상 중산층 백인 여성들이 노동계급의 상황에 대해서 이해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투표권을 얻으면 신세계가 열리리라는 전망을 열렬히 외치지만 노동자 여성들은 투표권을 가진 자신의 아버지,남자형제들의 삶이 자신과 별반 다르지 않음을 매일 보고 있는 것이다. 중산층 백인 여성들이 성차별주의가 계급 불평등이나 인종주의보다 훨씬 억압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그야말로 그들만의 주장, 언어일 뿐이다. 인종과 관계없이 노동계급의 여성이 투표권을 요구하는 투쟁에 나서는 것은 이 투표권이 자신의 노동조건과 생존을 위한 수단이 된다는 것을 자각하여야 한다.
결국 이는 필연적으로 사회주의적 각종 조직- 노동조함, 노동자 협회, 공산주의자 클럽, 사회당 등-의 등장과 그 영향과 연결되며, 사회주의, 공산주의의 등장으로 투표권운동은 백인 중산층 여성에게서 노동계급으로 확대되게 된다. 또한 걸출한 흑인여성혁명가들, 또는 사회운동가들이 등장한다. 루시 파슨스같은 초기의 공산주의자들은 대부분의 초기 공산주의 운동이 그러하듯이 모든 특수성 - 인종, 젠더를 계급성으로 대체해버리는 우를 범하지만 이것은 루시 파슨스만의 문제가 아니다. 거의 모든 지역에서 거의 모든 사회주의 운동이 초기에 겪었던 오류를 거쳐가는 과정일뿐이다. 엘라 비르 블로어라는 백인 공산주의자 여성운동가에 이르면 이제 공산주의운동은 흑인해방운동과 함께 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해 나간다. 또한 클라우디아 존스에 이르면 가사노동이 주를 이루는 흑인 여성의 직업이 성차별의 주요한 원인임을 간파하고 사회주의가 흑인여성, 흑인 전체, 노동계급 전체를 위한 이론이자 운동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게 되었다.
이제 이들은 여성, 인종, 계급운동에서 어떤 새로운 차원을 열어갈 것인가?
점점 흥미로워지는 중이다.